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워솝
Soursop사워소프(Graviola, Guyabano, 히스패닉 아메리카에서는 구아나바나라고도 한다)는 잎이 넓고 꽃이 피는 상록수인 아노나 무리카타의 열매다.[4][5]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아메리카와 카리브해의 열대지방이 원산지로서 널리 전파되고 있다.[6] 체리모야와 같은 속, 안노나과에 속하고 있다.
사우론은 습도가 높고 비교적 따뜻한 겨울에 적응하는데, 5°C(41°F) 미만의 온도는 잎과 작은 가지에 손상을 입히고, 3°C(37°F) 미만의 온도는 치명적일 수 있다. 과일이 건조해져서 더 이상 집중하기에 좋지 않다.
파인애플과 비슷한 향으로 과일의 풍미는 바나나를 연상시키는 진한 크림색의 밑부분과 대조적으로 신맛 감귤향의 노트가 딸기와 사과가 어우러진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5]
소르솝은 대체 암 치료법으로 널리 홍보되고(때로는 "중력"이라고도 한다) 있으나, 암이나 어떤 질병에도 효과가 있는 믿을 만한 의학적 증거가 없다.[7]
아노나무리카타
아노나 무라카타는 커스터드 사과나무과에 속하는 안노나속(Anona muricata)의 한 종으로 식용 과일을 가지고 있다.[4][5] 과일은 익으면 약간 산미가 있어 보통 시큼한 맛이라고 불린다. 아노나 무라카타는 카리브해, 인도, 중앙 아메리카가 원산지지만, 현재 전세계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침습적으로 변하고 있다.[4][5]
인도네시아에서는 안노나 무라카타는 시삭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노나 무리카타는 꼬리 있는 재이(그래피움 아가멤논) 애벌레의 주요 숙주 식물이다. 그들은 잎을 열심히 먹고 번데기 위해 잎 밑에 붙는다.
설명
아노나 무라카타는 키가 약 9.1m까지 자랄 수 있는 작고 곧은 상록수다.[4][5][8][9]
그것의 어린 가지들은 털이 많다.[9] 잎은 타원형까지 길며, 8 센티미터(3.1인치)에서 16 센티미터(6.3인치) 길이, 3 센티미터(1.2인치)에서 7 센티미터(2.8인치) 폭이다. 그것들은 윤기나는 짙은 녹색이며 위로는 털이 없고, 아래로는 털이 없을 정도로 가늘고 미세하게 털이 많다.[9] 잎줄기는 길이가 4밀리미터(0.16인치)에서 13밀리미터(0.51인치)이며 털이 없다.[9]
꽃줄기(0.20인치)는 2밀리미터(0.079인치)에서 5밀리미터(0.20인치)의 길이에 나무로 만든 것이다. 그들은 잎과 반대편이나 잎사귀 근처에서 엑스트라로 나타나며, 각각 한 두 송이 또는 두 송이, 때로는 세 번째 꽃이 핀다.[9] 개별 꽃(피디셀)의 줄기는 굵고 나무로 되어 있으며 털이 없을 때까지 미세하게 털이 나며, 털이 빽빽하게 난 밑면 근처에 작은 브라켓이 15밀리미터(0.59인치)에서 20밀리미터(0.79인치) 정도 있다.[9]
꽃잎이 두껍고 노랗게 물들어 있다. 바깥쪽 꽃잎은 겹치지 않고 가장자리에서 만나며 2.8 센티미터(1.1 인치)에서 3.3 센티미터(1.3 인치)까지 2.1 센티미터(0.83 인치)에서 2.5 센티미터(0.98 인치)까지 넓은 난형이며 하트 모양의 밑부분으로 테이퍼링된다. 고르게 굵고, 겉으로는 길고 가늘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고, 속으로는 부드러운 털로 곱게 돗자리를 한다. 안쪽 꽃잎은 타원형으로 겹친다. 약 2.5 센티미터(0.98 인치) ~ 2.8 센티미터(1.1 인치)를 2 센티미터(0.79 인치)로 측정하며, 밑부분을 날카롭게 각지고 테이퍼링한다. 여백은 비교적 얇고, 양쪽에 가는 가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그 콘센트는 원뿔형이고 털이 많다. 수술의 길이는 4.5 밀리미터(0.18인치)이고 좁게 쐐기 모양을 하고 있다. 결합 팁은 갑자기 끝나게 되고 다른 구멍은 불평등하다. 세팔은 꽤 두껍고 겹치지 않는다. 카르펠은 일직선으로, 기본적으로 한 베이스에서 자란다. 난소들은 짙은 적갈색 털로 덮여있고, 1-배기, 짧은 스타일, 그리고 오명 자국으로 덮여있다.[9] 그것의 꽃가루는 영구적인 테트라드로 버려진다.[10]
열매가 검푸르고 따끔따끔하다. 그것들은 난형이고 길이가 30 센티미터(12인치)까지 될 수 있으며,[9] 적당히 단단한 질감을 가지고 있다.[6] 그들의 살은 육즙이 많고, 산성이며, 희고[6] 향기롭다.[9]
분배
