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펜울프(노벨)
Steppenwolf (novel)![]() 독일 원판 표지 | |
작가 | 헤르만 헤세 |
---|---|
원제목 | 데르 스테펜울프 |
나라 | 스위스 |
언어 | 독일어 |
장르. | 자전적, 소설적, 실존적 |
출판사 | S. Fischer Verlag (Ger) |
발행일자 | 1927 |
미디어타입체 | 인쇄(하드백 및 페이퍼백) |
페이지 | 237 |
ISBN | 0-312-27867-5 |
슈테펜울프(원래 더 스테펜울프)는 독일-스위스 작가 헤르만 헤세가 쓴 10번째 소설이다.
1927년 독일에서 처음 출판된 이 책은 1929년에 처음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 이 소설은 스텝 늑대의 독일 이름에서 따왔다. 이 이야기는 대체로 1920년대 헤세의 영적 세계에 심오한 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스테펜울프는 엄청난 인기를 얻었고 수십 년 동안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헤세는 후에 이 책이 많은 오해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1]
배경 및 게시 이력
1924년 헤르만 헤세는 가수 루스 벵거와 결혼했다. 그러나 몇 주 후, 그는 바젤을 떠났고, 연말에야 돌아왔다. 귀국하자마자 아파트를 따로 빌리면서 고립감을 더했다. 벵거와 함께 독일로 짧은 여행을 다녀온 후, 헤세는 거의 완전히 그녀를 만나는 것을 중단했다. 결과적으로 고립감과 외부와의 지속적인 접촉이 불가능하다는 느낌은 점점 더 많은 절망과 헤세의 자살 생각의 복귀로 이어졌다.
헤세는 바젤에서 스테펜울프를 쓰기 시작했고, 취리히에서 그것을 완성했다.[citation needed] 1926년 《위기의 시집》의 선구자를 위한 시집"을 출간했다. 헤르만 헤세의 일기에서. 이 소설은 이후 1927년에 발표되었다. 최초의 영문판은 1929년 영국의 마틴 세커(Martin Secker)와 미국의 헨리 홀트(Holry Holt)와 컴퍼니(Company)에 의해 출판되었다. 그 버전은 바질 크리톤에 의해 번역되었다.
1926년 헤세는 조세핀 베이커와 시드니 베켓, 스티븐 C가 출연하는 스위스 레뷔 네그르의 공연에 참석하면서 재즈 음악에도 정통하게 되었다. 매사추세츠 대학의 아프로아메리카학 교수인 트레이시는 "파블로의 성격... 베켓의 연주에 영감을 받아."[2]
플롯 요약
이 책은 주인공인 해리 할러라는 중년 남성이 집주인의 조카인 우연한 지인에게 맡기는 원고로 제시된다. 지인은 자신의 짧은 서문을 추가한 다음 원고를 출판하게 된다. 이 "실제" 책 제목은 해리 홀러의 레코드 (For Madmen Only)이다.
이야기가 시작되면서 영웅은 일상적이고 평범한 사람들, 특히 경박한 부르주아 사회에 부적당한 존재에 대한 반성에 휩싸인다. 목적도 없이 도시를 떠돌아다니다가 그는 마법 극장의 광고를 들고 다니는 사람을 우연히 만나게 되는데, 그 사람은 그에게 작은 책인 '스테이펜늑대 치료제'를 준다. 해리가 읽으면서 소설의 본문에 모두 인용된 이 논문은 해리에게 이름을 대며 자신을 불쾌하게 묘사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그것은 자신을 두 가지 천성이라고 믿는 사람에 대한 담론이다: 하나는 인간의 정신적 본성이며 다른 하나는 낮고 동물적인데, '계단의 늑대'이다. 이 사람은 이 스스로 만든 개념을 넘어서 볼 수 없기 때문에 결코 어느 한 자연에 만족하지 않고 돌이킬 수 없는 투쟁에 말려든다. 그 팜플렛은 모든 사람의 영혼의 다면적이고 설명할 수 없는 본성에 대한 설명을 주지만, 해리는 이것을 알아볼 수 없거나 알아보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그의 자살 의도를 설명하면서, 그를 "사이다"의 하나로 묘사하고 있다: 깊은 곳에서, 그들이 언젠가 스스로 목숨을 끊을 것을 알았던 사람들이다. 하지만 그에 맞서기 위해, 그의 잠재력은 위대하고, "불멸의 사람들" 중 한 명이 되기를 갈망한다.
