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마시이와

Strive Masiyiwa
노력마시이와
StriveMasiyiwaYouthTownHall.jpg
폴 카가메 대통령과 함께 르완다 키갈리 유스 타운홀에서 열린 마시이와
태어난 (1961-01-29) 1961년 1월 29일 (60세)
국적짐바브웨의
모교웨일스 대학교
직업사업가
제목Econet Global 설립자 겸 집행위원장
이사회 구성원유니레버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뱅크 오브 아메리카 록펠러 재단
모어하우스 칼리지
아시나가 (조직) 넷플릭스
배우자츠츠시마시이와
아이들.6

러그 마시이와 (1961년 1월 29일생)는 런던에 본사를 둔 짐바브웨억만장자 사업가 겸 자선가다. 국제기술그룹 에코넷글로벌의 창업자 겸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마시이와는 지난 20년 동안 가족 재단을 통해 25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 청년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2][3] 그는 4만 명 이상의 고아들을 교육 이니셔티브로 지원하고 미국, 영국, 중국의 대학에서 학생들을 후원한다.[4][5]

조기생활과 교육

Tough Masiywa는 1961년 1월 29일 짐바브웨에서 태어났다. 는 스코틀랜드에서 중등교육을 수료하기 전에 잠비아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 그가 7살이었을 때, 그의 가족은 이안 스미스의 정부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자 그 나라를 떠났다.[6] 그 가족은 구리 광산으로 유명한 잠비아 북부 중심부의 도시인 키트웨에 정착했다. 마시이와 어머니는 사업가였다. 마시이와가 12살이 되었을 때, 그의 부모는 그에게 탐나는 유럽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들은 그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 있는 사립학교에 보냈다. 1978년 졸업하자 그는 짐바브웨에서 반정부 게릴라 부대에 합류할 작정이었다.[6] 그러나 영국에서 복학하여 1983년 웨일즈 대학에서 전기공학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의 컴퓨터 산업에서 잠시 일했지만, 곧 1984년에 짐바브웨로 돌아와 1980년에 승리한 독립 전쟁 이후 짐바브웨의 회복을 돕기를 희망했다.

글로벌 영향력

매시이와가 수년간 국제적으로 임명한 이사회 멤버십은 다음과 같다. 유니레버(이사장), 넷플릭스(이사장), 내셔널지오그래픽 소사이어티(수탁자), 뱅크오브아메리카(신탁자),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러스트(신탁자), 유엔 적응위원회(위원회), 제너레이션아프리카(공동창업자), 기술 및 포용적 발전을 위한 경로(공동위원장), 록펠러가 찾았다.티온(전 이사진),[7] 미국외교협의회(글로벌자문위원회),[8] 아시아소사이어티(이사회), 스탠퍼드대(글로벌자문위원회), 아프리카진보위원회,[9] 아프리카 녹색혁명연대(위원장, 현 명예회장),[10] 캐나다 마이크론트리엔트 이니셔티브(전 이사진),[11] 그로스아프리카, 아프리카연합 에볼라펀드(공동창립자),[12] 모어하우스칼리지([13]모어하우스칼리지), 아프리카과학아카데미(명예 펠로우), 범아프리카전략연구소(Pan Africa Strategy Institute of Canada) 등이 참여했다.

마시이와는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 양심 위원회의 유일한 아프리카 회원이다.[14] 마시이와는 또한 두 개의 유엔 자문 패널에서 일했다.[15]

리더십 및 국제적 명성

2011년 런던 타임즈는 그를 아프리카 르네상스 25개국 지도자상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16]

2014년 포춘지는 마시이와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50대 기업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17]

마시이와는 2014년과 2020년 뉴아프리카 잡지에 의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아프리카인으로 꼽혔다.[18][19]

