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 광장
Statue Square동상 광장 皇后像廣場 | |
---|---|
퍼블릭 스퀘어 | |
이전 이름: 로열 스퀘어 | |
![]() 2008년 6월, HSBC 빌딩을 향해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 동상 광장. | |
완성 | 19세기 |
위치 | 중앙, 홍콩 |
동상 광장 | |||||||||||||
---|---|---|---|---|---|---|---|---|---|---|---|---|---|
중국어 번체 | 皇后像廣場 | ||||||||||||
중국어 간체 | 皇后像广场 | ||||||||||||
|



동상광장(중국어: 皇后像廣場; 점등) 엠프레스 동상 광장)은 홍콩 센트럴에 있는 공공 보행광장이다. 19세기 말에 완전히 간척지 위에 세워진 동상 광장은 채터 로드가 북쪽과 남쪽 구역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은 코나우트 로드 센트럴, 남쪽은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과 접해 있다.
는 광장에서 홍콩의 세계 대전 동안 일본 점령까지 서서 영국의 왕족, 주로의 동상에 그 이름은 참조입니다. 오늘날, 광장에 있는 유일한 동상은 초기 HSBC 은행가인 제1 남작인 토마스 잭슨 경의 동상이다.
역사
이 광장은 19세기 말에 프라야 간척 계획에 의해 매립된 땅에 지어졌다. 왕족에게 바치는 동상들의 광장에 대한 생각은 캐치크 폴 채터 경에 의해 구상되었다.[1] 처음에는 "로얄 광장"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곳은 1887년 여왕의 황금 주년을 기념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동상이 원래 들어 있었기 때문에 점차 "Statue Square"로 알려지게 되었다.[2][3] 여왕의 동상은 청동이 아니라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어야 했는데, 청동상이 거의 완성될 때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오류였다.[1][2] 제77회 여왕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임명된 날인 1896년 5월 28일 광장 중앙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4]
1906년 홍콩과 상하이 은행 주식회사의 수석 매니저인 토마스 잭슨 경의 동상이 공개되었다.[5][6] 잭슨의 동상과 HSBC건물 앞의 두 청동 사자 외에도, 그 나머지 일본에 정복한 일본인들에 의해 2차 대전 중들을 녹여야만 쫓겨났다.
런던 화이트홀에 있는 세노타프의 복제품인 세노타프는 레지날드 에드워드 스터브스 경에 의해 1923년 5월 24일(황제의 날) 공개되었다.[7] 홍콩 클럽 빌딩과 마주보고 있는 동상 광장 북동쪽에 세워졌다.[8] 이 지역은 이제 흔치 않게 동상 광장의 일부로만 언급되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그 조각상들 중 일부는 홍콩으로 반환되었다. 토마스 잭슨 경은 이제 대략 광장 한가운데에 서서 최종 항소 법원 건물과 마주보고 있다. 빅토리아 여왕의 동상은 빅토리아 파크에 놓였고,[2] 두 마리의 HSBC 사자는 HSBC 건물 앞으로 돌아왔다. 일본인에 의해 제거된 조지 5세의 청동상은 전쟁 후 분실되었고 교체된 적이 없었다.[2]
1980년대부터 수천 명의 필리핀 가사노동자들이 평소의 휴식일인 일요일마다 동상광장에 모여드는 것은 전통이었다. 그 후 빅토리아 파크에서는 홍콩에 있는 인도네시아의 가정 도우미들을 위해 유사한 전통이 개발되었다.[9]
주변 건물
- 남쪽
HSBC 홍콩 본사 건물은 광장 남쪽을 따라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을 가로지르고 있다. 이 부지는 이전에 구 시청(1869년, 1933년 철거)과 HSBC 홍콩 본사 건물의 이전 세대들이 점유했다.
- 동쪽
- 서쪽
광장 서쪽에는 영국 왕족들을 연상시키는 이름을 가진 건물 몇 채가 지어졌다. 프린스 빌딩과 퀸즈 빌딩은 광장(남쪽 구역과 북쪽 구역)을 따라 바로 지어졌고, 다른 건물들은 더 서쪽으로 지어졌다.
