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 호흡
Smooth breathingἈ | ἀ |
Ἐ | ἐ |
Ἠ | ἠ |
Ἰ | ἰ |
Ὀ | ὀ |
ῤ | |
ὐ | |
Ὠ | ὠ |
매끄러운 호흡(Ancient Greese: ψιλνν μα, 로마자: psilòn pneûma, 그리스어: ψιλήή psili; 라틴어: spīritus lēnis)은 다음체 맞춤법에 사용되는 이음 부호다.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단어의 시작부터 무성 마찰음 /h/가 없음을 나타낸다.
일부 당국은 글로탈 스톱(glottal stop)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했지만, 두 번째 단어가 글로탈 스톱(또는 다른 형태의 스톱 자음)으로 시작했을 때 다음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고 엘립이 일어나지 않을 때 단어 끝의 최종 모음은 정기적으로 엘립(제거)된다. W.S. 알렌은 그의 복스 그라카에서 글롯탈 스톱 해석을 "매우 있음직하지 않은"[1]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부드러운 호흡(᾿)은 초기 모음 1개 위에, 두 번째 모음인 디프통 또는 수도의 왼쪽 위에, 그리고 특정한 판에서는 한 쌍의 밧줄의 첫 번째에 쓰여진다. 그것은 항상 거친 호흡을 가지고 있는 초기 업실론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즉, 초기 이름은 ὔ y가 아니라 ὕ hy이다).
그 부드러운 호흡은 헬레니즘 시대의 언어에서 /h/음이 사라진 후에도 전통적인 다음체 맞춤법에서 유지되었다. 그것은 현대의 단조적 맞춤법에 의해 삭제되었다.
역사
기호의 기원은 문자 H의 오른쪽 절반(┤ )으로 생각되는데, 고대 그리스 문자에서는 [h]로 사용되었고, 다른 문자에서는 모음 eta로 사용되었다. 그것은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에 의해 개발되었다. 독자들이 비슷한 단어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였다. 예를 들어 " "ρος"(호흡이 거칠음)과 "ὄροςς"(원활한 호흡)[2]이 있다. 중세 및 현대 각본에서는 닫는 반달(역자 C) 또는 닫히는 작은따옴표(역자 C)의 형태를 취한다.
- ἀ
- Ἀ
구 교회 슬라보니아어를 쓸 때 초기 키릴 문자 및 글래골 문자에서도 부드러운 숨결이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단순한 규칙에 따라 교회 슬라보닉에서 사용된다: 어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모음 위에 psili가 있다. 러시아어 표기 체계에서는 피터 대왕이 알파벳과 글꼴식 개혁(1707년)을 하면서 삭제하였다. 그 밖의 키릴어 기반의 현대식 문자 체계는 모두 페트린 대본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매끄러운 호흡을 한 적이 없다.
코로니스
크레이시스(crasis)에 의해 수축된 모음 위에 쓰여진 기호인 코로니(cornis, κοωωω,, koroni, "crow's bury" 또는 "벤트 마크")는 원래[when?] αα᾽ μά의 글자 뒤에 아포스트로피였다.[4] 현재 사용 중인 고대 그리스어 표기는 부드러운 호흡 표시인 τμμά과 함께 중모음 위에 쓰여 있으며, 현대 그리스어 표기의 크레이시스 표기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유니코드
In Unicode, the code points assigned to the smooth breathing are U+0313 ◌̓ COMBINING COMMA ABOVE for Greek and U+0486 ◌҆ COMBINING CYRILLIC PSILI PNEUMATA for Cyrillic. 스페이스 + 스피릿러스 레니스의 쌍은 U+1FBF ᾿ 그리스 PSILY이다. 관상동맥에는 두 개의 고유한 코드 포인트인 U+1FBD ᾽ GRESK KORNIS와 U+0343 ◌ GRESH KORNIS를 결합한 U+0343가 할당된다.
참고 항목
참조
- ^ Allen, W.S. (1968–1974). Vox Graeca: A guide to the oronunciation of classical Gree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0626-X.
- ^ Sturtevant, E.H. "The Smooth Breathing". JSTO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Retrieved 29 January 2021.
- ^ "crasis".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 ^ 용어 참고 사항:
영어의 크레이시스(crasis)는 보통 단어의 합병을 말하지만, 원래 그리스어의 단어의 감각은 더 일반적이어서 더 이상 그렇지 않지만, 시네레시스를 포함한 모음 수축과 관련된 대부분의 변화를 언급하였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