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시 시코라

Stacy Sykora
스테이시 시코라
Stacy Sykora.jpg
개인정보
국적미국인의
태어난스테이시 데니스 시코라
1977년 6월 24일 (1977-06-24) (44세)
미국 텍사스 포트워스
높이5피트 9인치(1.75m)
배구 정보
숫자5
국가대표팀
1999–2012 미국

스테이시 데니스 시코라(Stacy Denise Sykora, 1977년 6월 24일 출생)는 은퇴한 미국 배구 선수다.[1]그녀는 텍사스 A&M 대학교에서 두 번 전미 선수였고 미국 여자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2000년2004년 올림픽에 모두 출전했다.그녀는 2008년 올림픽에서 세 번째 올림픽에 출전하여 미국팀의 은메달을 도왔다.[2]

그녀는 2001년2010년 FIVB 월드 그랑프리 대회에서 그녀의 팀과 함께 금메달을 땄다.[3]

초년

스테이시 시코라는 텍사스 포트워스에서 에드 시코라와 셰리안 리차드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녀는 두 언니인 킴과 케리와 함께 버러슨(포트워스 교외)에서 자랐다.[4][5]버러슨 고등학교의 학생으로서, 시코라는 올림픽 선수가 되는 것을 꿈꿨지만, 배구와 농구, 육상 경기 중 하나를 선택하기를 꺼렸다.고교 졸업 후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6]딴 미국 배구팀의 일원인 로리 플라흐마이어 코벨리 감독 밑에서 텍사스 A&M대학 배구 장학금을 받았다.

텍사스 A&M 대학교

시코라는 텍사스 A&M 대학에 재학 중 헵타슬론에서 빅12 콘퍼런스 타이틀을 따내며 배구, 농구, 트랙에서 경쟁했다.[7]진정한 1학년인 시코라는 배구팀의 30경기 중 한 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에 출전해 4경기 킬과 3차례 발굴에서 팀을 이끌었다.[5]

2학년 때, 시코라는 NCAA 토너먼트에서 미시건주에 3전 3패로 24개의 디브로 학교 기록을 세웠다.전국 랭킹 1위인 로욜라 메리마운트를 상대로 통산 30킬을 올리며 아지스를 승리로 이끌었다.시코라는 경기당 평균 4.01개의 디브로 빅12를 이끈 뒤 텍사스 A&M 배구 수비수로 선정돼 AVCA 올스타그 5의 영예를 안았다.[5]

주니어 시절에는 시코라가 팀을 이끌며 디브이에서 빅12 2위에 올라 경기당 평균 3.80을 기록했다.일년 내내 그녀의 활약으로 그녀는 조지아 인비테이셔널, 퍼스트 팀 올 빅 12, AVCA 올 구역 5 그리고 AVCA 세컨드 팀 올 아메리칸의 MVP로 선정되었다.[5]

대학 마지막 해인 이듬해 시코라는 경기당 발굴 순위(4.37)에서 전국 9위에 올랐다.그녀는 또한 경기당 4.74로 아지스를 킬에서 이끌었고 퍼스트 팀 올 빅 12의 영예를 안았다.그녀는 또한 미국 배구 코치 협회의 5번 전 구역 팀에 임명되었고 ABCA 2팀 전 미국 선수였다.[5]

USA 배구

1999

1998년 말 국제 배구는 수비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로라는 새로운 포지션을 도입했다.시코라의 코치인 코벨리는 그녀가 미국 배구팀의 새로운 포지션에 도전하도록 격려했다.[6]1999년 1월에 시코라는 미국 여자 배구팀에 합류하여 이 새로운 포지션을 맡았다.국제 경기 첫해 동안 그녀는 월드컵에서 153개를 포함해 팀 최고 기록인 456개의 디브를 기록했다.그녀는 또한 발굴 부문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BCV 발리 마스터스에서 최우수 리시버로 선정되었다.일본 투어에 있는 동안, 그녀는 6월 30일 경기에서 22개의 디브를 기록했고, 동메달의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팀의 주요 패스 선수와 수비 선수가 되었다.[5]

2000

프로 2년차인 시코라는 다시 553개로 디브이에서 팀을 이끌었다.그녀는 나이키 아메리카의 배구 챌린지에서 최우수 리베로로 선정되어 그녀의 팀이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도록 도왔다.[5]비록 올림픽에서 4위를 차지했지만, 시코라는 5세트 8강전에서 한국과의 통산 26승 등 123개의 디브로 모든 선수들 중 2위를 차지했다.[4]브라질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시코라는 통산 1000번째 발굴을 올렸다.[5]

2001

이듬해 시코라는 서브 리시브와 발굴 부문에서 모두 선두에 오른 뒤 몽트뢰 배리볼리 마스터스에서 최우수 리베로상을 받았다.그녀는 월드 그랑프리와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 컵 모두에서 최우수 디거로 선정되었고, NORCEA 챔피언십에서 최우수 리시버 상을 받았다.그녀의 도움으로, 그 팀은 NORCA 챔피언십, 월드 그랑프리, 세계선수권 예선전에서 1위를 차지했다.[5]

국제대회 시즌이 끝나갈 무렵 시코라는 이탈리아 세리에A1에서 프로배구팀 미라빌란디아 테오도라 라벤나에 입단했다.[5]

2002

2002년, 시코라는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그녀의 팀을 은메달에 이르게 도왔다.그녀는 이탈리아 세리에 A1 스타핀 라벤나에서 프로로 뛰며 비시즌을 보냈다.[4]

