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조절

Spinal adjustment
지압사는 환자에게 조정을 한다.

척추 조절지압 조절척추 조작에 대한 그들의 접근법을 설명하기 위해 지압사들이 사용하는 용어일 뿐 아니라, 조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일부 골요병 환자들도 있다. 일화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척추 조절이 질병에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1]

척추 조정은 19세기에 지압의 창시자인 다니엘 데이비드 팔머에 의해 발명된 많은 지압 기술들 중 하나이다. 척추 조절의 이점에 대한 주장은 일시적이고 완화된 (통증 완화) 효과에서부터 장기적인 건강관리와 예방 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설명

지압 조정의 목적은 척추 관절의 정렬, 움직임 및/또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거나 교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척추의 비정상적인 정렬에서 기인하는 지압사들이 말하는 징후와 증상에 주어지는 비과학적인 용어인 '추상하류'를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2] 이러한 의도는 직업의 법적, 철학적 토대를 형성하며, 미국 의료보험법은 이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한다.

"지압 서비스의 적용범위는 특히 아류화를 바로잡기 위해 척추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메디케어는 '하류화를 바로잡기 위한 척추의 수동 조작'이 아니면 치료비를 지불하지 않을 것이다."[3]

지압술의 저자와 연구원 미커와 할드만은 지압술사들이 척추관절 이상을 교정하는 치료와 건강증진 효과에 대한 믿음을 반영하는 용어인 "조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모든 지압술사들이 동의하는 핵심 임상 방법은 척추 조작이라고 쓰고 있다."[2]

국제지압사협회(ICA)는 "지압 척추조절이 지압 직업에 독특하고 특이하다"면서 "지압골과 인접 구조의 일부를 방향적으로 교정하는 지렛대로 활용해 척추에 특정한 추력을 가한 것이 특징이다"고 밝히고 있다. 조절은 역류를 개선하거나 교정하려는 명시적 의도를 가진 척추골에만 적용할 수 있는 반면, 역류하든 아니든 관절을 동원하거나 관절의 운동 범위를 통과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척추 조작과 구별되어야 한다. 지압술은 치유술의 전문 분야로, 선행권에 의해 척추조절이 뚜렷하고 지압술 직업에 단수적이다."[4] 한 저자는 이 개념이 이제 주류 지압술에 의해 거부되었다고 주장한다.[5] 이 절차의 정의는 치료 목적으로 특정 신체 조직에 하중(힘)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 "하중"은 전통적으로 손으로 공급되며 속도, 진폭, 지속시간, 주파수 및 신체 위치(p. 218)[2]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보통 HVLA(고속 저진폭) 추력이라고 약칭한다.[6][7]

조정방법

지압 전문직이 성장함에 따라 개인 실무자들과 기관들은 다양한 독점 기법과 방법을 제안하고 개발하였다. 이러한 기술들 중 많은 것들이 견뎌내지 못했지만, 오늘날에는 수백 가지의 다른 방법들이 척추지압술에 남아있다. 그들 모두가 HVLA 추력 조작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대부분 사례 연구, 일화적 증거, 환자 추천서를 효과성의 증거로 인용한다. 이러한 기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Toggle Drop – 이는 지압사가 교차된 손을 사용하여 척추의 특정 부위를 강하게 누를 때 발생한다. 그런 다음 빠르고 정확한 추력으로 지압사가 척추를 조절한다. 이것은 척추관절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진다.
  • 허리 롤(일명 측면 자세) – 척추 지압사는 환자를 옆으로 배치한 다음 잘못 정렬된 척추에 빠르고 정밀한 조작 추력을 가하여 적절한 위치로 되돌린다.
  • Release Work – 지압사는 손가락 끝으로 척추뼈를 분리하기 위해 완만한 압력을 가한다.
  • 테이블 조정 – 환자가 특수 테이블에 누워 있고, 그 위에 떨어지는 부분이 있다. 지압사는 단면이 떨어지는 동시에 빠른 추력을 가한다. 테이블을 떨어뜨리면 다른 기법을 수반할 수 있는 비틀림 위치 없이 가볍게 조정할 수 있다.
  • 계기 조정 – 종종 척추를 조정하는 가장 부드러운 방법. 척추지압사가 스프링 작동기를 사용하여 조정을 수행하는 동안 환자는 테이블 위에 엎어져 있다. 이 기술은 종종 동물들에게도 조정을 행할 때 사용된다.
  • 마취 상태에서 조작(MUA) – 이는 환자가 전통적인 조절에 반응하지 않을 때 병원 외래환자 환경에서 이 기법에 따라 인증된 지압사가 수행한다.

