손타그 아우스 리흐트
Sonntag aus Licht손타그 아우스 리흐트 | |
---|---|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의 오페라 | |
![]() 2004년 3월 7일, 쾰른 사운드 스튜디오 N의 엔젤-프로세싱 믹스다운 중 스톡하우젠 | |
리브레티스트 | 스톡하우젠 |
언어 | 독일어 |
시사회 | 2011년 4월 9일 ( |
손타그 아우스 리흐트(Sunntag aus Licht, Sunday from Light)는 칼하인츠 슈톡하우젠이 작곡하고 편찬한 리브레토에 5장, 작별의 오페라다. 사이클 리히트(Licht)를 구성하는 7개의 오페라 중 마지막 편곡이다. 2011년 초연된 무대는 작곡가가 사망한 지 3년이 지난 후 사후 초연되었다.
리히트 사이클 내에서 일요일은 이브와 마이클의 신비로운 결합의 날로, 월요일의 새로운 삶이 진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주의 끝도 시작도 없다. 그것은 영원한 소용돌이"이다.[1]
역사
오페라의 다양한 장면들은 각 단체에서 의뢰하여 공연 형식으로 따로 초연되었다. 리히터—Wasser (Lights—Waters)는 1998-99년 도나우슈칭거 무식타주(Musiktage)를 위해 쉬드웨스트룬펑크(Südwestrundfunk)의 위촉으로 작곡되었으며, 1999년 10월 16일 도나우슈칭엔의 바아 체육관에서 초연되었다. 두 번째 장면인 엥겔 프로세션엔(Angel-Prozessionen, Angel Prozessionen)은 네덜란드 힐베르숨의 그루트 옴뢰프코르(네덜란드 라디오 합창단)와 예술감독 얀 제벨트가 위촉했다. 2000년에 작곡되었고, 2002년 11월 9일 암스테르담의 콘서트게보우에서 초연되었으며 제임스 우드와 데이비드 로렌스가 지휘하고 안무가 마셀트 반 브론코르스트와 함께 안무가였다.[2]
The music of Licht-Bilder was commissioned by the Centre de Création Musicale Iannis Xenakis (CCMIX), Paris, and a visual realisation was commissioned by the Zentrum für Kunst und Mediatechnologie (ZKM), Karlsruhe, with the support of the Kunststiftung NRW (Art Foundation of North Rhine Westphalia). 그것은 2004년 10월 16일 도나우할레 B에 있는 도나우슈칭거 무식지에서 초연되었다. 연주자는 수잔 스테판스(바셋 혼), 카틴카 파스베어(플루트·알토 플루트), 휴버트 메이어(테노르), 마르코 블라우(트럼펫),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사이저)으로 카를하인즈 스톡하우젠(음향 투영)과 함께 했다. 이미지 구성, 무대 디자인, 의상 등은 요하네스 코넨이 이본 모어의 영상 협업을 맡았다.[3]
뒤프테 자이첸은 피터 루지카의 의뢰로 2003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참가했으며, 2002년 1월부터 3월 사이에 작곡되었다. 2003년 8월 29일 할레인의 페르너 인셀(잘츠부르크 인근)에서 첫 공연을 받았다. The performers were Isolde Siebert (high soprano), Ksenja Lukič (soprano), Susanne Otto (alto), Hubert Mayer (tenor), Bernhard Gärtner (tenor), Jonathan de la Paz Zaens (baritone), Nicholas Isherwood (bass), Sebastian Kunz (boy soprano), and Antonio Pérez Abellán (synthesizer), with sound projection by the composer.[4]
마지막 한 쌍의 장면인 호치-자이텐 퓌르 초르와 호치-자이텐 퓌르 오케스트라(High Times, 또는 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결혼)는 두 개의 다른 홀에서 동시에 공연된다. 그것은 라파엘 네봇에 의해 무시카 데 카나리아스 축제를 위해 위촉되었다. 2003년 2월 1일 서독 라디오 쾰른의 합창단과 교향악단이 살라 신포니카에서, 그리고 알프레도 크라우스 감사관의 살라 드 카메라에서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에서 초연되었다. 루퍼트 휴버가 합창단을 지휘했고, 즈솔트 나기가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으며, 신시사이저 연주자는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과 벤자민 코블러였다. 같은 병력을 동원한 독일 초연은 2003년 2월 14일 쾰른에서 WDR의 필하모니와 그로제 센데살에서 열렸다.[5]
마지막으로 완성될 요소는 2003년 호흐 자이텐 퓌르 초에서 5개의 신시사이저용으로 개조한 손타그스-압시드(일요일이별)이다. 2004년 8월 1일 뮐텐의 슐츠탈할레에서 2004년 스톡하우젠 강좌의 두 번째 콘서트로 초연되었다. 공연자들은 프랭크 거츠미트, 벤자민 코블러, 마크 메스,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 파브리지오 로소였다. 시사회와 같은 콘서트 공연에서는 라이브로 공연할 수 있지만, 오페라의 맥락에서는 5채널 재생으로 공연장 밖에서 들을 수 있도록 의도되어 있으며, 시각적 투영으로도 가능하다.[6] 이 압시드는 또한 두 가지 추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솔로 타악기 연주자용이고 하나는 Strahlen(레이)이라는 제목의 10채널 테이프, 다른 하나는 신시사이저용 클라비에르슈튀르크 XIX이다. Strahlen을 위한 10채널 전자음악에 대한 작업은 ZKM인 Karlsruhe에 의해 2003년에 시작되었지만, 2004년에 Licht-Bilder를 위한 시각적 요소들을 생산하기 위해 중단되었다. 2009년 12월 4일 카를스루헤에서 열린 세계 초연에서 비브라폰 라슬로 후다체크와 함께 사전 버전을 사용했지만 테이프 부분은 2010년이 되어서야 완성되었다.