2014년 9월 아프리카연합(AU)의 은코사자나 들라미니 주마 의장은 마시이와에게 아프리카의 에볼라 사태 대응을 위한 자원 모집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AU가 비즈니스 리더에게 그런 역할을 맡아달라고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20][21] 마시이와는 다른 지도자들의 도움을 받아 #아프리카인 에볼라 연대 기금으로 알려진 최초의 범아프리카인 기금 모금 운동을 세웠다.[22]

이 기금은 SMS 기부를 통해 대중으로부터 수백만 달러를 모금했으며,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기부가 왔다. AU는 이 기부를 통해 아프리카 의료 종사자들의 가장 큰 비상사태를 발생시켜 치명적인 전염병의 확산에 대항할 수 있게 되었다.[23]

포브스 매거진은 2015년 마시이와를 아프리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인 명단에 선정했다.[24]

2015년 국제구조위원회(IRC)는 마시이와에게 자유상을 수여했다.[25][26] 이 상은 난민을 지원하고 자유와 개인의 자유, 존엄성의 원인을 옹호하는 데 기여한 공로가 남다른 개인에게 매년 수여된다.[27]

2019년에는 노먼 E. 볼라우그 세계식량상 메달리온을[28][better source needed] 수상하고 뉴아프리카 잡지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아프리카인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29]

2020년에는 JA 월드와이드 글로벌 비즈니스 명예의 전당에 선정되었다.[30][better source needed]

2020년 12월 마시이와는 블룸버그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5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31]

2020년 12월, 마시이와는 뉴아프리카 매거진이 선정한 2020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프리카인 10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32]

2020년 12월, Mail & Guardian Continental Edition에 의해 2020년 아프리카인 100명 중 한 명으로 마시이와가 선정되었다.[33]

2021년 5월 마시이와는 포춘지가 선정한 세계 50대 지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34]

사업경력과 관심사익

마시이와는 17년간의 공백을 깨고 1984년 고향인 짐바브웨로 돌아왔다. 국영 전화 회사의 통신 기술자로 잠시 일한 후, 그는 직장을 그만두고 75달러에 해당하는 자신의 회사를 설립했다.[35] 그는 대규모 전기 공학 사업을 세웠다.[36] 모바일 휴대폰의 등장으로 그는 통신사로 다변화하게 되었지만, 짐바브웨의 로버트 무가베 정부가 에코넷 와이어리스로 알려진 그의 사업 운영 허가를 그에게 주지 않자 곧 큰 문제에 부딪혔다.[35]

마시이와는 이 거부가 '표현의 자유'에 위배된다는 근거로 짐바브웨 헌법재판소에 항소했다. 짐바브웨 법원은 5년간의 법정 다툼 끝에 그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고, 그로 인해 그는 파산 직전까지 가게 되었다.[35][37] 통신분야의 국가독점 해제로 이어진 이번 판결은 아프리카 통신분야를 민간자본에 개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평가된다.[6] 그 회사의 첫 휴대폰 가입자는 1998년에 새로운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38]

마시이와는 1998년 7월 짐바브웨 정부와 오랜 법정 투쟁 동안 자신을 지지했던 수천 명의 일반인들에게 감사의 표시로 이코넷 무선 짐바브웨를 국내 증권거래소에 상장시켰다.[39] 오늘날, 이코넷 무선 짐바브웨는 짐바브웨 경제를 지배하는 주요 사업이 되었다.[40] 이 회사는 현재 짐바브웨에서 시장 자본화에 의해 두 번째로 큰 회사다.[41]

2000년 3월, 지방 당국의 박해를 피해, 마시이와는 짐바브웨를 떠나, 다시는 귀국하지 않고 남아프리카로 먼저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는 짐바브웨의 독립체로 완전히 분리된 새 조직인 The Econet Wireless Group을 설립했다.

