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G.호
Stephen G.스티븐 G. 호(Haw, 1951년 출생)는 식물 분류학자[1] 겸 역사학자로, 중국과 관련된 주제를 전문으로 한다.그는 여러 권의 출판된 책과 많은 정기간행물들의 저자다.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나무 모랑의[2] 분류 체계와 동아시아의 몽골 시대 역사와 관련이 있다.그는 마르코 폴로의 동아시아 정벌 역사에 관한 연구에 큰 공헌을 했다: 몽고 정복 역사에 관한 권위자인 피터 잭슨에 따르면, 그의 마르코 폴로에 관한 책은 "이제 틀림없이 폴로의 중국 방문의 역사성을 둘러싼 논쟁을 해결했을 것"이라고 한다.[3]
옥스퍼드 대학교(와덤 칼리지)에서 중국어를 공부했고, 런던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그는 중국 산동대학에서도 공부했다.[4]그의 첫 번째 책인 중국의 백합은 1986년에 출판되었다.이어서 그는 중국: 문화사(1991년), 중국 여행자의 역사 (초판 1995년; 몇 권의 후속판), 브로드레이브 에버그린스(2001년), 마르코 폴로의 중국(2006년), 베이징 – 간결한 역사(2007년)를 저술했다.이 중 '중국 여행자의 역사'가 핀란드어, 스웨덴어, 포르투갈어로 번역 출간됐다.[5]한 평론가는 이 책에 대해 "예비 중국 관광객을 위한 단일 출처 문제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내가 지금까지 본 그런 책 중에서 단연 최고의 시도"[6]라고 썼다.
그의 논문은 왕립 원예협회의 출판물 The Garden and the Plantsman, Hortus, Country Life, The Edinburgh Journal of Botany, Acta Phottaxonica Sinica를 포함하여 많은 다양한 정기 간행물에 실렸다.최근 몇 년간 중국 내 몽골의 역사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기사가 학술지에 실렸는데, 그 중에는 왕립 아시아학회지, 동아시아사학회지, 동양아프리카학회지, 아시아사학저널 등이 있다.[7]
출판물
책들
- 중국의 백합, Batsford, 1986년
- 중국: 1990년 Batsford, 문화사
- A Traveller's History of China, Windrush Press, 1995; 2nd edition, 1998; 3rd edition, Orion Books, 2002; 4th edition, 2004; published in the USA by Interlink Books, now in 5th edition; translated into Finnish as Matkaopas historiaan: Kiina; Puijo, 1996; 2nd edition, Unipress, 2005; translated into Swedish as Historisk guide till Kina; Historiska Media, 1999; 포르투갈어로 히스토리아 da China; Tinta-da-China, 2008.인터링크 북에 나타난 중국 여행자의 역사
- 잎이 넓은 에버그린: 나무, 관목 및 등반가, GMC 간행물, 2000
- 마르코 폴로의 중국: 2006년 루트리지의 후빌라이 칸 왕국의 베네치아인; 페이퍼백판, 2009년.루트리지에서의 마르코 폴로의 중국
- 베이징 – 간결한 역사, 2007; 페이퍼백판, 2008.베이징 - 루트리지에서의 간결한 역사
기타도서출고
- Pen 및 Spade별, D 편집.휠러, 앨런 서튼, 1990년
- D가 편집한 후한 정원.휠러, 앨런 서튼, 1991년
- D가 편집한 플랜트 라이프.1991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M. Moore
선별된 정기 간행물
- 무단: 꽃의 왕.정원 110: 154 – 59, (1985)
- 파스크 꽃.가든 111, 165 – 68 (1986)
- 모란 문제.정원 111: 326 – 68 (1986)
- 정원 국화의 기원.정원 111, 525 – 28 (1986)
- 중국 꽃이 피는 매실과 체리.가든 112, 224 – 78 (1987년)
- 아시아계 벨플라워.정원 112, 567 – 69 (1987년).