오페라의 나머지 부분과 동시에 다른 장소에서 공연될 추가 요소 장면은 계획되었지만 결코 작곡되지 않았다. 이것은 루시퍼리움이라고 불리게 되어 있었는데, 그 속에서 루시퍼는 오페라에서 추방되고, 대신 "감옥(루시퍼리움)에 있다. 하지만 그는 듣는다."[7]솔라레와 스톡하우젠 2003
손탁의 무대 초연은 쾰른 오페라단이 2011년 4월 9일과 10일 토요일과 일요일, 쾰른 메세의 슈타텐하우스(States' House)에서 두 부분으로 나눠 맡았다.[8] 이후 4월 20일, 26일, 28일, 28일, 2011년 4월 24일, 5월 1일 하루 만에 오페라 전부가 공연되었다. 음악적 연출은 카틴카 파스베어와 피터 런델이 맡았으며, 예술적 컨셉은 프랑 알류(우라노 출신), 롤랑 올베터와 카를루스 파드리사(라 푸라 델스 바우스 출신)가 맡았다. 그 무대는 Carlus Padrissa에 의해, 그리고 Thomas Ulrich에 의해 극영화되었다. 무대 디자인은 롤랜드 올베터가, 의상은 추 우로즈가, 조명은 안드레아스 그뤼터가 맡았다. 영상 제작은 프랑 알류, 안무는 아돌 파머와 카를로스 파즈가 맡았다.
이 작품은 쾰른 오페라단에 예산적자를 남겼는데, 이는 시의 자금 감소와 합쳐지면 우웨 에릭 라우펜베르크 감독의 사임으로 이어졌다.[9][10]
역할
역할 | 연주자 | 초연 캐스트(2011년 4월) |
---|---|---|
장면 1: 리히터—와서(손타그-그루) | ||
이브 | 소프라노 | 안나 팔리미나 |
마이클. | 테너 | 휴버트 메이어 |
신시사이저 | 울리히 뢰플러 | |
음향 투영법 | 폴 주켄드럽 | |
오케스트라 | MusikFabrik, 콘드. 피터 런델 | |
장면 2: 엥겔프로세션엔 | ||
엔젤 합창단 7 (Eve) | 하이 소프라노 | 체일라 쎄바리 |
엔젤 합창단 7 | 알토 | 노아프렌켈 |
엔젤 합창단 7 (마이클) | 테너 | 알렉산더 메어 |
엔젤 합창단 7 | 저음의 | 마이클 레이번드굿 |
엔젤 합창단 1-6 | 6개의 합창단 & 투티 합창단 | 카펠라 암스테르담, 에스토니아 필하모닉 챔버 합창단 쾰른 오페라 합창단 ("투티 합창단") 콘드. 제임스 우드 |
장면 3: 리히트빌더 | ||
(마이클) | 테너 | 휴버트 메이어 |
(마이클) | 트럼펫을 불다 | 마르코 블라우 |
(Eve) | 피리를 치다 | 클로에 랍베 |
(Eve) | 베이셋 혼 | 피 쇼텐 |
신시사이저 | 벤저민 코블러 | |
음향 투영법 | 카틴카 파스베어 | |
장면 4: 뒤프테자이첸 | ||
(Eve) | 하이 소프라노 | 체일라 쎄바리 |
(Eve) | 소프라노 | 마이케 라스케 |
(마이클) | 하이 테너 | 알렉산더 메어 |
(마이클) | 테너 | 휴버트 메이어 |
(루시퍼) | 바리톤 | 조나단 데 라 파즈 자엔스 |
(루시퍼) | 저음의 | 마이클 레이번드굿 |
이브 | 콘트랄토 | 노아프렌켈 |
마이클. | 보이 소프라노 | 레오나드 오리스체(의 솔로이스트) 성가대 도르트문트, 디르, 요스트 살름) |
신시사이저 | 벤저민 코블러 | |
음향 투영법 | 카틴카 파스베어 | |
장면 5: 호치 자이텐 퓌르 초 | ||
5개 합창단 | WDR 합창단, 쾰른 cond. 루퍼트 휴버(5트랙 테이프 투영) | |
음향 투영법 | 카틴카 파스베어 | |
장면 5: 호치자이텐 모피 관현악단 | ||
5개 오케스트라 그룹 | MusikFabrik, 콘드. 마리아노 치아치아리니 노버트 크레이머, 토마스 믹스너 더크 로스브러스트, 와타나베 리에 | |
음향 투영법 | 폴 주켄드럽 | |
Sonntags-Absched(5트랙 테이프 투영) | ||
신디사이저 I to V | 마크 메스, 프랭크 거슈미트, 파브리지오 로소, 벤자민 코블러,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 | |
음향 투영법 | 카틴카 파스베어 |
시놉시스
손탁은 태양계와 태양 주위를 도는 모든 행성의 관계를 주제로 삼는다.[11] 이 오페라에서는 지구와 그 위에 있는 생명체가 빛과 물의 결합의 결과로 표현된다. 이 두 요소는 첫 장면에서 제시되며, 나머지 오페라는 생명체, 식물, 동물, 인간, 그리고 이 모든 것보다도 행성, 달, 천상의 별자리들의 진화를 기념한다.[12] 이 오페라는 극적인 행동으로 묘사할 수 있는 거의 없는, 의례적이고 명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5가지 장면(또는 6가지, 호치-자이텐의 두 가지 버전을 따로 세는 것)과 결론적인 "운명"이 있다. 대부분의 장면에는 정교한 공간 이동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특이한 공간 각인"[13]이 있다.