그의 주된 관심은 통신사에 남아 있었다. Some of the key businesses that he established with partners included Econet Wireless International, Econet Wireless Global, Mascom Wireless Botswana, Econet Wireless Nigeria (now Airtel Nigeria), Econet Satellite Services, Lesotho Telecom, Econet Wireless Burundi, Rwanda Telecom, Econet Wireless South Africa, Solarway, and Transaction Processing 시스템(TPS). 그가 만든 회사는 영국 미국 중남미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등 20여 개국에 운영과 투자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42][43]

남아공에서 10년 이상 일한 후, 마시이와는 런던으로 이사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남아공에서 상당한 사업적 이해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에코넷 글로벌

에코넷글로벌(Econet Global, Econet)은 아프리카, 중남미, 영국, 유럽,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뉴질랜드 등 20여 개국에 사업운영과 투자를 하는 민간 보유 국제기술그룹이다. 짐바브웨의 자회사인 에코넷와이어리스(1998년)와 카사바 핀테크(2018년) 등 2개 상장법인이 있다. 짐바브웨 사업은 상장돼 있기 때문에 지주회사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

애쓰 마시이와는 상장된 에코넷 무선 짐바브웨의 지분 50%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44]

마시이와도 미국(미국)에 관심이 있다. 그는 "2Des"로 알려진 뉴질랜드의 세 번째 이동통신망 사업자를 만든 3부작 인터내셔널 파트너스라는 벤처기업에서 미국의 대표적인 통신기업가 중 한 명인 존 스탠튼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마시이와의 가장 성공적인 벤처 중 하나는 런던에 본사를 둔 14개국에 걸친 아프리카 최대의 위성 및 광섬유 사업이다.[45]

이코넷의 다른 활동으로는 기업 네트워크, 핀테크 및 금융 서비스, 재생 에너지 등이 있다.

자선 및 인도주의 이니셔티브

그는 아프리카에서 고아들을 교육하기 위한 가장 큰 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를 만들기 위해 자신의 가산을 사용했다. 언제든 그의 가족 재단은 4만 명 이상의 아이들을 지원하고 교육한다.[4][5] 마시이와는 기빙 서약으로 알려진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 이니셔티브의 일원이기도 하다.[46]

마시이와는 또한 HIV/AIDS, 자궁경부암, 영양실조, 에볼라, 그리고 최근에는 COVID-19를 반대하는 캠페인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 문제를 지원하는 데 관여하고 있다. 그는 열렬한 환경론자로 리처드 브랜슨 경과 함께 환경단체인 탄소전쟁실을 설립했다.[47]

그는 아프리카의 소수민족 농부를 지원하는 기구인 AGRA의 회장인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으로부터 물려받았다.[48] 2019년에는 AGRA에서 물러나 현재 에미리투스 회장을 맡고 있다. 2013년 그는 아프리카 농업 투자 포럼인 그랜트아프리카 공동의장으로 임명되어 150억 달러 이상의 아프리카 농업 투자 모집을 도왔다.[49]

2019년 짐바브웨에서 콜레라가 발발하자, 투르투 마시이와 씨는 부인과 함께 이 질병에 맞서기 위해 총 1천만 달러를 기부했다. 게다가, 그는 질병에 대한 회복력을 기르기 위해 6천만 달러를 사용할 것을 약속했다.[50]

2020년 5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 시릴 라마포사 아프리카연합(AU) 의장이 임명해 COVID 대응을 위한 아프리카연합(AU) 특사로 활동했다.[51]

아내와 함께, 그들은 1억 달러를 그의 고국에 있는 시골 기업가들에게 투자하기 위한 기금을 설립하겠다고 약속했다.[52] 두 사람은 교육을 통해 소외계층 아동에게 힘을 실어주고, 고도로 재능 있는 젊은이들에게 기회를 만들어주는 비영리 단체인 '고등생명재단'도 설립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장학금 프로그램 중 하나를 통해, 재단은 짐바브웨, 레소토, 부룬디에서 매년 3만 명의 학생들에게 학비를 지불하는데, 그들은 이 프로그램을 "역사 제작자"[52]라고 부른다.

