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린제이

Stephen Lindsay

D. 스티븐 린지(Stephen Lindsay)는 기억 분야의 인지심리학자브리티시 컬럼비아 빅토리아 대학교(UVIC) 심리학 교수다.[1][2]그는 1987년에 프린스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3]

린제이의 연구는 인간 기억에 초점을 맞추고 있performance,[4]는 요소들과 과정 그것을 이끌기 위해 허위 기억들, 잘못된 신념에 대해 지난 경험과 기억 왜곡과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에 다른 분야 같은 목격자들의 기억과 그 효과에 대한 결정에 수사, 치료에서 컨텍스트의톤그기억을 되찾아 놓고 [1]논쟁하다

린지는 그의 분야에서 인정을 받았다.그는 수많은 저널 기사를 출판했고, 몇 권의 책을 편집하거나 공동편집했으며, 많은 편집된 책들에 장들을 기고했다.그는 1995년 미국 심리학회 실험심리학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으며, 실험심리학 저널의 편집장을 역임했다.2001년부터 2007년까지 장군, 2005년 심리과학협회 펠로우(People of Social Science)가 되었으며, 2006년 빅토리아대 사회과학부 교수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심리과학부장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린제이는 1991년 UVIC의 교직원이 되었고, 이전에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교편을 잡고 맥마스터 대학에서 래리 제이코비와 박사후 펠로우십을 마쳤다.

교육

린지는 1981년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고 리드 대학을 졸업했다.[3][5]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건설 노동자로 일하던 짧은 기간 후, 그는 1983년 프린스턴에서 대학원 공부를 시작했다. 그의 박사 과정은 유명한 기억 연구자 마르시아 존슨에 의해 감독되었다.그는 논문에서 처음에는 진실에 반하는 은신처를 상상하는 것이 아이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물체의 실제 공간적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그는 존슨이 진행 중인 리얼리티 모니터링(외부적이고 물리적으로 경험된 사건의 기억과 상상력, 사상 등 내부 소스에서 유래한 기억을 구분하는 과정)[6]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이것은 사람들이 주어진 기억이 어디에서 오는지, 자신의 경험에서 오는지, 텔레비전 방송에서 오는지, 친구에 의해 들려지는 이야기 등, 소스의 모니터링에 관한 더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 작업하게 했다.그의 마지막 논문은 소스 모니터링 오류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서 기억의 두 잠재적 출처가 얼마나 비슷한지에 초점을 맞췄다.[3]

리서치

린제이의 초기 연구는 사람들이 기억, 지식, 믿음의 기원을 확인하려고 할 때 무엇을 하는지 소스 모니터링에 초점을 맞췄다.[7]Marcia Johnson과 다른 메모리 연구자들과 함께, 그는 소스 모니터링 결정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모델인 소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중심적으로 관여했다.이 연구의 본문은 광범위하게 인용되며, 기억 과정이 어떻게 이해되는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잘못된 기억, 기억 왜곡 및 메타인지적 판단의 본질에 대한 추가 연구를 위한 길을 열었다.그는 또 어떤 요인들이 그러한 판단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그의 현재 메모리 성능에 대한 연구에는 인식 메모리 민감도 향상에 관한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4]

린제이는 회복된 기억력 논쟁으로 부분적으로 기억력 오류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3] 회복된 기억력 치료의 결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8]그리고 회복된 기억력의 본질과 원인들.[9]그는 또한 목격자 증거의 정확성에 대한 출처 감시 프레임워크의 함축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년 동안 목격자 증언에 대한 기억의 심리학의 응용을 연구해 왔다.[10]목격자 증언과 관련된 그의 현재 연구는 (흔히 부정확한) 목격자 증거가 용의자의 유죄에 대한 수사관들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참조

  1. ^ a b "Steve Lindsay". Faculty page. University of Victoria. Retrieved 7 June 2012.
  2. ^ "Steve Lindsay's Lab". Faculty page. University of Victoria. Retrieved 1 November 2021.
  3. ^ a b c d Lindsay, D. Stephen (2012). "How I got started".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6 (3): 497–498. doi:10.1002/acp.1833.
  4. ^ a b Kantner, J.; Lindsay, Stephen D. (2010). "Can corrective feedback improve recognition memory?". Memory & Cognition. 38 (4): 389–406. doi:10.3758/mc.38.4.389. PMID 20516220.
  5. ^ Lindsay, D. Stephen. "Curriculum Vitae" (PDF). Retrieved 1 June 2012.[영구적 데드링크]
  6. ^ Johnson, Marcia K.; Raye, Carol L. (1981). "Reality monitoring". Psychological Review. 88 (1): 67–85. doi:10.1037/0033-295X.88.1.67.
  7. ^ Johnson, Marcia K.; Hashtroudi, Shahin; Lindsay, Stephen D. (1993). "Source Monitoring". Psychological Bulletin. 114 (1): 3–28. doi:10.1037/0033-2909.114.1.3. PMID 8346328.
  8. ^ Lindsay, D.S. (1996). Pezdel, K.; Banks, W.P (eds.). "Contextualizing and clarifying criticisms of memory work in psychotherapy". The Recovered Memory/False Memory Debate. New York: Academic Press: 267–278.
  9. ^ Lindsay, D.S. (1999). Taub, S. (ed.). "Recovered memory experiences". Recovered Memories of Child Sexual Abuse: Psychological, Social, and Legal Perspectives on a Contemporary Mental Health Controversy. Springfield, IL: Charles C.Thomas: 142–164.
  10. ^ Lindsay, D.S (1994). Ross, D.F.; Read, J.D; Toglia, M.P. (eds.). "Memory source monitoring and eyewitness testimony". Adult Eyewitness Testimony: CurrentTtrends and Developmen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55. doi:10.1017/CBO9780511759192.003. ISBN 9780521432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