장면 1: 리히터—와셔 (일요일 인사)
리히터—워서 (Lights—Waters)는 오페라의 첫 장면이자 "그루즈"(Greating)이다. 소프라노(Eve)와 테너(마이클)의 초창기 듀엣이 이어지며, 오케스트라의 입성은 청중 전체에 자리를 잡게 되는데, 이 오케스트라는 중앙을 향한 삼각형 세그먼트로 배열되어 있다. 각 음악가에게는 램프와 물컵이 달린 랙이 제공된다. 마이클 공식에 해당하는 17개의 청색 램프로 17개의 고등록 악기를 식별하고, 12개의 저등록 악기를 이브 공식에 해당하는 녹색 램프로 점등한다. 음악은 두 개의 동시 레이어와 12개의 연속적인 파도로 공간을 순환한다. 이러한 회전은 태양계의 행성들과 달들과 관련이 있는데, 태양계의 이름, 천문학적 특성, 상징성이 작곡가가 쓴 성문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에 음악가들이 퇴장하고 소프라노와 테너가 마무리 듀엣을 부른다.[14]
장면 2: 엥겔프로세션엔
두 번째 장면인 엥겔 프로세션엔(Angel-Prozessionen, Angel Prozessionen, Angel Prozessionions)에서는 7개 국어로 하나님의 찬양을 노래하는 7개 그룹의 천사들이 우주를 누비며 움직인다(Ulrich 2011, 3) 일곱 번째 그룹은 네 명의 솔로 연주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쁨의 천사들(일요일의 천사들)이다. 그들은 독일어로 노래한다. 소프라노와 테너 솔리스트는 1장면과 같거나 강하게 닮아야 한다. The other six choirs are Angels of Water (Monday Angels), Angels of Earth (Tuesday Angels), Angels of Life (Wednesday Angels), Angels of Music (Thursday Angels), Angels of Light (Friday Angels), and Angels of Heaven (Saturday Angels), and sing in Hindi, Chinese, Spanish, English, Arabic, and Swahili, respectively. 본문은 모두 작곡가가 독일어로 쓴 것으로, 각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15] 리히터(Lichter)에서—Wasserer(Wasserer)는 음악가들이 고정된 위치에 머물러 있을 뿐, 엥겔-프로세세세션엔 공간 이동은 현실이며, 가수들은 공연장을 통해 신체적으로 움직인다.[16]
장면 3: 리히트빌더
리히트 빌더 장면은 두 쌍의 음악가에 의해 연주되는데, 한 손에는 플루트와 베이스 뿔이, 다른 한 손에는 테너와 트럼펫이 연주된다. 테너(마이클)는 돌에서 영혼까지 발현되는 하나님의 창조의 형태로 하나님의 찬양을 노래한다. 그 음악에는 그에 상응하는 밝은 이미지가 곁들여져 있어서 그 장면의 제목이다.[17] 플루트와 베이스 뿔은 이브를, 테너와 트럼펫은 마이클을, 각 쌍은 항상 함께 소리를 낸다. 음악적 소재는 모두 리히트 초포뮬라의 미카엘과 이브 층에서 그려지지만, 이들 멜로디의 배정은 구간마다 바뀐다.[18] 한 손에는 바셋의 뿔과 피리, 다른 한 손에는 테너와 트럼펫에 주어지는 음악적 인물들은 점차 실향되었다가 다시 일곱 번 모여 요일에 해당하는 큰 국면을 형성한다. 동시에 음악적 인물에 해당하는 무대 위의 연주자들의 움직임이 구성되고, 이중 링 변조에 의해 물결이 미러링되어 새로운 하모니와 탬브레가 탄생한다.[19]
장면 4: 뒤프테자이첸
네 번째 장면은 전체 리히트 사이클의 7일을 다시 요약한다. 주인공들은 그들의 특징적인 징후와 향기에 대해 매일 설명한다. 이후 이브는 지구 어머니(알토에 의해 노래됨)로 등장하고, 마이클은 보이 소프라노의 모습으로 등장한다.[17] 요일에 선택된 일곱 가지 향기와 그 연관된 지리적 지역, 일곱 가지 음성과 음성의 조합은 다음과 같다.[20]
- 월요일: 쿠출랭(아일랜드), 하이 소프라노 솔로
- 화요일: 키피(이집트), 테너와 베이스를 위한 듀엣
- 수요일: 매스틱(그리스), 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3인조
- 목요일: 로사 미스티카(이탈리아/독일), 하이테너 솔로
