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의 스포츠

Sport in Latvia

라트비아 스포츠에는 농구, 축구, 아이스하키, 육상, 럭비, 테니스, 사이클 등이 포함됩니다.아이스하키는 역사적으로 라트비아 스포츠 중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농구가 그 뒤를 바짝 따르고 있다.라트비아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하키 선수 산디스 오졸리시, 축구 선수 마리스 베르파코프스키스, 올림픽 창던지기 선수 야니스 루시스, 올림픽 BMX 챔피언 마리스 스트롬베르크스, 농구 선수 크리스탑스 포르지시스가 있다.라트비아의 국민 스포츠는 아이스하키입니다.

아이스 하키

아이스하키는 [citation needed]라트비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프로리그는 1931년부터 개최된 라트비아 하키 리그이다.라트비아에는 몇몇 아마추어 하키 리그도 있다.아이스하키는 1920년대부터 라트비아에서 열렸다.라트비아는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의 회원국으로 여러 차례 세계선수권대회와 1936년 동계올림픽에 참가했다.1940년 라트비아가 소련에 점령된 후, 라트비아의 IIHF 가입은 중단되었다.라틴계 사람들은 소련에서 아이스하키를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라트비아의 Dinamo Rgaga 팀은 1946/1947년 겨울 제1회 소련 챔피언십 토너먼트에 출전한 11개 팀 중 하나였다.라트비아의 하리스 멜럽스는 1948년 첫 국제 경기에서 소련 대표팀의 골텐더였다.

라트비아 하키는 1960년대에 디나모 라가가 소련 하이리그(비샤야 리가)에서 1부 리그로, 그리고 2부 리그로 강등되는 등 쇠퇴를 겪었다.1970년대에 CSKA 모스크바와 소련 대표팀의 감독인 빅토르 티코노프의 지휘 하에 복귀하기 시작했다.1973/1974 시즌, Dinamo Rgaga는 엘리트 리그로 복귀하여 1991년 소련이 끝날 때까지 머물렀다.

1975년 디나모 라가의 빅토르 하툴레프는 NHL(National Hockey League)에 의해 선발된 소련 최초의 아이스하키 선수가 되었지만 소련 선수들은 외국 팀에서 뛸 수 없었기 때문에 출전할 기회가 없었다.헬무츠 발데리스는 1970, 80년대 라트비아 하키에서 가장 빛나는 스타로 라트비아 공격수로는 역대 최다 득점 기록(소련 대회 333골)을 달성했다.그는 소련 엘리트 리그에서 두 번(1977년과 1983년) 득점왕을 차지했고 올해의 선수상을 한 번(1977년) 받았다.발데리스는 소련 국가 대표팀에서도 뛰었는데, 1980년 미라클 온 아이스 경기에서 패했지만 다른 때(1978년, 1979년, 1983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발데리스는 1977년 세계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 최고의 포워드로 선정되었다.그의 계속된 높은 득점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정치적 또는 국가적 이유로 인해 1984년 동계 올림픽에 소련 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했다.이로써 발데리스는 대표팀에서 뛰었지만 올림픽 금메달을 따지 못한 소련 아이스하키 공격수 중 역대 최다 득점자가 됐다.골키퍼 비탈리즈 사모일로프아르튀르스 이르베도 1980년대에 소련 팀에서 활약했으며, 이르베는 1990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최고의 골텐더였다.사모일로프스는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소련 팀의 백업 골키퍼였다.

Dinamo Rgaga에게 최고의 시즌은 소련 엘리트 리그가 NHL 방식의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도입한 첫 번째 시즌인 1987/1988년에 있었다.Dinamo Rgaga는 정규시즌에서 3위를 차지했고 준결승에서 Dynamo Moscow를 꺾은 후 결승전에서 1980년대 소련의 영원한 챔피언이었던 CSKA Moscow에게 패했다.

