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어뢰
Spar torpedo스파어뢰는 긴 장대, 즉 스파의 끝에 배치되어 배에 부착된 폭탄으로 구성된 무기이다.이 무기는 스파의 끝을 적함에 박아넣어 사용한다.스파어뢰는 끝부분에 가시창이 달려 있어 나무 선체에 달라붙는 경우가 많았다.그런 다음 퓨즈를 사용하여 폭발시킬 수 있습니다.
발명.
로버트 풀튼은 1810년에 [1]해저 어뢰에 대해 썼고, 그 [2]해에 스파 어뢰를 이용한 실험이 실시되었다.스파어뢰를 실은 보트는 [3]1812년 전쟁 중에 사용되었다.
미국 남부 연합국을 위해 비밀 프로젝트를 수행했던 민간 기술자인 E. C. 싱어는 남북 전쟁 중에 스파 어뢰를 만들었다.그의 어뢰는 소총 잠금장치를 개조한 트리거 메커니즘을 통해 폭발했다.스프링이 장착된[4] 방아쇠는 공격 선박에 부착된 긴 코드로 폭발했다.공격선은 표적을 들이받고 철조망 어뢰를 선체에 박은 뒤 물러났다.공격자가 방아쇠 끈의 한계에 도달했을 때, 어뢰가 폭발했다.
사용하다
미국 남북전쟁 중 가장 유명한 스파 어뢰는 1864년 2월 17일 연합군 잠수함 H. L. Hunley에 의한 것이었을 것이다. Houseatonic은 비록 Hunley는 잃었지만, Union의 스크류 슬루프 USS Housatonic을 침몰시키는 데 성공했다.데이비드급 반잠수 공격선도 스파 어뢰를 사용했다.1864년 4월, 남부연합 어뢰정 CSS 스퀴브는 USS 미네소타에 [5][6]대한 예비 어뢰를 사용했다.
1864년 10월 27일부터 28일까지 밤, 쿠싱 중위는 남군의 철갑함 CSS 알베말호를 침몰시키기 위해 스파 어뢰를 사용했다.알베말호의 침몰은 연합 해군이 어뢰에 의한 남부 연합 선박의 침몰에 성공한 유일한 사건이었다.쿠싱 중위는 존 레이가 설계한 스파 어뢰를 사용했다.
1864년식 반잠수함 USS 스푸이텐 듀이빌은 스파 어뢰를 사용했지만 목표물에 철조망을 부착하지는 않았다.혁신적인 방향성과 확장성이 있는 스파 때문에, 이 비행기는 목표물 아래에 약간의 부력을 가진 기뢰를 방출할 수 있었고,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폭발할 것이다. (이 기체는 남군의 목표물에 대해 사용된 것이 아니라 강에서 잔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었다.)
스파 어뢰는 매우 유용한 무기는 아니었지만 19세기 후반에는 작은 나무 발사에도 사용되었다.기관차 어뢰(현대식 자주 어뢰의 현대식 용어)는 1870년대 잠수함과 소형 보트의 무기로 스파 어뢰를 대체했다.
스파어뢰는 루마니아 독립전쟁 당시 루마니아군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다.1877년 5월 26일, 우주선 룬두니카는 [7]다뉴브 강에서 오스만 강의 감시자 세이피를 침몰시켰다.
1884년 8월 23일 푸저우 전투에서 프랑스 제독 쿠르베는 중국 푸젠함대의 기함인 코르벳 양우와 함포 푸싱호를 침몰시킨 두 척의 예비 어뢰정을 잘 이용했다.그것은 스파어뢰가 어뢰망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적절한 [8]감시 없이 정박 중인 선박에 대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885년 2월 14일 쿠르베는 시푸 전투에서 두 척의 어뢰정으로 중국 호위함을 침몰시켰다.
스파 어뢰는 자동차 어뢰로 대체되었다.
원천
- ^ 풀튼, 로버트, 어뢰전쟁, 잠수함 폭발.윌리엄 엘리엇(1810)
- ^ 어뢰의 실용적 사용에 관한 실험, 1811년 2월 14일 하원에 통보. 제11차 의회, 제3차 회기, 일러스.(인: 미국주보, 워싱턴, 1834, 대 14, 해군문제, 대 1, 페이지 234-244).
- ^ 브란필 쿡, 로저, 어뢰: 세계에서 가장 혁명적인 해군 무기의 완전한 역사, 페이지 18.Seaforth 퍼블리싱 (2014).
- ^ "The Battle of Mobile Bay: "Damn the Torpedoes!"". Historical Marker Database. Retrieved 25 September 2015.
- ^ CSS 스퀴브해군 역사 및 유산 사령부입니다.
- ^ St. John Erickson, Mark, "뉴포트 뉴스 포인트 앞바다의 연합 함대에 대한 대담한 남부 연합 야간 공격", Daily Press, 2014년 4월 4일.
- ^ 크리스티안 크래시우노이우 루마니아 해군 어뢰정, 19페이지
- ^ Brassey's Annual; the Armed Forces Year-book, Praeger Publishers, 1888, p.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