- 금요일: 테이트 유나나카(멕시코), 소프라노와 바리톤 듀엣
- 토요일: Ud(인도), 베이스용 솔로
- 일요일: 프랑켄센스(아프리카), 하이 소프라노와 하이테너 듀엣
홀 밖에서 들려오는 알토 음성은 자신을 이브라고 부르며 독주자들이 난기류로 뛰쳐나오게 한다. 이들은 행렬을 지어 돌아와 '오베르토네 성가'를 부르며 알토를 호위한다. 알토 이브는 관중석에서 소년 마이클을 그녀에게 불러 신비로운 듀엣을 부르고 그녀는 그를 다른 세계로 데려간다.[21]
장면 5: 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호치 자이텐
호치자이텐(High Times, 또는 Warns)은 각각 5개의 합창단과 5개의 관현악단에 의해 2개의 다른 홀에서 동시에 공연된다. 각 홀의 5개 사단은 독립된 속도로 공연하며 "다중 겹치는 템피 관광"을 연출한다.[22] 이어 관객들이 홀을 바꾸는 등 공연이 반복된다.[23] 이와 같이 이 두 버전은 때때로 손탁의 5번째 장면과 6번째 장면으로 간주되기도 한다.[24] 관현악판의 기본 구조는 합창단용 호치자이텐과 동일하지만, 여기에 오케스트라 초동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5개의 듀오와 2개의 트리오를 추가했다. 이들 앙상블은 리히트 사이클의 7개 오페라의 특징적인 순간들을 회상하는 것으로 평일 순서가 아니라 그들이 작곡된 순서대로 제시된다.[25]
- 목요일 듀오, 트럼펫과 클라리넷의 경우, 몬데바에서 인용, 도너스타그의 1막 2장
- 토요일 듀오, 플루트와 트롬본의 경우, 삼스태그 2장 카틴카스 게상으로부터 인용.
- 월요 듀오, 비올라와 첼로는 몬탁의 2막 3장면(Evas Lied)의 2막 2막 3장면인 Wochenkreis의 말을 인용하여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것이다.
- 화요일 듀오, 플루겔혼과 트롬본을 위한, 디엔스타그 2막의 피에타에서 인용.
- 프리타그의 아홉 번째 "실제 장면"인 엘루파의 말을 인용한 금요일 듀오 오보에와 바순.
- 수요일 3인조, 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는 미트워치 4장 미카엘리온의 "카루젤" 부분을 인용했다.
- 마지막으로, 플룻, 비올라, 신시사이저를 위한 일요일 트리오가 손탁의 첫 장면인 리히터 와셔의 오프닝을 인용했다.
손타그스압시드
선데이 고별은 본질적으로 오리지널 성경의 음성 표기법을 포함하여 5개의 신시사이저가 연주하는 합창단의 호치 자이텐이다. 그것은 각색이라기보다는 관객들이 극장을 빠져나갈 때 포이어와 야외에서 녹음된 형태로 5채널 재생을 위한 것이다.[26]
음반 목록
스톡하우젠 완결판의 다른 모든 리히트 오페라의 완전한 녹음과 마찬가지로, 손타그 aus Licht의 하나는 복합적인 것이지만, (다른 다섯과 달리) 박스 세트로 발매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6개의 개별 CD로 발매되었다. 이것은 2007년 9월에 SWR에서 방송되었다. 이 녹음은 실제로 1999, 2002, 2003, 200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아래에 설명된 것처럼 다양한 장소에서 만들어졌다.
- 장면 1: 리히터—와서(손타그스-그루스) 바바라 판 덴 붐(소프라노), 휴버트 메이어(테노),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합성기), SWR-신포니오르체스터 바덴-바덴/프리부르크 칼하인츠 스톡하우젠(초) CD 58(단일 CD), 1999년 도나우싱겐에서 녹음[52분]. 07초.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0년
- 장면 2: 엥겔 프로세션엔과 엥겔 프로세션엔의 피아노시모 합창단 투티. 이졸데 시버트(소프라노), 자넷 콜린스(알토), 휴버트 메이어(테노), 안드레아스 피셔(바스), 그루트 옴룹코어(네덜란드 라디오합창단), 제임스 우드와 데이비드 로렌스(초), 칼하인즈 스톡하우젠(음악 감독 및 음향 프로젝션). 2002년 암스테르담에서 녹음된 CD 67 A-B(2CD) [41분 + 41분]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4.