아노나 무라카타는 열악한 토양에[6] 내성이 있으며 고도 0~1,200m(3,900ft) 사이의 저지대를 선호한다. 그것은 서리를 견딜 수 없다.[8][9]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것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지방이 원산지이고 널리 전파된다.[4][5][6] 모든 온대 대륙, 특히 아열대 지방에 유입된 종이다.[4][5]
재배
이 식물은 20-30cm(7.9–11.8인치)의 길고 가시 돋는 녹색 과일로 자라서 질량이 최대 6.8kg(15lb)까지 될 수 [5]있어 아마도 정글섭 다음으로 큰 안노나가 될 것이다. 원산지를 벗어나 일부 제한적인 생산은 USDA 10구역 내 플로리다 남부까지 북쪽에서 발생하지만 대부분 지역 소비를 위한 텃밭이다.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재배되며 모리셔스 섬에서도 풍부하다. 과일의 주요 공급국은 멕시코에 이어 페루, 브라질, 에콰도르, 과테말라, 아이티 순이다.[11] 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물군의 유전자원 개발을 촉진하고 사워섭 사육사를 돕기 위해 2021년 아노나 무리카타를 위한 완전한 게놈을 완성했다.[12]
사용하다
과일의 살은 식용, 흰 펄프, 약간의 섬유질, 그리고 소화가 잘 안 되는 검은 씨앗의 핵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육은 과일즙, 스무디, 과일 주스 음료뿐만 아니라 사탕, 소르베트, 아이스크림 맛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4][5] 과일의 광범위한 재배로 인해, 그것의 파생상품은 멕시코, 브라질, 베네수엘라, 콜롬비아[13], 피지와 같은 많은 나라에서 소비되고 있다.[14] 이 씨앗들은 보통 믹서기를 가공에 사용하지 않는 한, 준비물에 남겨두고 소비하는 동안 제거된다.[citation needed]
인도네시아에서는 단맛인 도돌시삭이 물에 사워소프 펄프를 넣고 끓인 뒤 혼합물이 카라멜화되어 굳을 때까지 설탕을 넣어 만든다. 사워솝은 길거리 음식 판매상들이 파는 신선한 과일 주스를 만드는 재료로도 통용된다. 필리핀에서는 스페인의 과나바나에서 유래된 가이아바노라고 불리며 익혀 먹거나 주스나 스무디,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데 쓰인다. 때때로, 잎은 고기를 연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는 이 과일을 남쪽에서는 mang c cu Xiem(시암 소르소프) 또는 북쪽에서는 mang cầu(soursop)라고 부르며 스무디를 만드는 데 사용되거나 그대로 먹는다. 캄보디아에서 이 과일은 최루바룽이라고 불리며, 문자 그대로 "서부 커스터드 사과 과일"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로 두리안 벨란다("Dutch durian")로 알려져 있으며, 동말레이시아에서는 특히 사바의 두순족들 사이에서 현지에서는 람푼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익으면 날로 먹거나, 아이스 카캉이나 아이스 바투 캄푸르의 재료 중 하나로 사용된다. 보통 열매는 다 익으면 나무에서 따와 어두운 구석에 익도록 놔두는데, 그 후 열매가 다 익으면 먹는다. 그것은 특히 아침에 매우 기분 좋은 향기를 가진 하얀 꽃을 가지고 있다. 브루나이 다루살람 사람들에게는 이 과일이 널리 알려져 있고 쉽게 심을 수 있는 "두리안 살라트"라고 알려져 있다.[citation needed]
사우럽 잎은 인도네시아에서 한약재로 판매되고 소비된다. 잎은 보통 차를 만들기 위해 끓인다. 암 예방, 인플루엔자 예방 등 약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의어로서의 아종
- 아노나무리카타바보린켄시스[3]
영양
100g당 영양가(3.5온스) | |
---|---|
에너지 | 276kJ(66kcal) |
16.84 g | |
설탕 | 13.54 g |
식이섬유 | 3.3 g |
0.3g | |
1g | |
비타민 | 수량 %DV† |
티아민(B1) | 6% 0.07mg |
리보플라빈(B2) | 4% 0.05mg |
나이아신 (B3) | 6% 0.9mg |
판토텐산(B5) | 5% 0.253mg |
비타민 B6 | 5% 0.059mg |
엽산(B9) | 4% 14μg |
콜린 | 2% 7.6mg |
비타민 C | 25% 20.6mg |
광물 | 수량 %DV† |
칼슘 | 1% 14mg |
철 | 5% 0.6mg |
마그네슘 | 6% 21mg |
인 | 4% 27mg |
칼륨 | 6% 278mg |
나트륨 | 1% 14mg |
아연 | 1% 0.1mg |
기타 성분 | 수량 |
물 | 81g |
