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랄 해
South Aral Sea남아랄 해 | |
---|---|
![]() 2014년 8월 중순 아랄해. 남과 서쪽에 남아 있는 두 호수는 남 아랄해의 잔해다. | |
위치 |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중앙아시아 |
좌표 | 45°00˚N 화씨 58도 30분 / 45°N 58.5°E좌표: 45°00′N 58°30′E / 45°N 58.5°E/ 5 |
유형 | 내과성, 자연호수 |
일차유입 | 지하수 전용 (이전의 아무 다리아인) |
분지 국가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
표면적 | 서아랄해: 3,500km2(1,350 sq mi)(2005) (동해권역) 42,100 km2 (16,250 sq mi) (1980) |
평균 깊이 | 14–15m(46–49ft)(2005) |
최대 깊이 | 37–40m (197–1905ft) (2005) |
지표면 표고 | 29m(95ft)(2007) |
참조 | [1] |
남 아랄해는 1987년 농업용 하천 유입의 전환으로 그 주체가 둘로 갈라지면서 형성된 옛 아랄해 유역의 호수였다. 2003년에는남아랄해자체가 동서양 분지, 동해와 서아랄해로 갈라져 지표면 수위는 균형을 잡았지만 배합은 허용하지 않는 협소한 수로(고도 29m(95ft)로 연결됐고, 2005년에는북아랄해를댐으로 막아붕괴를 막았다 어업 유일한. 남아 있는 호수의 유입 2008년동해가 다시 갈라졌고, 2009년 5월에는 북해와 서해 사이에 작은 영구 바르사켈메스호수만 남고 아랄쿰 사막의 광활한 면적을 늘렸다.[2][3] 2010년에는 용해수로 인해 다시 부분적으로 채워졌고 2014년에는 다시 한 번 건조해졌다.[4] 서아랄해는 북서쪽에 있는 지하수에서 일부 보충이 이뤄져 있어 방해를 피할 가능성이 높다.[5]
배경
아랄해는 1960년대 소련이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목화와 식량작물을 관개하기 위해 아므 다랴와 시르 다랴를 양수하는 양강을 우회시키기로 결정하면서 줄어들기 시작했다. 1987년, 물의 빠른 손실로 인해 아랄해는 북부와 남부로 갈라졌고, 북부는 현재의 북아랄 해이다.
염분
2007년 서부 분지는 염도가 70g/l, 동부 분지는 100g/l이었다. 수위가 연결 통로(경사 29m) 아래로 떨어지면 염도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조건에서 동부 분지는 습한 해에 아무 다리아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염도가 변동하고 약 1미터 깊이의 소금물에 약 4500km의2 면적을 범람시킬 수 있어 경제활동이 금지되는 반면 서부 분지는 점차 염분이 된다.[6] 아무 다랴에서 서쪽의 더 깊은 분지로 직접 물을 흘려보내면 지역 어업을 재개할 수 있을 만큼 염도가 낮아지는 한편, 동쪽 분지는 거의 전적으로 건조시키고 홍수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7]
현재 상황
서아랄해는 지하수 방류를 연간 2km3(0.5 cu mi)로 가정했을 때 2,700–3,500km2(1,040–1,350 sqmi), 평균 수심 14–15m(46–49ft), 최대 수심 37–40m(121–131ft)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6] 동해는 2009년 여름에 작은 항구적인 바라켈메스 호수(북서해와 서부해 사이)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말라버렸지만 2010년봄에는 눈이 녹으면서 약간의물을 받았다. 2010년에 시작된 제2의 둑이 비록 북 아랄해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여름의 완전 방탕과 아무 다리아로부터의 간간한 홍수 또는 북 아랄해를 저지하는 댐의 유출은 후자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8월–동해의갯벌은 더 건조해졌고,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물방울만 희미하게 보일 뿐이다. Barsakelmes 호수는 북부와 서부 바다 사이에 나타난다.
2010년 7월– 재홍수된이어지는 채널의 클로즈업 서해로 동해에서. 하얀 지역은 새로운 아랄쿰 사막의 노출된 소금 평지다.
2015년 서해는 바다 중심부와 작은 북동부를 연결하는 수로가 점점 가늘어지면서 둘로 갈라지기 시작했다. (2014년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8년 이후 분할이 완료됐다.[8][9]
참조
- ^ "Seen from Space – South Aral Sea shrinking but North Aral Sea expanding". EORC. Retrieved 31 May 2017.
- ^ Harald Frater. "scinexx Aralsee: Ostbecken ist jetzt Wüste: Satellitenaufnahmen dokumentieren dramatische Austrocknung der letzen Jahre – Wüsten, Aralsee, Desertifikation, Wasser, Bewässerung, Landschaft, Landwirtschaft, Flüsse". Scinexx.de. Retrieved 1 September 2013.
- ^ "Freshwater Ecoregions of the World". Feow.org. 26 Febr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2. Retrieved 1 September 2013.
- ^ "The Shrinking Aral Sea Recovers : Image of the Day". Earthobservatory.nasa.gov. doi:10.1111/j.1440-1770.2010.00437.x. Retrieved 1 September 2013.
- ^ "Groundwater discharge into the Aral Sea after 1960". Journal of Marine Systems. 47: 109–120. doi:10.1016/j.jmarsys.2003.12.013.
- ^ Jump up to: a b 피터 O. 자비알로프, 2005, 죽어가는 아랄해의 물리적 해양학, 페이지 112
- ^ "수질 희소성 조건에서 아랄해의 생태계 회복과 생물유도성"(2007년 8월 개정)
- ^ https://www.weforum.org/agenda/2020/02/aral-sea-lake-water-nature-human-impact/ 2018년 위성 이미지
- ^ https://eurasianet.org/northern-arals-promise-stunted-by-dam-height-international-disputes 2020의 위성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