- 장면 3: 리히트 빌더 휴버트 메이어(테노르), 카틴카 파스베어(링 변조가 있는 플루트), 수잔 스티븐스(바셋 혼), 마르코 블라우(링 변조가 있는 트럼펫),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싱히사이저), 칼하인츠 스톡하우젠(사운드 프로젝션) 등이 대표적이다. 두 가지 버전, 하나는 학습용 링 변조 없이. CD 68 A-B(2CD), 2004년 도나우싱겐에서 녹음[43분 + 43분]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5.
- 4장: 뒤프테 자이첸 Isolde Siebert (high soprano), Ksenija Lukic (soprano), Susanne Otto (alto), Hubert Mayer (high tenor), Bernhard Gärtner (tenor), Jonathan de la Paz Zaens (baritone), Nicholas Isherwood (bass), Sebastian Kunz (boy's voice), Antonio Pérez Abellán (synthesizer), Karlheinz Stockhausen (musical direction and sound projection) CD 69 (single CD), record2003년 잘츠부르크에서 에드.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4.
- 9 Düfte Der Woche aus Düfte Zeichen은 Sonntag aus LICHT(하위 장면의 별도 버전)를 토해낸다. Isolde Siebert (high soprano), Ksenija Lukic (soprano), Susanne Otto (alto), Hubert Mayer (high tenor), Bernhard Gärtner (tenor), Jonathan de la Paz Zaens (baritone), Nicholas Isherwood (bass), Sebastian Kunz (boy's voice), Antonio Pérez Abellán (synthesizer), Karlheinz Stockhausen (musical direction and sound projection) CD 70 (single CD)
- 장면 5: 호흐-자이텐 퓌르 관현악단, 호흐-자이텐 퓌르 초르. WDR 신포니에체스터, 즈솔트 나기, 그리고 5명의 보조 지휘자(콘드), WDR 런펑코르, 루퍼트 휴버, 그리고 지휘하는 5명의 합창단원(초)이 있다.); 안토니오 페레스 아벨란(싱크시저), 칼하인츠 슈톡하우젠(음향 투영 및 음악 방향). CD 73(싱글 CD). [74분]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4.
- 호흐 자이텐 퓌르 초르가 손탁 aus Licht: 5 einzelne Gruppen과 Tutti zum Studium을 토해낸다. WDR Rundfunkchor, Rupert Huber 및 5명의 지휘 합창단원(콘퍼런스) 2003년 쾰른에서 녹음된 CD 71 A–C(3CD).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4.
- 호치 자이텐 퓌르 관현악단이 손타그 aus Licht: 5 einzelne Gruppen und Tutti zum Studium(연구자료)을 토해낸다. 2003년 쾰른에서 녹음된 WDR 신포니에우체스터, 즈솔트 나기, 발레리오 산니칸드로 볼프강 리스트케(컨덕터) CD 72A–C(3CD) 등.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4.
- 안녕: 손탁스-압시드 그리고 손탁스 압시드의 트랙을 클릭한다. 마크 메스, 프랭크 거트슈미트, 파브리지오 로소, 벤자민 코블러, 안토니오 페레즈 아벨란(합성기), 칼하인츠 슈톡하우젠(음향 투영기). CD 74(단일 CD), 2004년 쿠르텐에서 녹음[35분]. + 34분. 30초.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2005.
참조
- ^ 스톡하우젠 1989년 156년
- ^ Stockhausen 2011, 25–26, 145–146.
- ^ 스톡하우젠 2011년 35, 152세
- ^ 스톡하우젠 2006, V, XXI.
- ^ Stockhausen 2011, 59, 177.
- ^ 2005년 1-2점.
- ^ 스톡하우젠 2003a, 8.
- ^ 울리히 2011, 삽입.
- ^ 캐든헤드 2012.
- ^ 푸흐스 2012.
- ^ 스톡하우젠 1989년, 200년
- ^ 스톡하우젠 2011년 111, 191년
- ^ 밀러 2012년, 349년
- ^ Stockhausen 2011, 15-17, 135-137.
- ^ 스톡하우젠 2011, 25, 30, 145–147.
- ^ 밀러 2012, 344, 350
- ^ a b 울리히 2011, 3.
- ^ 울리히 2011년, 38세.
- ^ 스톡하우젠 2011, 33–34, 151–152.
- ^ 스톡하우젠 2006, V, VII, XXI, XXIII.
- ^ Stockhausen 2006, V, XIII, XXI, XXX.
- ^ 2008년 탑.
- ^ 울리히 2011, 4.
- ^ 스톡하우젠 2003a, 5.
- ^ 스톡하우젠 2004b 5, 7-28
- ^ 2005년 2월.
인용된 출처
- Cadenhead, Frank. 2012. "Uwe Erik Laufenberg Resigns" Opera Today (24 April).
- Fuchs, Jörn Florian. 2012. "Luft von anderen Kamelen".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4 August).
- Miller, Paul (Winter–Summer 2012). "An Adventure into Outer Space: Stockhausen's Lichter—Wasser and the Analysis of Spatialized Music". Perspectives of New Music. 50+number=1 & 2: 342–392. doi:10.1353/pnm.2012.0003.