2003

시코라는 2003시즌 미국 배구대표팀의 디브(533개)와 세트당 디브(3.46개)에서 선두로 나섰고, 미국이 8-3으로 앞선 11경기에서 총점 89점(85킬, 3블록, 1 에이스)으로 6위에 그쳤다.그녀의 팀은 팬아메리칸 컵과 NORCA 존 챔피언십에서 금메달을 땄고 월드 그랑프리 그리고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미국에 진출권을 주었다.시코라는 몽트뢰 배리 마스터스에서 베스트 디거로 선정되었다.[5]

2004

미국 대표팀은 2004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해 1위에 올랐지만 첫 5경기 중 3경기(독일·쿠바와의 경기, 중국·도미니카공화국·러시아와의 경기)에서 패하는 등 부진했다.그들의 2-3 기록은 8강 플레이에서 가장 낮은 시드를 기록하여 무패의 브라질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8강전에서 브라질에 첫 2세트를 내준 뒤 다음 두 세트를 내줬지만 최종 세트를 브라질에 15-6으로 내주며 미국은 이번 대회에서 공동 5위에 머물렀다.[8]팀의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시코라의 활약은 올림픽 게임에서 최고의 디거 상을 받았다.[6]아테네 올림픽에 이어 시코라는 미국 대표팀을 떠났다.

미국 여자 국가대표팀과의 경기 중 시코라

2007

프로그램으로부터 3년 떨어진 후, 시코라는 2007년 일본 여자 월드컵에서 뛰었던 미국 여자 대표팀의 12인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다.월드컵 상위 3개 팀이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다.[9]미국팀은 3위로 마쳤다.메달 라운드에서 브라질에 패해 은메달을 거머쥐는 등 결국 금메달에 도달했다.[10]

2010

그녀는 2010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베스트 디거와 베스트 리베로로 선정되었다.[11]

2011

시코라는 브라질 배구단 Vlelei Futuro에서 얼마간 뛰다가 4월 12일 브라질 배구 슈퍼리그 4강 1차전으로 가는 도중 소속팀을 태운 버스가 전복되면서 부상을 입었다.[12]그녀는 시리오-리바네스 병원으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그녀는 머리 외상과 뇌 왼쪽에서 출혈이 감지되었다.그 선수는 진정제를 맞고 중환자실에 입원했다.중환자실에서 일주일을 보낸 후 시코라의 상태가 호전되어 스스로 호흡하고 먹을 수 있게 되었고 간호사들의 도움으로 병원 복도를 돌아다닐 수 있게 되었다.[13]시코라는 중환자실을 나와 4월 19일 준중환자실로 옮겨졌다.[14]그녀는 마침내 5월 6일에 퇴원했다.[15]

2012

2012년 12월 스테이시는 볼레이 후투로를 수비하던 중 당한 사고에서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프로배구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그녀는 여전히 시력에 문제가 있었고 그 사고 이후 반사신경을 잃었고, 이것은 라이베로 배구를 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었다.[16]

사생활

2012년 시코라는 이탈리아 배구 전문지 팔라볼리아모와의 인터뷰에서 레즈비언으로 나와 부분적으로는 "여자친구가 있고 지금은 그녀와 함께 있어 행복하다…….나는 행복하고 이것이 가장 중요한 거야."[17]

수상

개인들

참조

  1. ^ "3-time volleyball Olympian Sykora to retire". ESPN.com. 2013-07-31. Retrieved 2022-01-18.
  2. ^ "Stacy Sykora". Team USA. Retrieved 2022-01-18.{{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3. ^ FIVB. "USA claim third FIVB World Grand Prix title with perfect record". Retrieved 2010-08-29.
  4. ^ a b c "Sykora, Stacy". US Olympic Te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5, 2006. Retrieved 2007-03-14.
  5. ^ a b c d e f g h i j k "Stacy Sykora". USA VOlleyball. Retrieved 2008-06-03.
  6. ^ a b c Kimmell, Tom (April 5, 2005). "Sykora reflects on life as a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 USA Volleyball. Retrieved 2007-03-14.
  7. ^ Gold, Eric (2004). "Profile: Stacy sykora". The Boston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4-08-21. Retrieved 2007-03-14.
  8. ^ "End comes too soon for U.S. women". MSNBC. August 25,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5, 2004. Retrieved 2007-03-14.
  9. ^ "BRIEFS". Fort Worth Star-Telegram. 2007-10-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1. Retrieved 2007-10-29.
  10. ^ "Silver is golden for U.S. women in volleyball fi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8-25.
  11. ^ FIVB. "Russia repeat as world champions". Retrieved 2010-11-14.
  12. ^ USA Volleyball. "USA Volleyball's Sykora Involved in Bus Accident". Retrieved 2010-11-14.
  13. ^ Globo Esporte. "Stacy caminha pela primeira vez" (in Portuguese). Retrieved 2011-04-18.
  14. ^ Globo Esporte. "Stacy Sykora deixará UTI nesta Terça-Feira" (in Portuguese). Retrieved 2011-04-19.
  15. ^ Globo Esporte (2011-05-06). "Stacy Sykora recebe alta do hospital" (in Portuguese). Retrieved 2011-05-06.
  16. ^ UOL (2012-12-11). "Stacy Sykora tem sequelas, não supera problema de visão e decide abandonar o esporte" (in Portuguese). Retrieved 2012-12-11.
  17. ^ "Archived copy". www.afterelle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anuary 2013. Retrieved 3 February 2022.{{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