라트비아가 1991년 독립을 되찾은 뒤 라트비아는 IIHF 회원 자격을 회복했고 라트비아 대표팀은 국제 대회에 복귀했다.새로운 팀으로서, 그들은 처음에 세계 선수권 대회의 C 풀(3부 리그)에 배정되었고 더 높은 수준의 경기에 참가해야 했다.그들은 1994년에 B풀에서, 1997년에 최상위 A풀에서 데뷔했다.라트비아는 그 이후 A풀 챔피언십에 출전했다.가장 좋은 결과는 1997년, 2004년, 2009년 7위였다.라트비아는 메달 경쟁자는 아니지만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미국을 두 번(1998년과 2001년), 숙적 러시아를 두 번(2000년과 2003년) 꺾으며 상위권 팀들에 대해 몇 차례 역전승을 거뒀다.라트비아는 2002년 동계 올림픽, 2006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2019년 현재 24명의 라트비아 아이스하키 선수들이 NHL에서 뛰고 있다.그 중 첫 번째 선수는 1989-90시즌 36세의 나이로 미네소타 노스 스타즈 에서 뛰기 위해 온 헬무츠 발데리스였다.Sandis Ozolišsh, Arturs Irbe, Sergejs ZoltoksKarrlis Scrastišsh가 가장 성공적이었다.오졸리슈는 1995-96시즌 콜로라도 애벌란체에서 라트비아인으로는 유일하게 스탠리 컵을 우승했습니다.오졸리시와 이르베는 NHL 올스타전에 출전했다.NHL에서 뛴 다른 라트비아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알렉산드르스 케르치스, 그리고리즈 판테예프, 프테리스 스쿠드라, 빅토르스 이그나트예프, 헤르베르트 바시예프, 카스파르스 아스타셴코, 라티스 이바난스, 야니스 스푸룩츠, 하리스 비예프, 무르티시

2006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가 라트비아에서 열렸다.

농구.

라트비아에서 농구는 아이스하키 [citation needed]다음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라트비아는 오랜 농구 전통을 가지고 있다.라트비아는 1935년에 첫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37년에 두 번째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소련 시절 라트비아 남자 농구팀인 Rgasgas ASK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 소련 리그에서 우세를 보였으며 1958년, 1959년, 1960년에 소련 리그 우승과 3번의 유럽 챔피언 컵 우승을 차지하였다.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4명의 라틴계 선수들인 야니스 쿠르미시, 발디스 무이즈니크, 체르스 오제르, 마이고니스 발드마니스가 은메달 획득에 성공했다.1956년과 1964년 하계 올림픽의 소련 올림픽 팀에는 각각 3명의 라트비아 선수가 있었다.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소련 팀은 라트비아인 1명이었다.

여자 인 TTT 리가 팀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매우 성공적이었고, 유럽 챔피언 컵을 18번 우승했는데, 이는 어떤 팀 스포츠에서도 가장 많은 숫자이다. 2.12m(7피트)의 키는 이 기간 동안 여자 팀의 주요 선수였다.그녀는 또한 국제 경기에서 소련 팀과 함께 매우 우세했고, 국제 대회에서 단 한 경기도 지지 않았고, 2번의 올림픽과 3번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남자 농구에서는 가드 발디스 발터스가 1980년대 최고의 찬사를 받은 선수였다.그는 1981년 소련팀과 유럽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해 대회 최우수선수로 인정받았지만 발터의 전성기였던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보이콧으로 올림픽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또 다른 라트비아인인 이고르 밀리니크스는 4년 후인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소련 팀과 함께 금메달을 땄다.

라트비아는 1992년에 독립국으로 국제 대회에 복귀했다.1992년 하계 올림픽 예선은 라트비아 팀의 첫 번째 대회였다. 명의 라트비아 선수인 이고르 밀리니크스와 군다르 부트라에 의해 큰 논란이 일어났다.올림픽 출전권이 확실한 통합팀과 기회가 있었지만 출전권이 없는 라트비아 대표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그 두 선수는 통합 팀에서 뛰는 것을 선택했다.그들 없이 경기를 한 라트비아 팀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이것은 라트비아에 큰 분노를 일으켰고 두 선수는 국제 경기에서 라트비아를 위해 뛰지 않았다.