- Solare, Juan María, and Karlheinz Stockhausen. 2003. "Expansión, música cósmica y Stockhausen". Deutsche Welle website (26 August ) (Accessed 7 December 2012).
- Stockhausen, Karlheinz. 1989. Texte zur Musik 6, edited by Christoph von Blumröder. DuMont Dokumente. Cologne: DuMont Buchverlag. ISBN 3-7701-2249-6.
- Stockhausen, Karlheinz. 2003a. Stockhausen Courses Kürten 2003: Composition Course on Hoch-Zeiten (of Sunday from Light) for Choir (2001/02). Kürten: Stockhausen-Verlag.
- Stockhausen, Karlheinz. 2004b. Stockhausen Courses Kürten 2004: Composition Course on Hoch-Zeiten (of Sunday from Light) for Orchestra (2001/02). Kürten: Stockhausen-Verlag.
- Stockhausen, Karlheinz. 2006. Düfte-Zeichen für 7 Singstimmen, Knabenstimme, Synthesizer: 4. Szene vom Sonntag aus Licht (2002—Werk Nr. 78. Partitur für szenische oder quasi konzertante Aufführungen. Kürten: Stockhausen-Verlag.
- Stockhausen, Karlheinz. 2011. Sonntag aus Licht: Uraufführung. Kürten: Stockhausen-Verlag.
- Toop, Richard. 2005. Sonntags-Abschied (Sunday Farewell), by Karlheinz Stockhausen: A Report. Kürten: Stockhausen-Verlag.
- Toop, Richard. 2008. "Sonntag aus Licht ('Sunday from Light')". Grove Music Online: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22 October) (accessed 17 April 2013).
- Ulrich, Thomas (ed.). 2011. Sonntag aus Licht, Oper in fünf Szenen und einem Abschied: Karlheinz Stockhausen, Urauffürung. Spielzeit 2010–2011, no. 27. Cologne: Oper der Stadt Köln. Excerpt from programme insert: Sonntag aus Licht, Teil 1.
추가 읽기
- 앤커, 프랑수아 반 덴 2011년 4월 26일. "Negen uur Stockhausen in Keulen". 오페라 매거진 [네덜란드] (2011년 4월 29일 액세스)
- 아논. 2011년 4월 10일. 쾰너 퍼블리쿰 베지스터트. 쾰너 스타트-안자이거
- 아논. 2011년 4월 12일. "Die Heilsgeschichte is bereinigt".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 86:32.
- 압토프, 셜리 2011년 4월 13일 "손타그 아우스 리히트, 스타텐하우스, 쾰른" 파이낸셜 타임즈.
- 바우먼스, 로버트 2011년 4월 12일 "스톡하우젠-완신 손타그 aus Licht" 표현하다.
- 바우먼스, 로버트 2011년 4월 12일 "센시텔": Die Welt Feiert Kölns Stockhausen-Spektakel". 표현하다
- 벤디그, 카롤린 2011년 4월 25일. "무티그 보란: 카를하인츠 스톡하우센스 손타그 aus Licht in Köln (Teil I)." 쿨투라 엑스트라(2011년 4월 29일 접속)
- 벤디그, 카롤린 2011년 4월 25일. "덴 올탁의 에르하벤 주뤼크: 칼하빈츠 스톡하우센스 손앤타그 aus Licht (테일 2세)" 쿨투라 엑스트라(2011년 4월 29일 접속)
- 비안치, 오스카 2013년 "스톡하우젠의 리히터-와셔의 발생 과정" DMA diss. 뉴욕: 컬럼비아 대학. ISBN 9781267933478.
- 보츠코, 아나스타샤 2011년 4월 11일. "스톡하우젠의 손타그 초연곡은 관능적인 찬송가로서" 도이체벨레(2011년 7월 16일 액세스)
- 보츠코, 아나스타샤 2011년 4월 14일. "Гений, безумец, шарлатан: опера Штокхаузена сбила зрителей с ног" [Genius, Charlatan, Madman: 다리아 브라이언트세바가 편집한 스톡하우젠 오페라 '관객을 열광시켰다' 도이체벨레(2011년 7월 16일 액세스)
- 보츠코, 아나스타샤, 그리고 아우구스토 발렌테. 2011년 4월 11일. 베티나 리펠이 편집한 "Estreia munderial de Sonntag de Sockhausen combina 과대망상증 e berleza indicitsta". 도이체벨레(2011년 7월 16일 액세스)
- 브라운, 토마스 맨프레드. 2008. "칼하인즈 스톡하우젠스의 다스 매지슈 쿼드랫". Gedenkschrift für Stockhausen에서 수잔 스티븐스와 카틴카 파스베어가 19-30으로 편집했다. 쿠르텐: 슈톡하우젠-스티프퉁 퓌르 무식. ISBN 978-3-00-023528-3.
- 브렘벡, 라인하르트 2011년 4월 12일 "Kosmische Froudenbotschaft". 수드데우체 차이퉁.
- 브뤼머, 루더 2008년 겨울. "스톡하우젠 on Electronics, 2004" 컴퓨터 음악 저널 32번, 4번: 10–16.