기술

척추 교정술사들이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고 척추 조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Activator Methods – 수동 조정 대신 Activator Adjustment Instrument를 사용하여 신체에 일관된 기계적 저력 고속 임펄스를 부여한다. 다리 길이 분석을 사용하여 세그먼트 이상 여부를 결정한다.
  • 능동 방출 기술 – 근육, 힘줄, 인대, 근막 및 신경의 문제를 치료하는 연조직 시스템/이동 기반 기술
  • 생체-기하학 통합 – 힘 역학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다양한 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신체의 힘의 완전한 통합과 각각의 특정 사례 제시를 위해 경압에서 전통적인 관절 공동화에 이르는 가장 적절한 조정력 적용을 선택하기 위한 평가에 초점을 맞춘다.
  • 블레어 상경부 기술 – 머리(Occiput)와 접촉할 때 척추(아틀라스)의 첫 번째 뼈에 오정맥이 생기는 것에 주로 초점을 맞춘 객관적 상경부 기술.
  • 지압 생물물리학(CBP) – 전통적인 지압 조작(SMT)으로 척추의 부적절한 곡선을 교정하기 위한 기법, 집중적인 재활 운동, 기계적으로 보조되고 집중적인 스트레칭을 활용하여 척추의 인대와 관련 조직을 스트레칭하고 개조하는 독특한 형태의 척추 견인력.
  • Cox Flexion-Distraction - 이동 가능한 부품과 함께 특수 조정 테이블을 사용하는 감압 집중 절차. 이러한 테이블은 부드러운 흔들림 동작으로 척추의 면과 인대를 확장하고 압축을 푼다.
  • 방향 비강력 기법 – 신체가 신경 간섭을 일으키는 구조물의 정렬 불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완만한 도전과 독특한 다리 점검으로 구성된 역류 분석에 진단 시스템을 활용한다. 부드럽지만 방향적으로 특정한 엄지손가락 임펄스는 뼈와 부드러운 조직 구조에 오랫동안 지속적인 보정을 제공한다.
  • 다양화 – D.D에 의해 개발된 고전적인 지압 기술. 파머, DC 정상적인 생체역학 기능 회복에 초점을 맞춘 특정한 수동 추력 사용. 극지관절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곤스테드 기법 – 지압사로 변신한 자동차 엔지니어가 개발한 이 기법은 척추를 손상시킬 수 있는 척추의 "토킹"을 비난하는 신경관절, 척추 X선 및 정밀 조정 기법을 사용하여 매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 홀인원 기법/토글 리코일 기법 – B.J. 팔머가 개발한 상경부 기법에 대한 동의어로서 빠른 추력과 릴리즈를 활용하였고, 이후 현대적 실무에서 볼 수 있는 드롭 테이블을 통합하였다.
  • 케일 기법(특정 지압) – 뇌간을 둘러싼 상경부 부위를 조정하고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특수 조정표를 활용하는 부드러운 기법.
  • Logan Basic Technology – "기초 평준화" 또는 천골에 작용하는 가벼운 터치 기술. 그것의 개념은 힐 리프트와 특정 접점의 사용을 채택한다.
  • NUCCA 기법 – 정확한 구동선 또는 힘의 벡터를 결정하는 3D X선 연구를 기반으로 아틀라스 아류산 복합체를 조정하는 수동 방법.
  • 정형외과적 시술 – 세 방향에서 채취한 목 X선에 대한 척추 정렬 측정을 바탕으로 지압상경부하류 복합체를 분석하고 교정하는 방법이다. 조정은 약 1 ~ 7파운드의 힘을 사용하여 사전 계산된 벡터를 따라 손, 핸드헬드 또는 테이블 장착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환자는 단단한 마스토이드 지지대로 옆으로 누운 자세다. 그 절차는 고 존 F의 작업에 근거한다. 그로스틱, DC
  • Thompson Terminal Point Technology(Thompson Drop-Table Method) – 추력이 주어지기 전에 환자를 "위" 위치에 고정하기에 충분한 장력만을 추가하는 체중 메커니즘이 있는 정밀 조정 테이블을 사용한다.