라트비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 라트비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대회는 2001년 유럽선수권대회로, 라트비아 팀이 8위를 차지했다.센터/파워 포워드 카스파르 캄발라는 이번 대회에서 라트비아 최고의 선수였다.라트비아의 전국 선수권 대회인 라트비야스 바스켓볼라 레가는 1990년대 브로체니 팀과 2000년대 벤츠필스 팀이 장악했다.2006년 벤츠필스 팀은 7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군다르스 비트라는 1993년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에서 13경기 동안 잠깐 뛰었을 때 NBA 최초의 라트비아인이 되었다.안드리스 비에드리쉬는 2004년 NBA 드래프트에서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 의해 11번째 지명을 받아 이미 3시즌 동안 뛰었고, 라트비아 선수로는 두 번째로 NBA에서 뛴 선수가 되었다.그는 2004-05 NBA 시즌 최연소 선수였다.2015년 NBA 드래프트에서 뉴욕 닉스는 당시 스페인 클럽 발롱체스토 세비야에서 뛰고 있던 크리스탑스 포르지스를 4차 선발로 뽑았다.

2007년 유로바스켓 여자농구대표팀이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첫 농구대표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인 준결승에 진출해 러시아와 맞붙었다.부상에 허덕이던 라트비아는 주요 선수 군타 바슈코와 아네테 요카보네 조고타에서 결국 패해 4위에 올랐고 벨라루스에게 패했다.라트비아는 세르비아와 함께 여자 유로바스켓 2019를 공동 주최한다.

육상 경기

라트비아 선수들은 올림픽과 유럽/세계 선수권에서 메달을 획득했습니다.가장 최근에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투창에서 은메달을 딴 아이나르 코발스.스타슬라브 올리야르스는 2002년에 은메달과 200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10m 허들에서 금메달을 땄다.예나 프로콥추카는 2005년과 2006년 뉴욕시 마라톤에서 우승했다.

소련에는 라트비아의 위대한 창던지기 선수들이 많이 있었다.창던지기 선수 이네세 얀제메는 1956년 올림픽에서 우승한 최초의 라트비아인이 되었다.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또 다른 창던지기 선수인 엘보라 오졸리샤가 금메달을 땄다.라트비아의 창던지기 선수 야니스 루시스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우승했고 유럽 챔피언도 4번 했다.루시스는 1968년에 91.68m, 1972년에 93.80m의 두 개의 창던지기 세계 기록을 세웠다.1987년 IAAF는 를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창던지기 선수로 지명했다.또 다른 창던지기 선수는 1980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다이니스 쿨라였다.

럭비 유니온

테니스

2006년 이후, 테니스는 어니스트스 굴비스의 업적 때문에 라트비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가 되었다.그는 2007년 US오픈 4라운드에 진출해 세계 랭킹 8위 토미 로브레도를 제쳤다.2008년 프랑스오픈 8강전에서 세계 랭킹 3위 노박 조코비치가 패했다.굴비스는 2014년 6월에 10위에 올랐다.

또 다른 성공적인 테니스 선수는 우크라이나 태생의 라리사 닐란드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최고의 여자 복식 선수 중 한 명이었다.나타샤 즈베레바와 함께, 그녀는 그랜드 슬램 복식 대회에서 두 번 우승했다.단식 최고 성적은 1994년 윔블던과 1988년 US오픈 8강이다.WTA 단식 랭킹에서 그녀의 최고 위치는 1996년 58위였고 1992년 초에는 복식 랭킹 1위였다.

라트비아는 1993년 유럽·아프리카 지역 2조 승격을 시작으로 데이비스컵에 참가하고 있다.2000년에 라트비아는 III그룹으로 강등되었다.라트비아는 내년에 2조로 돌아왔지만 2002년에 다시 강등되었다.라트비아는 이미 내년에 2조에 복귀했고 그 이후로 그곳에서 경기를 하고 있다.2007년에 라틴계 사람들은 모나코 팀을 만났다.라트비아가 우승하여 2008년에 I조로 승격하였고, 라트비아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패하였다.굴비스 외에도 안디스 유슈카, 데니스 파블로프, 카를리스 레즈니크스와도 한 팀이었다.