- 카브랄, 이스마엘 G. 2011년 4월 16일 "칼라인즈 스톡하우젠, SONNTAG aus LICHT. 에스트레노: Operator Köln(9/10-04-2011). 초로 데 루즈(2011년 4월 29일 접속)
- 캐닝, 휴. 2011년 9월. "콜로인" 오페라: 1070, 1072–1073.
- 도플러, 베른하르트 2011년 4월 10일 "Weiß의 Ein Sonntag und Gold Stockhausens growes Licht-Zyklus-Finale in Köln." Deutschlandfunk Kultur(2011년 7월 16일 접속)
- 드류, 요셉 2014년 "빛에서 온 마이클: 칼하인츠 스톡하우젠의 영웅의 성격 연구" dis 박사. 뉴욕: 뉴욕 대학교.
- 프레이, 마르코 2011년 4월 13일 Neue Zürcher Zeitung, "Rituale der Entfremdung: Sonntag aus Karlheinz seebenteiligem Opernzyklus Licht in Köln uraufgeführt."
- 프리시우스, 루돌프. 2013. Karlheinz Stockhausen III: Die Werkzyklen 1977–2007. Mainz, 런던, 베를린, 마드리드, 뉴욕, 파리, 프라하, 도쿄, 토론토: 쇼트 뮤직. ISBN 978-3-7957-0772-9
- 푸흐스, 요른 플로리안 2011년 4월 13일. "Köln erstmals complet szenisch afgefuhrt; Mit den Ohren ins Welt; Karlheinz Stockhausens Sontag aus Licht wurde in Köln erstmals. 슈웨비스는 타그블랫, 튀빙거 크로니크, 로튼버거 포스트, 로틀링거 블랫드(2011년 8월 29일 접속).
- 한, 패트릭 2011년 4월 11일 "무시쿠스와 히멜스마마: 스톡하우젠스 SONNTAG aus LICHT als szenische Uraufführung in Köln". 느에뮤직자이퉁 온라인(2011년 4월 29일 접속)
- 하트웰, 로빈 2012년 겨울-여름. "위협과 약속: 루시퍼, 헬, 그리고 스톡하우젠의 일요일"이라고 말했다. New Music 50, 번호 1 & 2: 393–424.
- 2016년 게오르그 주 헨켈 "안젤 오브 조이: 스톡하우젠의 '소리의 기적' [클랑슈피겔]과 오디오블 오브 더 무음"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의 음악적 유산: M. J. 그랜트와 임케 오케이가 편집한 뒤와 앞으로, 138–147. 호프하임: 울케 베를라크. ISBN 978-3-95593-068-4
- 호프만, 스테판 2011년 4월 12일 "파벤, 뒤프테, 엥겔슈에르" 슈투트가르터 나치히텐
- 호프만, 스테판 2011년 4월 13일 "스톡하우젠-오퍼레이션: 퓌르 제덴 타그 아인 앤더러더 듀프트: 다이 포스트메 우라후룽 폰 카를하인츠 스톡하우젠스 운영자 손타그 aus Licht in 쾰른" 바디스체 차이퉁.
- 홀링스, 켄. 1999년 5월. "별에서 졌다: 1999년 3월 12일 독일 쿠르텐의 켄 홀링스와의 대화에서 Karlheinz Stockhausen" 더 와이어, 184호
- 콜, 제롬. 2004. "더 아스펙트 데어 하모니크 인 리히트" 인터내셔널스톡하우젠-심포시온 2000: LICHT. Musikwissenschaftiches Institute der Universitet zu Köln, 19. bis 22. 옥토버 2000. Tagungsbericht, Imke Decred와 Christopp von Blumröder가 편집한 116–132. 뮌스터, 베를린, 런던: LIT-Verlag. ISBN 3-8258-7944-5.
- 코바흐스, 아도르얀 F. 2011. "그랜디오스 스펙타켈: 리히터 und 와셔: Eloge auf die szenische Uraufführung von Stockhausens Operat Sonntag aus Licht". 무식텍스테, 129:76–78.
- 뮐러, 수잔 2011년 4월 12일 "다스 그뢰세 오데르 그뢰센완이 아닌가?" 데르 번.
- 란지, 요아힘. 2011년 4월 12일. "Vorn ist das Licht". 프랑크푸르터 룬샤우.
- 2011년 4월 12일 세자르 로페스 로젤콜로니아 "La Fura es posa còsmica i mistica". 엘 페리오디코 데 카탈루냐.
- 매코니, 로빈 2004년 10월. "빛의 메시지: 괴테, 슈톡하우젠, 그리고 신 계몽주의" 템포 신작 58번, 230번: 2–8.
- 매코니, 로빈 2016년 기타 행성: The Complete Works of Karlheinz Stockhausen 1950–2007, 개정판. Lanham, Maryland, 그리고 London: Rowman & Littlefield. ISBN 978-1-4422-7267-5
- 매코니, 로빈 2005. 기타 행성: 칼하인츠 슈톡하우젠의 음악. Lanham, Maryland, Toronto, Oxford: 허수아비 프레스. ISBN 0-8108-5356-6
- 멀린, 크리스찬 2003년 9월 26일. "스톡하우젠—."'Le souplle de Dieu est l's son fondorial de l'universal'''이라고 말했다. 르 피가로.
