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료(밴드)
Specimen (band)표본 | |
---|---|
![]() 표본 | |
배경 정보 | |
기원 | 영국 브리스톨 |
장르 | 고딕 록, 데스록, 새로운 물결, 포스트 펑크, 글램 록 |
년 활동 | 1981-1998, 2006-현재 |
레이블 | 메트로폴리스 시어 |
회원들 |
|
과거 구성원 | 아래 내용 참조. |
표본은 1980년대에 창설된 영국의 밴드다. 그들의 음악은 글램, 고트, 펑크, 포스트 펑크 등 여러 장르의 음악을 아우르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으며, 밴드는 음악적으로나 스타일리시하게 고트 하위 문화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citation needed]
초기
이 밴드는 1981년 영국 브리스톨에서 기타리스트 존 클라인(유럽 출신), 케빈 밀스(X-Certs 출신)[1]와 함께 보컬 올리 위즈덤이 결성했다. 그들의 첫 쇼는 찰스 왕세자와 다이애나 스펜서 부인의 결혼식을 축하하는 거리 파티에서 열렸다. 1982년, 이 밴드는 런던의 소호로 이전했고, 그곳에서 위즈니스 사는 악명 높은 바트케이브 주간 클럽-나이트를 설립했다.[2] 이언 애스턴버리는 펑크와 글램의 독특한 잡종인 이 밴드를 묘사했다. "시멘은 매우 어두웠지만 그들은 애덤스 패밀리만큼이나 독일적이었다. 그들은 마치 죽음의 보위 같았다."[3][4]
위지스가 다가가 시편과 함께 하자고 했을 때, 원래 키보드 연주자 조니 슬럿은 악기를 연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거절했다. 지혜는 고집했고 슬럿은 결국 안내 스티커를 이용하여 키보드 연주를 배웠다.[5] 데스호크 털로 알려질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 조니 슬럿은 마스카라와 검은 레이스를 입은 앞잡이 올리 자신 못지 않게 사진이 잘 받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밴드가 함께 있는 동안, 그들은 싱글 앨범과 미니 앨범만 낸 채 정규 앨범을 낸 적이 없다. 그러나 1997년에는 다양한 시편곡들을 수록한 2곡의 전편집이 발매되었다. 1985년 샤프 톱니 예쁜 톱니 싱글이 발매되면서 원래의 시편 라인업이 해체되었다.[6] 올리 위지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가 단명 미국판 시편을 만들었다.
포스트스파이먼
밴드가 분리된 후, 기타리스트 존 클라인은 수시와 밴쉬와 7년 동안 함께 일하다가 시네아드 오코너와 함께 일했다. 그는 또한 1998년 영국 영화 "웨이트드 투 말콤"에서 말을 하지 않는 역할로 출연했다.
조니 슬럿은 KLF 애덤스키와 함께 일하기 전에 마크 틴리, 아담 틴리와 함께 디스코드 다코드를 결성했고 현재는 아토마이저 소속이다. 그는 또한 런던에 Nag Nag Nag 클럽 나이트를 설립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하우스 DJ 중 한 명이었다.[7][8]
Tim Huthert는 계속해서 Teach 12월까지 합류했고, 최근에는 Jon Klein과 함께 Electric Ballowle 앨범을 녹음할 뿐만 아니라 새롭게 구성된 Jetboy와 함께 연주했다. 그는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Oli Wise는 계속해서 Space Cheme이라는 이름으로 사이키델릭한 무아지경 음악을 제작했다.
Kevin Mills는 Flice for Lulu에 합류했다.
금일 견본
2008년 7월, 1983년 오리지널 라인업이 런던에서 열린 바트케이브의 25주년 기념 행사에서 공연하기 위해 모였고, 그 결과 메트로폴리스의 바트케이브에서 라이브 앨범 'Sample Alive at the Batcample at the Batcave at the Batcave'가 발매되었다. 이번 재결합은 티비어스, 킴바, 스테판 바이런 살릿, 팀 허허트가 피처링된 2007년 일렉트릭 볼룸 앨범 제작과 올리 위즈니스, 조니 슬럿과 함께한 존 클라인의 콜라보레이션에서 직접적으로 불붙은 우정에서 비롯됐다.