우연히 해리는 둘 다 장례식에 참석한 것처럼 책을 준 사람을 만나게 된다. 그는 마술 극장에 대해 질문하고, 그 곳에서 그는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은 아니다"라고 대답한다. 해리가 정보를 얻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때, 그 남자는 해리가 실망한 지역 댄스 홀을 추천한다.
장례식을 마치고 돌아오면 해리는 동양 신화에 대해 자주 의논했던 학우 출신 친구를 만나 해리를 집으로 초대한다. 그곳에서 해리는 무심코 해리가 쓴 칼럼을 비판하는 친구의 민족주의적 사고방식에 넌더리가 난다. 결국 해리는 아내의 괴테 흉상을 비판함으로써 그 남자와 그의 아내를 화나게 하는데, 해리는 괴테의 진정한 총명함에 대해 너무 두껍게 감상적이고 모욕적이라고 느낀다. 이 에피소드는 해리에게 그가 그의 사회에 낯선 사람이고 앞으로도 항상 그럴 것임을 확인시켜 준다.
자신을 기다리는 모든 것이 자살이라고 두려워하는 귀국을 미루려고 애쓰면서 해리는 밤 내내 목적 없이 마을을 돌아다니다가 마침내 그 남자가 먼저 보냈던 댄스 홀에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멈췄다. 그는 자신의 절박함을 금방 알아차리는 젊은 여성 헤르미네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그들은 길게 이야기한다; Hermin은 Harry의 자기 연민을 교대로 조롱하고 그의 인생관에 대한 그의 설명에 그를 빠져들게 한다. 그의 놀라운 안도감. 헤르민느는 두 번째 만남을 약속하고, 해리에게 그가 간절히 포용하는 삶의 이유(또는 적어도 계속 살 수 있는 실질적인 변명)를 제공한다.
다음 몇 주 동안, 헤르민느는 해리에게 그가 "부르주아"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관용을 소개한다. 그녀는 해리에게 춤을 가르치고, 그에게 가벼운 약물 복용을 소개하며, 애인(마리아)을 찾아내고, 더 중요한 것은, 해리에게 이것을 완전한 삶의 합법적이고 가치 있는 면으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한다.
헤르미네는 또한 해리를 파블로라는 신비한 색소폰 연주자에게 소개하는데, 그는 해리가 진지하고 사려 깊은 사람이라고 여기는 것과는 정반대로 보인다. 화려한 가면 무도회에 참석한 후, 파블로는 해리에게 은유적인 "마법의 극장"을 가져다주는데, 해리에게는 그의 영혼을 괴롭혔던 걱정과 관념이 그가 이테랄과 환상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분해된다. 마술극장은 그가 마음속에 존재하는 환상을 체험하는 곳이다. 극장은 한쪽에는 거울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수많은 문이 있는 긴 말발굽 모양의 복도로 묘사된다. 해리는 이 라벨로 표시된 문들 중 다섯 개로 들어가는데, 각각의 문들은 그의 삶의 일부분을 상징한다.
주요 문자
- 해리 할러 – 주인공, 중년 남성
- 파블로 – 색소폰주의자
- 헤르미네 – 할러가 댄스파티에서 만나는 젊은 여성
- 마리아 – 헤르미네의 친구
비판적 분석
헤세는 이 소설의 1960년판 서문에서 스테펜울프는 다른 어떤 책보다 "더 자주, 더 심하게 오해를 받았다"고 썼다. 헤세는 그의 독자들이 해리 할러의 생애에 묘사된 고통과 절망에만 집중함으로써 초월과 치유의 가능성을 놓치고 있다고 느꼈다.[3]
임계수신호
헤세의 절친한 친구들과 오랜 독자들은 이 소설이 성과 약물 사용에 대한 공개적인 묘사에서 도덕성의 결여를 인식했다고 비판했는데, 이 비평은 실제로 수년 동안 이 소설의 주된 퇴짜로 남아 있었다.[4]
미국 소설가 잭 케루악은 빅서(1962년)에서, 비록 대중의 관심이 1960년대에, 특히 환각운동에서 새롭게 시작되었지만, 주로 그것이 반문화적인 책으로 보여지고, 자유로운 사랑과 노골적인 약물 사용에 대한 묘사 때문에, 그것을 일축했다.