- 대나무는 서쪽으로 온다.가든 113, 557 – 61 (1988)
- 천 송이의 꽃잎.국가 생활 1990년 5월 17일: 188 –89 (1990)
- Paeonia sumpruticosa Andrews의 특별한 세금에 대한 검토.Botany 47 (3) 에든버러 저널: 273 – 81 (1990) [L. A. Lauener와 공동 저술]
- 나무 모란: 해결된 문제.플랜트맨 13: 94 – 97 (1991)
- 영국의 파에오니아.The New Plantsman 7: 160 – 63 (2000).
- 나무 모란, 그들의 역사와 분류법에 대한 고찰.The New Plantsman 8: 156 - 71 (2001)
- 가변종인 파에오니아 들라바야이.The New Plantsman 8: 251 – 53 (2001)
- 나무 모란 - 최근의 문학에 대한 리뷰.Plantsman New Series 5: 88 – 92; 258 – 60(2006)
- 몽골 제국 – 최초의 화약 제국?영국왕립아시아학회지 23.3: 441 – 469(2013년)
- 캐서얀 화살표 및 유성:중국 로켓의 기원.중국 군사 역사 저널 2: 28 – 42 (2013)
- 두 카한의 죽음: 1242년과 1260년의 사건 비교.동양아프리카학부 회보 76.3: 361 – 71(2013년)
- 바린의 페르시아 아내의 바얀과 다른 복잡한 문제들.아시아 역사 저널, 48.2: 263 – 79(2014년)
- 몽골의 티베트 정복.영국왕립아시아학회지 24.1: 37 – 49(2014년)
- 위안스웨스트 중국의 페르시아어: 재탕.동아시아 역사 39:5 – 32(2014년)
- 충실한 마음의 역사 (신시): 후기 명작 위작.영국왕립아시아학회지 25.2: 317 - 325 (2015)
- 세무족은 원나라에서 태어났다.밍칭 옌지우 18: 39 - 63(2014년)
- CE 2세기에서 9세기 사이의 중국과 인도양 사이의 해상 항로.영국왕립아시아학회지 27.1: 53 - 81 (2017)
- 시나몬, 카시아 그리고 고대 무역.고대사와 고고학 저널 4.1: 5 - 18 (2017)
- 퉁오일과 통나무.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ándischen Gesellschaft 167.1: 215 - 236 (2017)
- 샴파의 이슬람교와 사실의 역사 만들기.영국왕립아시아학회지 28.4: 717 - 747 (2018)
- 자스민의 신비와 광톤의 아랍계 집.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ándischen Gesellschaft 168.2: 415 - 436 (2018)
참조
- ^ IPNI(International Plant Name Index): IPNI는 The Royal Botanic Garden, Kew, The Harvard University Herbaria, Australian National Herbarium이 협업한 제품이다.
- ^ 카스텐 버크하트의 웹 프로젝트 파에오니아
- ^ 잭슨, 피터(2007) 스티븐 G의 리뷰 호 마르코 폴로의 중국. A Venetian in the Realm of Khubilai Khan,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70: 438-40. see also Birge, B., (2007) Review of Marco Polo’s China: a Venetian in the realm of Khubilai Khan, Journal of Asian Studies 66.1: 240-42 and Lane, G. (2008) Review of Stephen G. 호, 마르코 폴로의 중국: 후빌라이 칸 왕국의 베네치아인. 영국왕립아시아학회지, 18.3: 378-81.
- ^ Haw, S.G. 베이징 - 간결한 역사: i.
- ^ 'Stephen G의 책'을 참조하십시오.밑에.
- ^ Hammond, Kenneth J, A Traveler's History of China (재검토), China Review International 4.2: 426-27 (1997년)
- ^ 이러한 내용은 "공고:아래 선택된 정기 간행물".
- ^ IPNI. S.G.H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