†성인을 위한 미국의 권장사항을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백분율을 추정한다. 출처: USDA FoodData Central |
생시럽은 물 81%, 탄수화물 17%, 단백질 1%로 지방(테이블)이 미미하다. 100g 기준량에서 생과일은 66kcal을 공급하며, 데일리 밸류에이션의 상당량(25%)으로 비타민C만 함유하고 있으며, 다른 미량 함유량은 눈에 띄는 양(표)이 없다.
파이토케미컬스
안노나신 화합물은 시럽의 열매, 씨앗, 잎에 들어 있다.[15][16][17] 아노나 무리카타의 잎에는 아노나민(Anonamine)을 함유하고 있는데, 아포라인급 알칼로이드로 2차 암모늄군이 들어 있다.[18]
잠재적 신경독성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는 " 그라비올라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는 신경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16]고 경고한다. 아노나신은 신경독성인 것으로 실험실 연구에서 밝혀졌다.[16][17][19] 2010년 프랑스 식품안전청(Agence franscaise de sécurité sanitaire des products de santé)은 "비정상적인 파킨슨 증후군의 관찰된 사례가 아노나 무리카타 소비와 연관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20]
거짓 암 치료 청구
2008년 미국 연방무역위원회는 암 치료를 위해 사워톱을 사용하는 것이 '보거스'라고 밝혔으며, 바이오크 테크놀로지가 판매한 사워샵 추출물이 '어떤 종류의 암도 예방, 치료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신뢰할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었다.[21] 또한 2008년, 시럽 제품인 트리아마존의 판매와 관련된 영국 법원 사건은 영국 암법의 조건에 따른 한 남자가 암으로 사람들을 치료할 것을 제안한 것에 대해 형사 유죄판결을 내리는 결과를 낳았다. 이 행동을 선동한 협의회 대변인은 "이제는 사람들이 가짜 주장으로 입증되지 않은 제품을 파는 사람들로부터 그들의 효과에 대해 보호받는다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했다.[22]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and Cancer Research UK는 Soursop을 이용한 암 치료는 신뢰할 수 있는 임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7][16] 영국 암연구소에 따르면, "인터넷 상의 많은 사이트들이 그라비올라 캡슐을 암 치료제로 광고하고 홍보하고 있지만, 그 중 어느 것도 명성 있는 과학 암 조직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그라비올라가 암 치료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없다"[7]고 밝혔다.
참고 항목
참조
- ^ "Annona muricata".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Retrieved 2008-04-18.
- ^ "Plant Name Details Annonaceae Aluguntugui L."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Plant Information (IOPI). Retrieved 2008-04-18.
- ^ Jump up to: a b W3TROPICOS. "Annona muricata L."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Retrieved 2008-04-18.
- ^ Jump up to: a b c d e f g "Annona muricata (soursop)". CABI. 3 January 2018. Retrieved 25 May 2018.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ulia F. Morton (1987). "Soursop, Annona muricata". West Lafayette, IN: New Crop Resource Online Program, Center for New Crops & Plant Products,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urdue University. Retrieved 25 May 2018.