영어 번역
- 1929년: 바질 크리톤
- 1963년: 크레이튼 번역의 조셉 마일크 개정
- 2010: 토마스 웨인
- 2011년: 월터 소렐(Walter Sorell)의 크라이튼 번역 수정
- 2012년: 데이비드 호록스
대중문화에서의 언급
헤세의 1928년 단편 "해리, 스테펜늑대"는 이 소설의 동반작이다. 동물원에 사육되고 괴테, 모차르트 등 독일 문화 아이콘의 이미지를 파괴해 군중을 즐겁게 하는 해리라는 늑대에 관한 내용이다.
1943년 헤세의 소설 유리구슬게임의 한 단락은 '마술극장'이라는 용어가 유리구슬게임 그 자체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말한다.
스테펜울프라는 명칭은 다양한 단체와 단체들의 대중문화에서 두드러지게 되었다.
- 1967년 독일 출신 가수 존 케이가 이끄는 밴드 스테펜울프가 이 소설에서 이름을 따왔다.
- 벨기에 밴드 DAAU(Die Anarchistische Abendunterhaltung)는 소설의 마법 극장의 광고 슬로건 중 하나에서 이름을 따왔다.
- 1967년 버클리(Berkeley)에 설립돼 나중에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 상주하게 된 혁신적인 매직시어터(Magic Theatre)는 소설의 '매직시어터(Magic Theatre)'에서 이름을 따왔고 1974년 배우 테리 키니(Terry Kinney), 제프 페리(Jeff Perry), 게리(Gerry Sinise)가 설립한 시카고의 Steinise)가 그 이름을 따왔다.
- 긴 트랙 '스페널울프'는 영국 록밴드 호크윈드의 앨범 '아스터링 사운드, 어메이징 뮤직'에 등장하며 마법극장에 대한 언급과 늑대인간-늑대(루토코스트)의 이중성격 등 소설에서 직접 영감을 얻는다. 로버트 캘버트는 1974년 애드리안 바그너의 '우리 사이의 논쟁'에 대한 가사를 쓰고 공연한 바 있다. 이 곡은 나중에 라이브 호크윈드 CD와 DVD에도 등장한다.
- 도어스 키보드 연주자 레이 맨자렉과 그의 아내 도로시는 이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그들의 아들을 파블로 (1973년 8월 28일 출생)라고 이름 지었다.[citation needed]
- 덴마크의 산성 록 밴드 스테플베네(1967~68)도 이 소설에서 이름을 따왔다.
- 'He Was a Steppenwolf'는 앨범 'Nightflight to Venus'의 Boney M이 부른 노래다.
- Zbigniew Brzzinski는 Steppenwolf의 인용구를 그의 1970년 저서 Between Two Agees의 비문으로 포함하고 있다.[5]
- 미국의 우량 앨범에는 소설("그리고 가격은 옳다/한 번의 입학 비용이 너의 마음이다")을 서정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아메리칸 형이상학적 서커스"라는 곡이 수록되어 있다.
- 작가 겸 정신적 스승인 리처드 앨퍼트(람 다스)의 '지금 여기 있어라'(1971년)에는 '매직극장-매드맨만을 위한-입장가격-당신의 마음'이라고 쓰인 팻말이 적힌 문 삽화가 들어 있다. 스테펜울프의 해리 할러가 "마법 극장에서의 무정부주의자의 저녁, 오직 미친 사람을 위한, 마음의 입장료"[6][7]에 참석하기 위해 받는 초청장을 참조한다.