수년 동안, 이러한 기술들의 많은 변형들이 전달되었고, 대부분은 개인 실무자들에 의해 개발된 독점적인 기술들이다. WebMD는 다음과 같은 일부 목록을 작성했다.[8]

영향들

근골격계 질환

척추 조정의 효과는 수행 방법에 따라 다르다. 모든 기술은 근육의 긴장감 감소에서 스트레스 감소에 이르는 다른 수작업 요법과 유사한 효과를 주장한다. 대부분의 환자가 근골격계 질환으로 척추지압사에게 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요통이 낮은 60%, 머리, 목, 극단적 증상이 있는 환자. (p.[2] 219) 또한 '지압: 주류와 대체의학의 갈림길의 직업'이라는 글에서 "지압은 치유의 혁명적인 시스템이 되는 것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척수 수준의 '충격' 신경에 의한 신경 기능 장애가 대부분의 불능의 원인이라는 전제하에" (p. 218)[2] 신경계 기능을 변화시키고 전반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되는 메커니즘은 본질적으로 추측하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임상시험은 "placebo-제어된 비교와 다른 치료법과의 비교"를 포함하는 것으로 수행되었다. (p. 220)[2] 미국 지압 협회는 "출생 트라우마를 포함한 열악한 자세와 신체 부상은 어린이의 일반적인 질병의 일차적인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척추 역학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기능에 직접적이고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론에 따라 유아와 어린이의 지압 치료를 촉진한다.[9]

척추 조작의 효과를 근골격계 통증의 일시적인 안도감, 관절의 운동 증가 범위, 면 관절 운동학의 변화, 증가하는 통증 내성과 늘어난 근육의 힘을 포함하여(페이지의 주 222)[2]척추 술수에 치료(SMT사용)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가벼우며 includ 것 적당한 특징으로 보여지고 있어 왔다.e: 국소적 불편, 두통, 피곤함 또는 복사적 불편함. (222 페이지)[2]

비근골격계 질환

역사적으로 이 직업은 척추 조절이 내장과 그 기능에 생리적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항상 거짓 주장해 왔는데, 이는 모든 질병은 척추와 다른 관절의 역류로 인해 발생한다는 파머의 원론적 논문에서 비롯된 견해다. 시간이 흐르면서 지압사, 골격병 환자, 그리고 다른 수작업의학 제공자들이 비근골격계 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척추 조작 요법(SMT)을 사용하는 등 이러한 관점을 가진 지압사는 더 적다. 그러나 비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이러한 개입의 효과와 효과는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10]

2019년 '8개국 연구자 50명, 18개 척추지압기관 참관자 28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정상회의가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50명 중 44명이 '유아성대장균, 소아천식, 고혈압, 1차 이상질환 등 비근골격계 질환 관리에 시만텍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편두통을 앓다 이번 발견은 시만텍으로 척추기능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 장기와 그 기능에 생리적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의 타당성에 도전한다."[10]