2009년 2월 발레리 스틸과 제니퍼 팍스의 고딕 다크 글래머 전시 중 조니 슬럿과 존 클라인이 패션 기술원(뉴욕)에 출연해 심포지엄 '하위 문화와 스타일'을 했다.[9] 이 전시회는 존 클라인의 25년 된 무대 의상 중 하나를 알렉산더 맥퀸, 존 갈리아노, 릭 오웬스와 함께 선보였다.
2011년 5월, 이 밴드는 페이스북을 통해 조니 슬럿이 공식적으로 시료에서 은퇴했음을 확인했다. 같은 해 12월, 그들은 Johann Blley의 추가, 전 Juno Ractor, 키보드에서 Slut을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2011년 12월, 이 밴드는 프로듀서 겸 킬링 농담 베이스 연주자 유스(Killing Joke Basist Young)와 새 앨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11] 다음 달에는 Wake the Dead라는 이름을 공개하고 2013년 앨범 발매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Permise music 캠페인을 시작했다.[12]
밴드 멤버
|
|
음반 목록
앨범
- 일렉트릭 볼룸(2007), 메트로폴리스 레코드
- Wake the Dead(2013)
컴필레이션스
- 따뜻한 물방울 – 필름 레드벨벳 크러쉬 (1997)
- 아조이크(1997)
라이브 앨범
- Alive at the Batcave(2009) Metropolitan Records/Eyeswideshut Records
싱글 & EP
연도 | 제목 | 영국 [13] | 영국 인디 [14] | 라벨 |
---|---|---|---|---|
1983 | (여행에서) 돌아가기" / "키스 키스 뱅뱅" | 85 | – | 런던 레코드 |
1983 | "포이신의 아름다움" / "텔 테일" | 81 | – | 런던 레코드 |
1983 | "Batastrophe EP | – | – | 런던 레코드 |
1985 | "샤프 톱니" / "헥스" / "홀스" | – | 20 | 트러스트 레코드 |
1986 | "분쇄불능 / "브레인버스트" | – | – | 만연한 레코드 |
참고 항목
참조
- ^ "스페멘." 디스코그, 2019-03-02 검색
- ^ Johnson, David (1 February 1983). "69 Dean Street: The Making of Club Culture". The Face (issue 34, page 26, republished at Shapersofthe80s.com). Retrieved 7 April 2018.
- ^ "An Early History of Goth". Pete Scathe. 2017. Retrieved 4 March 2019.
- ^ 수잔 콜론, "침울한 세대," 디테일즈 매거진, 1997년 7월
- ^ 믹 머서 "고딕 록" 페가수스 출판사, 1991
- ^ "Specimen – Batastrophe EP". James Von Sutekh, 2010.
- ^ "Diskord Datkord – Free listening, videos, concerts, stats and pictures at". Last.fm. Retrieved 28 July 2014.
- ^ "Atomizer Music, Lyrics, Songs, and Videos". Reverbnation.com. Retrieved 28 July 2014.
- ^ 스틸, 발레리, 박, 제니퍼(2008). 고딕: 다크 글래머. 예일 대학 출판부. ISBN 0-300136943.
- ^ "Specimen – Timeline Photos". Facebook.com. Retrieved 28 July 2014.
- ^ "Specimen – Timeline Photos". Facebook. Retrieved 28 July 2014.
- ^ "Specimen: Wake The Dead". Pledgemusic.com. 2013. Retrieved 2 March 2019.
- ^ "SPECIMEN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www.officialcharts.com. Retrieved 5 August 2020.
- ^ "Indie Hits "S"". 6 June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1. Retrieved 5 August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