- 마이클 코넬리가 쓴 블랙아이스는 제이 마이클 할러가 그의 사생아들이 자신의 성을 가져간다면 해리 보쉬 대신 '해리 할러'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그를 언급하게 했다.
- 폴라 콜은 1999년 앨범 아멘에 수록된 곡 '펠(Pearl)'에서 스테펜늑대의 개념을 언급했다.
- 프랑스 가수 알리제(Alizée)는 자신의 노래 '구르만디스(Gourmandes)'를 '레 뤼프 데 스테페스(leoup des steppes)'에 맞추어 부르는데, 말 그대로 '스테페스의 늑대'(2001)이다.
- 스테펜울프는 영화 몰(2014년)에서도 언급됐다. 여성 주인공 마리아가 영화 매니 루이스(2015) 내내 읽기도 한다.
- 브라질 밴드 오스 카스카벨레스의 '로보 다 에스테페'도 이 책에서 영감을 얻었다.
- 독일 블랙 메탈 밴드 더 웨그 아이너 프라이히트의 앨범 피니스터레(2017년)에 실린 가사는 이 책에 주로 바탕을 두고 있다.
- "Жълти Стъкла" (Julti Stukla, or "Yellow Glass" from Bulgarian) released a song "Страстите Хесови" on YouTube on 6 August 2019. 그것은 가사와 설명에서 스테펜울프를 크고 직접적으로 언급한다.
- 스테펜울프라는 이름의 슈퍼히어로가 애니메이션 시리즈 <벤처 브라더스>에 출연한다.
필름 적응
이 소설은 1974년 영화 스테펜울프로 각색되었다. 이 영화에는 막스 폰 시도우와 도미니크 산다가 주연을 맡았으며 프레드 헤인즈가 작사, 연출했다.
참고 항목
참조
인용구
- ^ 헤세, 페이지 7
- ^ Tracy, Steven (2015). Hot Music, Ragmentation, and the Bluing of American Literatur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ISBN 978-0817358969.
- ^ 할킨, 페이지 126
- ^ 밀크, 페이지 184
- ^ Brzezinski, Zbigniew. "Between Two Ages". archive.org. The Viking Press. Retrieved 22 April 2018.
- ^ "Be Here Now [FATHER-SUN] – by Ram Da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14. Retrieved 2013-04-29.
{{cite web}}
: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미상(링크) - ^ "for madmen only - the blo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September 2016. Retrieved 2013-04-29.
{{cite web}}
: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미상(링크)
일반 출처
- 코넬스, 잉고, 오스만 두라니. 2005. 헤르만 헤세 투데이. 런던 대학교 게르만학연구소. ISBN 90-420-1606-X.
- 프리드먼, 랄프 1978년 헤르만 헤세: 위기의 순례자: 전기. 뉴욕: 판테온 북스. ISBN 0-394-41981-2. OCLC 4076225.
- 할킨, 아리엘라 1995년 검토된 적: 두 세계 대전 사이의 영국인의 눈을 통한 독일 대중문학. 그린우드 출판 그룹. ISBN 0-275-95101-4.
- 밀크, 1981년 요셉 헤르만 헤세: 삶과 예술.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ISBN 0-520-04152-6
- 포프레스키, 폴 2003. 문학 모더니즘 백과사전 코네티컷 주 웨스트포트: 그린우드 출판 그룹. ISBN 978-0-313-01657-8
- 헤세, 허먼. 1963년 스테펜울프 19판. 뉴욕: 헨리 홀트와 컴퍼니. ASIN: B0016RPX3K
- 지올코프스키, 테오도르. 1969. "포어" 유리 비드 게임. 뉴욕: 헨리 홀트와 컴퍼니. ISBN 0-8050-1246-X.
- 말릭, 2014년 하산 M. 스테펜울프: 고통의 천재. 아마존 디지털 서비스. ASIN: B00IMTX0O4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스테펜울프와 관련된 미디어를 가지고 있다. |
![]() | 위키포트는 스테펜울프와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