- 프린스 빌딩 1904–1963, 현재의 프린스 빌딩(1965)으로 대체
- 퀸즈 빌딩 1899–1961, 만다린 오리엔탈, 홍콩 호텔(1963년)로 대체
- 킹스 빌딩 1905-1958, 마르코니 와이어리스의[citation needed] 본거지 그리고 현재 채터 하우스의 발자국의 일부분
- 세인트조지 빌딩(St George's Building, 聖佐19大66) 1904–1966, 밀링턴 리미티드(Millington Limited[citation needed])가 소재하고 현재의 세인트조지 빌딩으로 대체되었다. 조지 빌딩 오피스 타워 (1969년)
- 알렉산드라 빌딩 (亞山大行) 1904–1950년 웨일스 공주의 이름을 따서 지은 건물로, 후에 퀸 알렉산드라 빌딩(1952–1974)과 지금은 알렉산드라 하우스(1976년)로 대체되었다.
- 북쪽
광장은 처음에는 북쪽의 빅토리아 하버와 접해 있었으나, 토지 매립에 이어 2007년까지 스타 페리 부두를 수용한 에든버러 플레이스와 분리되어 있다.
조각상들
오늘날, 광장에 있는 유일한 자유로운 동상은 토마스 잭슨 경의 동상이다. 또한 그리스의 정의와 법의 여신 테미스의 2.7m 높이의 블라인드 폴딩 동상이 최종 항소 건물 법원 페디멘션 위에 서 있으며,[10] 광장을 마주보고 있다. 역사적으로 광장에 전시되어 온 조각상들은 다음과 같다.
- 빅토리아 여왕 동상. 1896년 5월 28일 공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인에 의해 납치되어 1952년 홍콩으로 돌아왔다. 그것은 지금 빅토리아 공원에 있다.
- 1902년 이전에 추가된 앨버트 왕자의 동상.[11][citation needed]
- 코너트 공작의 동상. 캐치크 폴 채터(Catchick Paul Chatter)가 기증하여 1902년에 건립하였다. 1907년 블레이크 피어 인근 [12]코나우트 로드 센트럴과 페더 가의 수변으로 옮겨졌다.[13]
- 제1대 남작인 토마스 잭슨 경의 동상, 홍콩과 상하이 은행 지점장. 1906년 2월 24일 주지사 매튜 네이쓴에 의해 공개되었다.
- 에드워드 7세 동상 조지 에드워드 웨이드에 의해 만들어진 청동상.[1] 캐치크 폴 채터(Catchick Paul Chatter)가 기증하고 1907년 2월 6일 코너트 공작이 베일을 벗었다.[12][14]
- 후에 조지 5세가 된 웨일스의 왕자 동상. 홍콩 전기 회사의 이사인 존 벨 어빙이 기증하고 1907년 2월 6일 코너트 공작이 베일을 벗었다.[12][14]
- 알렉산드라 여왕 동상.[12] 조지 에드워드 웨이드에 의해 만들어진 청동상.[1] 1909년 11월 25일 공개 그것은 일제 강점기에 제거되었다.[15][16]
- Teck의 메리 동상, 웨일스 공주와 미래의 퀸 메리. 조지 에드워드 웨이드에 의해 만들어진 청동상.[1] 호르무스지 나오로지 모디가 "그들의 왕과 여왕을 위한 파르시스의 충성과 존경을 보여주는 진정한 징표"[17]로 기증했다. 1909년 11월 25일 공개 그것은 일제 강점기에 제거되었다.[15][18]
- 15대 홍콩 주지사 헨리 메이 경의 동상 1923년 5월 [12]3일 공개
- HSBC 제1차 세계 대전 기념상 '페임' 1923년 [19]5월 24일 공개
또한 동상 광장 외부에 위치한 왕족 및 식민지 관리자들의 동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
- 식물원에 있는 아서 케네디 경의 동상(사진) 1883년 그가 바다에서 사망한 후 공모를 통해 세워졌으며,[20] 1887년 11월 새로 도착한 윌리엄 데스 부스 주지사에 의해 공개되었고 "분수를 내려다보며 두 번째 테라스 위에 서 있었다".[21] 이것은 일본의 군사 점령 기간 동안고 회복되지 못하여제거되었다.[22]
- 홍콩 동물원과 식물원에 있는 조지 6세 왕의 동상. 1941년에 세워졌지만 여전히 서 있다.[23]
대중문화에서
이 위치는 어메이징 레이스 17회 10회 '핏 스톱'이었다.[24]
갤러리
1905년 빅토리아 여왕 동상과 그것의 원래 위치에 있는 캐노피 조각상.