- 밀러, 폴 2009년. "스톡하우젠과 공간의 직렬 형성" dis 박사. 로체스터: 이스트먼 음악학교.
- 밍게, 2011년 Vicent. "크르니크 드 콘서트: Sonntag aus Licht, Karlheinz Stockhausen" 소노그라마 (4월 24일)
- 뫼르첸, 라울 2011년 4월 11일 "Der Tag der Anbetung Spectakulére Uraufführung." 제너럴 안자이거(본).
- 뮐러, 레지네 2011년 4월 12일. "터보테이터 퓌르 슈톡하우젠" 하이니스체 포스트.
- 나르델리, 스테파노 2011년 "Domenica di Fura: Sonntag aus Licht, di Karlheinz Stockhausen." Il Giornale della Musica [ 2011년 4월 16일 접속).
- 노넨만, 레이너 2011년 4월 11일 "게시히테 Wird Geschrieben". 쾰너 스타트-안자이거(2011년 8월 29일 접속)
- 노넨만, 레이너 2011년 "미스테리엔스피엘 임 하이테크게완드. 칼하인츠 스톡하우센스 손타그 aus Licht in Köln". 무식텍스테, 129:75–76.
- 오비에라, 페드로 2011년 4월 13일 "임 리게스툴 주 에바와 노이엔 플래닛엔" 아체너 나흐리히텐
- 파슨스, 이안 로렌스 2019. "빛의 현상학: 하이데거의 4배와 라카니아 정신분석에 대한 스톡하우젠의 오페라 사이클 드로잉 해석" dis 박사. 멜버른: 모나시 대학.
- 피터스, 귄터 2004년 10월. "덴 미텔펑크 데르 무식(Den Mitelpunkt der Musik)의 그렌즈게네. 칼하인츠 슈톡하우젠 뎀 웩쭈 뒤프테 자이첸이 손탁 aus 리흐트를 토해낸다." 무식 & 에스테틱 [ 8, 32: 61–81.
- 로빈, 윌리엄 2011년 5월 8일. "A Operatic Conundrum Untangled". 뉴욕타임즈: AR19 (뉴욕판) (2011년 5월 8일 접속)
- 슈미트, 콘스탄체 2011년 4월 11일 쾰른의 주벨 뷔르 슈톡하우젠" 쾰니스체 룬드쇼우
- 스판, 클로스 2004년 10월 21일 "암 엔데 데 리흐츠" 다이 지트.
- 스판, 2011년 4월 14일 "스톡하우젠우라우후룽: 헨게마트는 힘멜이다. 다이 지트.
- 스톡하우젠, 칼하인즈 2001a. 리히터—Wasser (Sonntags-Gruss) für Sopran, Tenner uns 오케스트라 Mit Synthisizer (1999), Werk Nr. 75.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 스톡하우젠, 칼하인즈 2001b. Stockhausen 코스 Kürten 2001: 신시사이저가 있는 소프라노, 테너, 오케스트라를 위한 라이트-워터스 구성 코스(1999년)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 스톡하우젠, 칼하인즈 2003b. Basset Horn, Flut with Ring Modulation, Tenner, Trump with Ring Modulation, Synthetizer(2002/03)를 위한 라이트 픽처스 구성 코스(빛에서 일요일 3번째 장면)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 스톡하우젠, 칼하인즈 2004a. 7명의 성악가, 보이즈 보이스, 시세이저(2002)를 위한 스칸트-사인 작곡 코스(빛에서 일요일)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 스톡하우젠, 칼하인즈 2005. 엥겔-프로세션엔 퓌르 초르 아펠라: 2. 스제네가 손타그 아우스 리흐트(2000년—Werk Nr. 76년)를 토한다. 파르티투르 퓌르 슈제니체 오데르 유사 콘체르탄테 아우푸뤼룽겐 쿠르텐: 스톡하우젠-베를라크.
- 타리만, 파블로 A. 2011년 5월 2일 "필리피노 바리톤 쾰른의 슈톡하우젠 오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됐다"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2011년 5월 8일 접속)
- 울리히, 토마스. 2012년 겨울-여름. "스톡하우젠 오페라 사이클 리히트의 루시퍼와 도덕성" New Music 50, 번호 1 & 2: 313–341의 관점.
- 울리히, 토마스. 2017. 스톡하우젠스 자이클루스 LICHT: 아인 오퍼레이터. 쾰른, 바이마르, 비엔나: 볼라우 베를라크. ISBN 978-3-412-50577-6
- 벨라 델 캄포, 후안 앙겔 2011년 4월 27일. "La Fura dels Baus, una opera europea: 콜로니아에 있는 콜론즈 몬타제 데 누에브 호라스 데 손타그, 데 스톡하우젠 - Alex Ollé estrena Quartett, de Francesconi, en La Scala de Milan" 엘 파이스
- 월즈, 세스 콜터 2011년 4월 15일 "칼라인츠 슈톡하우젠의 오페라 손탁 aus Licht Performed in C쾰른" 워싱턴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