2020년 1월, 그는 짐바브웨 의사들이 돈을 받기 위해 파업한 후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돈을 지불했다.[53] 마시이와는 각 의사에게 약 300달러(230파운드)의 생계수당을 지급하고 그가 세운 기금을 통해 그들에게 일할 교통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파업 중인 의사들 대부분은 한 달에 100달러 미만의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

러그 마시이와는 일반적으로 기업가들과 창업자들을 매우 지지하고 있으며, 그는 그의 사업적 이해관계를 통해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홍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생계형 일자리를 창출해 왔다. https://www.econetafrica.com/strive-masiyiwa-blog/index.php/update-on-franchising/.

사생활

그는 Tsitsi와 결혼했고, 그들은 6명의 아이를 가지고 있으며, 영국 런던에 산다.[1] 마시이와는 2016년 미화 2450만 달러에 매입된 뉴욕시 센트럴파크 300층에 있는 29층짜리 엘도라도 타워 꼭대기에 인접한 아파트 두 채를 소유하고 있다.[54]

2021년 마시이와는 순자산 10억8700만 파운드로 선데이타임즈 리치리스트에 진출한 최초의 흑인 억만장자가 됐다.[55]

참조

  1. ^ a b "Forbes profile: Strive Masiyiwa". Forbes. Retrieved 2 March 2020.
  2. ^ Nsehe, Mfonobong (13 June 2018). "Zimbabwean Billionaire Strive Masiyiwa And Wife Receive British Award For Philanthropy". Forbes. Africa. Retrieved 13 June 2018.
  3. ^ "African business leaders find new ways to give back". FT. London. Retrieved 15 November 2017.
  4. ^ a b Nsehe, Mfonobong. "The Millionaire's Wife Who Feeds 40,000 Children". Forbes. Africa. Retrieved 10 October 2013.
  5. ^ a b Rukaya, Abudu (10 October 2013). "Zimbabwe's Richest Couple Feed and Educate 40,000 Orphans and Vulnerable Children". Blacklikemoi. Africa. Retrieved 10 October 2013.
  6. ^ a b c "Out of Zimbabwe, a telecoms boss means serious business in Africa". The Guardian. 30 July 2009. Retrieved 30 July 2009.
  7. ^ "Rockefeller Foundation Board of Trustees-Strive-Masiyiwa".
  8. ^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Global Board of Advisors".
  9. ^ "APP Board of Trustees-Strive-Masiyiwa".
  10. ^ "AGRA Board of Directors".
  11. ^ "Micronutrient Initiative Board of Trustees-Strive-Masiyiwa".
  12. ^ "Africa Against Ebola Board of Trustees-Strive-Masiyiwa".
  13. ^ "Morehouse College Board of Trustees-Strive-Masiyiwa".
  14. ^ "Holocaust Memorial Museum Board of Directors".
  15. ^ "Sustainable Energy for All Board of Trustees-Strive-Masiyiwa".
  16. ^ "25 Leaders of Africa's Renaissance Award". Fortune. London. Retrieved 22 March 2011.
  17. ^ "Fortune ranks the World's 50 Greatest Leaders". Fortu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ugust 2014. Retrieved 20 March 2014.
  18. ^ Amlambo (5 December 2014). "Trevor Ncube among most influential persons in Africa". NewsDay Zimbabwe. Retrieved 6 January 2021.
  19. ^ Afolabi, Dare (8 December 2020). "Masiyiwa, Musk Included In New African Magazine's 100 Most Influential Africans 2020". Techbuild.Africa. Retrieved 13 January 2021.
  20. ^ "Part 5. #AfricaUnitedAgainstEbola". Strive Masiyiwa Blog. London. Retrieved 12 November 2014.
  21. ^ Juma, Calestous (12 November 2014). "African Answers to Ebola". London: Al Jazeera. Retrieved 12 November 2014.
  22. ^ Gundan, Farai (10 November 2014). "Billionaires Aliko Dangote, Strive Masiyiwa, Patrice Motsepe Join Fight Against Ebola". Forbes. New York. Retrieved 11 October 2014.
  23. ^ Juma, Calestous (21 November 2014). "Private sector can help Africa to take responsibility for its development".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21 November 2014.