2006년 10월 빅토리아 공원에 있는 빅토리아 여왕 동상.
1930년대 알렉산드라 여왕 동상.
2006년 3월 프린스 빌딩을 배경으로 제1대 남작 토마스 잭슨 경의 동상.
2009년 5월 센트럴 MTR 스테이션 출구 K.
참고 항목
- 홍콩의 역사
- 홍콩의 도시 공원 및 정원 목록
- HSBC 은행원 아서 모스의 이름을 딴 모스 파크
참조
- ^ a b c d e 리즈 채터(Liz Chatter)가 2009년 7월에 발간한 홍콩의 동상 광장
- ^ a b c d 워디, 제이슨 1999년 5월 2일, "오래된 여왕을 그 자리에 앉힌 광장"
- ^ Wordie, Jason (2002). Streets: Exploring Hong Kong Island.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pp. 27–33. ISBN 962-209-563-1.
- ^ Bard, Solomon (2002). Voices from the past: Hong Kong, 1842–1918. Hong Kong University Press. p. 146. ISBN 978-962-209-574-8.
- ^ Bard, Solomon (2002). Voices from the past: Hong Kong, 1842–1918. Hong Kong University Press. p. 87. ISBN 978-962-209-574-8.
- ^ Clarke, David James (2001). Hong Kong art: culture and decolon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ISBN 978-0-8223-2920-6.
- ^ 제안 등급 I 항목에 대한 간략한 정보, 페이지 53–54 웨이백 기계에 2012년 10월 13일 보관
- ^ "1923 세노타프 공개", Gwulo: Old Hong 웹사이트
- ^ Wordie, Jason (2002). Streets: Exploring Hong Kong Island.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p. 152. ISBN 962-209-563-1.
- ^ 2010년 2월 2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입법 위원회 웹 사이트
- ^ Trea, Wiltshire. [1987년 처음 출판] (재출판 & 축소 2003년. 올드 홍콩 – 1권. 중앙, 홍콩: FormAsia Books Ltd. 8 페이지 ISBN 962-7283-59-2
- ^ a b c d e Arthur Hacker "Statue Square: 아서 해커가 홍콩 동상에 대한 역사를 파헤친다." 시티라이프
- ^ 리즈 채터, 굴로 동상 광장의 동상 세부 정보: 올드 홍콩 웹사이트
- ^ a b "Royalties in Hongkong". The Straits Times. Singapore. 6 February 1907. Retrieved 19 October 2015.
- ^ a b Gwulo.com: 1909년 동상 광장에 동상 제막
- ^ Gwulo.com: 알렉산드라 여왕 동상 (1909-1942)
- ^ Carroll, John M. Edge of empires: Chinese elites and British colonials in Hong Kong. Harvard University Press. p. 163. ISBN 978-0-674-01701-6.
- ^ Gwulo.com: 웨일스 공주의 동상, 후에 메리 여왕 (1909-1942)
- ^ "페임", HSBC 전쟁기념상[1923–1942]," Gwulo: 올드 홍콩 웹사이트
- ^ 1883년 7월 26일자 7면, "홍콩의 아서 케네디 경의 동상", "스트레이츠 타임즈, 주간지"
- ^ K. E. Shaw, George Gray Thomson (1973). The Straits of Malacca,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the Indian and Pacific Oceans. University Education Press. p. 192.
- ^ Bard, Solomon (2002). Voices from the past: Hong Kong, 1842–1918. Hong Kong University Press. pp. 64–65. ISBN 978-962-209-574-8.
- ^ 영화 서비스 사무소: 홍콩 동물원과 식물원[permanent dead link]
- ^ Kwiatkowski, Elizabeth (29 November 2010). "'The Amazing Race's Nick DeCarlo and Vicki Casciola survive again". Reality TV World. Retrieved 1 January 202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동상광장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유물 기념물 보관소: 동상 광장
- 알랭 르 피촌 "빅토리아의 심장: 빅토리아 시대 공적의 상징으로 홍콩의 동상 광장이 등장" 레부 리사/리사 전자저널 [온라인], 볼. VII – n°3, 2009. 2009년 5월 25일 이후 온라인. 2011년 8월 15일 검색됨
- Ng, Chi-ho, "동상 광장의 메타몰포시스" , 홍콩 대학교,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