안전

척추 조작의 안전성을 확립하기에 충분한 자료가 없다.[11] 부작용의 비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12] 부작용은 척수 조작의 무작위 임상 실험에서 점점 더 보고되지만 2010년 CONSTA 지침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고되지 않고 있다.[13][14] 그것은 종종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일시적인 부작용과 관련이 있으며,[12] 또한 뇌졸중, 척추 디스크 탈취, 척추 및 늑골 골절, 카우다 에퀴나 증후군을 포함한 영구적인 장애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결과와도 관련이 있다.[2][15] 심각한 결과는 매우 드물다.[16] 약 절반의 사람들이 척추 조작에[citation needed] 따른 부작용을 겪었다고 보고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1. ^ "Sense about Chiropractic" (PDF). Sense About Science. Retrieved 31 December 2012.{{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 ^ a b c d e f g h i Meeker WC, Haldeman S (2002). "Chiropractic: A Profession at the Crossroads of Mainstream and Alternative Medicine". Ann Intern Med. 136 (3): 216–27. CiteSeerX 10.1.1.694.4126. doi:10.7326/0003-4819-136-3-200202050-00010. PMID 11827498. S2CID 16782086.
  3. ^ "Coverage for Chiropractic Services". Medicare.
  4. ^ 조정척추 조작 ICA 정책 설명: 척추 조정 및 척추 조작. ICA.
  5. ^ David Chapman-Smith (2000). The Chiropractic Profession: Its Education, Practice,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NCMIC Group. p. 160. ISBN 978-1-892734-02-0.
  6. ^ Lisi, Anthony J.; Bhardwaj, Mukesh K. "Chiropractic High-Velocity Low-Amplitude Spinal Manipulation in the Treatment of a Case of Postsurgical Chronic Cauda Equina Syndrome".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27 (9): 574–578. doi:10.1016/j.jmpt.2004.10.002.
  7. ^ 피터 기븐스, 필립 테한 척추, 흉부, 골반 등의 조작 : 골격요법적 접근법
  8. ^ 지압 응용 프로그램. 웹MD
  9. ^ American Chiropractic Association (1994). "Infant and child care policy". Dyn Chiropr. 12 (17).
  10. ^ a b Côté, Pierre; Hartvigsen, Jan; Axén, Iben; Leboeuf-Yde, Charlotte (February 17, 2021). "The global summit on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spinal manipulative therap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on-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hiropractic & Manual Therapie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9 (1). doi:10.1186/s12998-021-00362-9. ISSN 2045-709X. PMC 7890602.
  11. ^ Gouveia LO, Castanho P, Ferreira JJ (2009). "Safety of chiropractic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PDF). Spine. 34 (11): E405–13. doi:10.1097/BRS.0b013e3181a16d63. PMID 19444054. S2CID 21279308. Safety in chiropractic manipulation is far from being achieved. Further investigations are urgent to assess definite conclusions regarding this issue. ... There is insufficient data to produce a robust conclusion on safety of chiropractic interventions.
  12. ^ a b Ernst E (2007). "Adverse effects of spinal manipulation: a systematic review". J R Soc Med. 100 (7): 330–8. doi:10.1258/jrsm.100.7.330. PMC 1905885. PMID 17606755. Lay summaryMed News Today (2007-07-02). {{cite journal}}: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 lay-source= (도움말)
  13. ^ Gorrell, LM; Engel, RM; Brown, B; Lystad, RP (September 2016). "The reporting of adverse events following spinal manipulation in randomized clinical trials-a systematic review". The Spine Journal (Systematic Review). 16 (9): 1143–51. doi:10.1016/j.spinee.2016.05.018. PMID 27241208.
  14. ^ Ernst E, Posadzki P (2012). "Reporting of adverse effects in randomised clinical trials of chiropractic mani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N Z Med J. 125 (1353): 87–140. PMID 22522273.
  15. ^ Senstad O, Leboeuf-Yde C, Borchgrevink C (February 1997).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side effects of spinal manipulative therapy". Spine. 22 (4): 435–40, discussion 440–1. doi:10.1097/00007632-199702150-00017. PMID 9055373. S2CID 7482895.
  16. ^ "Safety and regulation of chiropractic". NHS Choices. 20 August 2014. Retrieved 22 September 20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