- ^ Jump up to: a b c d e "Annona muricata L., Annonaceae". Institute of Pacific Islands Forestry: Pacific Island Ecosystems at Risk (PIER). 2008-01-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y 2008. Retrieved 2008-04-18.
- ^ Jump up to: a b c "Graviola (soursop)". Cancer Research UK. 22 October 2018. Retrieved 29 December 2019.
- ^ Jump up to: a b EEB Greenhouse Staff, University of Connecticut (2008-04-10). "Annona muricata L." Ecology & Evolutionary Biology Greenhouses. Ecology & Evolutionary Biology Greenhouses. Retrieved 2008-04-18.
crfg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Annona muricata L." eFloras.org. Retrieved 2008-04-18.
- ^ Walker JW (1971) 꽃가루 형태학, 피토그래피학, 안노나과의 필로제니(Phylogeny)이다. 하버드 대학의 그레이 허바리움으로부터의 기부금, 202: 1-130.
- ^ Gordon, André. Food Safety and Quality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p. 6.
- ^ Strijk, Joeri S.; Hinsinger, Damien D.; Roeder, Mareike M.; Chatrou, Lars W.; Couvreur, Thomas L. P.; Erkens, Roy H. J.; Sauquet, Hervé; Pirie, Michael D.; Thomas, Daniel C.; Cao, Kunfang (2021). "Chromosome-level reference genome of the soursop (Annona muricata): A new resource for Magnoliid research and tropical pomology". Molecular Ecology Resources. 21 (5): 1608–1619. doi:10.1111/1755-0998.13353. ISSN 1755-0998. PMID 33569882.
- ^ "Soursop". Retrieved 20 March 2019.
- ^ "Soursop Season". Retrieved 20 March 2019.
- ^ Le Ven, J.; Schmitz-Afonso, I.; Touboul, D.; Buisson, D.; Akagah, B.; Cresteil, T.; Lewin, G.; Champy, P. (2011). "Annonaceae fruits and parkinsonism risk: Metabolisation study of annonacin, a model neurotoxin;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xicology Letters. 205: S50–S51. doi:10.1016/j.toxlet.2011.05.197.
- ^ Jump up to: a b c d "Graviola".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1 February 2017. Retrieved 25 May 2018.
- ^ Jump up to: a b Potts, Lisa F.; Luzzio, Frederick A.; Smith, Scott C.; Hetman, Michal; Champy, Pierre; Litvan, Irene (2012). "Annonacin in Asimina triloba fruit: Implication for neurotoxicity". NeuroToxicology. 33 (1): 53–58. doi:10.1016/j.neuro.2011.10.009. ISSN 0161-813X. PMID 22130466.
- ^ Matsushige, A; Kotake, Y; Matsunami, K; Otsuka, H; Ohta, S; Takeda, Y (2012). "Annonamine, a new aporphine alkaloid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Chem Pharm Bull. 60 (2): 257–9. doi:10.1248/cpb.60.257. PMID 22293487.
- ^ Lannuzel, A.; Höglinger, G. U.; Champy, P.; Michel, P. P.; Hirsch, E. C.; Ruberg, M. (2006). "Is atypical parkinsonism in the Caribbean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Annonacae?".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Supplemental.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Supplementa. 70 (70): 153–7. doi:10.1007/978-3-211-45295-0_24. ISBN 978-3-211-28927-3. PMID 17017523.
- ^ "Avis de l'Agence française de sécurité sanitaire des aliments relatif aux risques liés à la consommation de corossol et de ses préparations" (PDF). Agence française de sécurité sanitaire des aliments. 28 April 2010. Retrieved 1 August 2013.
- ^ "FTC Sweep Stops Peddlers of Bogus Cancer Cures". US Federal Trade Commission. 18 September 2008.
- ^ "Man convicted over cancer 'cure'". BBC News. 10 September 2008.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아노나 무라카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Wikispeece의 Soursop 관련 데이터
- Soursop, List of Chemicals, Dr. James Duke, USDA Phyt화학 및 Ethnobotechanical Database, 2004년 11월
- 모튼, 줄리아 F. (1987) 따뜻한 기후의 과일: 사워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