  24. ^ "10 Most Powerful Men in Africa list for 2015". Forbes. 20 March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March 2015. Retrieved 10 March 2015.
  25. ^ "2015 Freedom Award Dinner". IRC. New York. Retrieved 4 November 2015.
  26. ^ "IRC Freedom Award Dinner 2014". IRC Storify. New York. Retrieved 4 November 2015.
  27. ^ "IRC Freedom Award Dinner". IRC. New York. Retrieved 29 October 2015.
  28. ^ "The Accra Communiqué Decisions and Commitments from the African Green Revolution Forum 2019" (PDF). AGRF. Retrieved 9 September 2019.
  29. ^ Culliford, Alison; Olivia Konotey-Ahulu, Nicholas Norbrook, Oheneba Ama Nti Osei and Marshall Van Valen (21 June 2019). "The 100 most influential Africans 11-20". The Africa Report. Retrieved 21 June 2019.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30. ^ "JA Worldwide Inducts Four Laureates into the Global Business Hall of Fame 2020". PR Newswire. 12 August 2020.
  31. ^ Marawanyika, Godfrey (3 December 2020). "Strive Masiyiwa, Zimbabwe's Messenger of Hope". Bloomberg.com. Retrieved 3 December 2020.
  32. ^ Versi, Anver (11 December 2020). "The 100 Most Influential Africans of 2020". New African.
  33. ^ "The Continent" (PDF). Mail & Guardian. 19 December 2020.
  34. ^ "Strive Masiyiwa".
  35. ^ a b c "Struggling for the Impossible". Good Governance Africa.
  36. ^ "Lesson from the early days". Strive Masiyiwa Blog. Retrieved 10 February 2014.
  37. ^ "Victory in Court". Strive Masiyiwa Blog.
  38. ^ Robinson, Simon (2 December 2002). "Strive Masiyiwa: Founder of Econet Wireless". Time.
  39. ^ "How We Raised Money". Strive Masiyiwa Blog.
  40. ^ "Econet ZIA Life Time Award". Tech Zim. 28 November 2013.
  41. ^ "Zimbabwe GDP may be understated". Tech Zim.
  42. ^ Leach, Anna (18 August 2014). "Zimbabwe's Econet Wireless and the making of Africa's first cashless society". The Guardian.
  43. ^ "Econet Companies". Econet Group Website.
  44. ^ "Strive Masiyiwa". Forbes. Retrieved 27 May 2019.
  45. ^ "Many Rivers to Cross". The Economist. 5 July 2014. Retrieved 5 July 2014.
  46. ^ "Home - The Giving Pledge". Giving Pledge.
  47. ^ "Carbon War Room Founders".
  48. ^ a b "Kofi Annan Steps Down as Chair of AGRA". Africa: Kofi Annan Foundation. Retrieved 16 December 2013.
  49. ^ "AGRA in 2013" (PDF). AGRA. 2013. Retrieved 12 April 2017.
  50. ^ "Press Release: Tsitsi And Strive Masiyiwa Donate A Further $60 Million To Eradicate Cholera". TZ. 10 February 2019.
  51. ^ Ncube, Japhet. "Masiyiwa's arduous journey to procure Covid-19 vaccines for Africa". www.iol.co.za.
  52. ^ a b Nsehe, Mfonobong (8 February 2019). "Zimbabwe's Richest Man Strive Masiyiwa Establishes $100 Million Fund To Support Rural Entrepreneurs". Forbes.
  53. ^ "Africa Live: Naomi Campbell hits runway at Nigerian designer debut". BBC News.
  54. ^ Ojekunle, Aderemi (1 April 2019). "A peek into the life and business empire of Strive Masiyiwa, Zimbabwe's first billionaire". Pulse Nigeria. Retrieved 14 October 2019.
  55. ^ Watts, Robert. "Strive Masiyiwa: the first black billionaire to make the Rich List. This is his story". The Times. ISSN 0140-0460. Retrieved 23 August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