2017년 예나 오스타펜코2017년 프랑스오픈 여자단식 우승으로 라트비아인 최초로 그랜드슬램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8년 3월에는 여자테니스협회(WTA)에서 개인 최고 랭킹 5위에 올랐고 개인 최고 복식 랭킹 32위에 올랐다.

또 다른 WTA 선수로는 2017년 통산 15위까지 올라 4강 1회 등 US오픈 8강 3회, WTA 3회 우승을 차지한 아나스타시자 세바스토바가 있다.

페드컵에서 라트비아는 2018년 러시아꺾고 세계 2조 자리에 올랐다.

어소시에이션

축구는 라트비아에서 독립 첫 기간(1918-1940) 동안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였다.

라트비아 대표팀은 2004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 결승전에 참가했다.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득점자는 마리스 베르파코프스키스이다.국제 기업인 메디컴이 실시한 스포츠 마케팅 조사에 따르면 라트비아에서 축구가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결론지어졌으며, 라트비아는 3년 연속 이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이 연례 연구는 라트비아의 65개 스포츠 활동을 고려하며, 각 스포츠가 미디어에서 받는 보도량과 행사 참석률을 추적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및 경쟁적 수준에서 각 스포츠의 능동적 및 수동적 참가자의 양을 고려하여 그 인기를 계산한다.

사이클링

또한 라트비아 사이클 선수들은 최근 BMX에서 세계무대에서 유명하다. 유럽 역사상 처음으로 한 나라 라트비아 BMX 엘리트 라이더(Arturs Matisons, Ivo Lakuchs, Maris Shtrombergs Artis Zentišsh)가 2006년 유럽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마리스 슈트롬베르크는 2008년과 2010년 UCI BMX 세계 챔피언이었으며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라트비아의 선수 Romanns Vainshteins2000년 UCI 도로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엘리트 로드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모터스포트

랠리는 라트비아에서 [citation needed]두 번째로 인기 있는 스포츠로 여겨진다.랠리 리파자-벤츠필스는 2013년부터 열리는 유럽 랠리 선수권 대회이다.

라트비아 스피드웨이 그랑프리는 2006년 이후 스피드웨이 그랑프리의 라운드이다.

랠리크로스 레이니스 니티시스는 2013년 슈퍼 1600클래스에서 유럽 랠리크로스 챔피언이었으며 18세2014년 노르웨이 월드 RX를 우승하면서 FIA 월드 랠리크로스 챔피언십 라운드의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습니다.니티시스는 이후 발트해 국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랠리크로스에서 유럽 챔피언이 됐다.그 후, 야니스 바우마니스는 2015년 유럽 슈퍼 1600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그의 전철을 밟고 있으며, 또한 1부 리그에서도 경주하고 있다.

라트비아는 또한 2012년 포뮬러 투에 참가한 하랄드 슐레겔밀스와 2008년 독일 포뮬러 쓰리에 참가한 카를레네 슈탈라라는 두 개의 오픈휠 드라이버를 보유하고 있다.

기타 스포츠

라트비아에서는 다른 많은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활동도 인기가 있습니다.

갤러리

라트비아의 유명 스포츠맨 갤러리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Harder, Wolfgang (May 2014). "Now Latvia's most successful Olympians: Andris and Juris Sics" (PDF). FIL Magazine. Vol. 1, no. 51. Berchtesgaden, Germany: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 p. 8. Retrieved 12 January 2019.
  2. ^ 동계 올림픽으로 가는 밴디!
  3. ^ 2021년 5월 30일 열리는 남자 21세 이하 세계선수권대회 알리 이베손(Inside the Games)에 출전하는 23개 라크로스 팀을 기록한다.2021년 6월 9일에 접속.
  4. ^ "Continental Cup Finals start in Africa". FIVB. 22 June 2021. Retrieved 7 August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