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너 로크 엘리엇

Sumner Locke Elliott
섬너 로크 엘리엇
태어난(1917-10-17)17 1917년 10월
죽은1991년 6월 24일(1991-06-24) (73세)
직업
  • 소설가
  • 극작가
  • 라디오 작가
  • 시나리오 작가

섬너 로크 엘리엇(Sumner Locke Elliott, 1917년 10월 17일 ~ 1991년 6월 24일)은 오스트레일리아(미국)의 소설가 겸 극작가였다.

전기

엘리엇은 작가 섬너 로크와 기자 헨리 로건 엘리엇 사이에서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하루 만에 에클램피아로 죽었다.[1] 엘리엇은 그를 두고 치열한 양육권 싸움을 벌였던 이모들에 의해 자라났는데, 엘리엇의 자전적 소설인 "Care, He Mays Hear You"에서 허구화되었다. 엘리엇은 시드니 벨뷰 힐에 있는 크랜브룩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엘리엇은 도리스 피튼의 인디펜던트 극장에서 배우 겸 작가가 되었다. 1942년 호주군에 징집되었으나 해외에 파견되는 대신 호주에서 서기로 근무하였다. 그는 이러한 경험들을 그의 논란이 많은 연극, 러스티 버글스의 영감으로 이용했다. 이 연극은 호주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순회 공연되었고, 수석 비서실에 의해 외설죄로 폐쇄되는 악명을 얻었다.[2]

하지만, 호주 극장 역사에서 러스티 버글스의 위치는 악명 이상의 것에 달려 있다. 맥은 이 연극에서 기억에 남는 캐릭터로, 첫 작품에서 프랭크 오도넬은 전형적인 호주의 '블러더'나 '스카운저'에 대한 관객들의 이해를 변형시켰다. 부대원들에게는 패배할 때도 승자로 등장했지만 아내의 불륜이 발견되면서 그의 허약함이 뚜렷해진다.[3]

텔레비전

엘리엇은 1948년 미국으로 건너가 라이브 텔레비전 드라마의 황금시대 동안 주요 극작가들의 판테온에 랭크되었으며, 필코-굿이어 플레이하우스,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 스튜디오 원, 플레이하우스 90과 같은 쇼에서 30편 이상의 원작 희곡과 수많은 각색작품을 썼다. 그는 또한 브로드웨이에서 짧은 공연을 가진 연극 Buy Me Blue Ribes를 썼다.[4]

1955년에 그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고 1974년까지 호주로 돌아오지 않았다.[3] 그의 TV 연극 "The Grey Never Sayed Nothing"은 미국과 호주에서 TV에서 방영되었다.[5]

책들

엘리엇의 가장 잘 알려진 소설 '조심하라, 그는 들을지모른다'는 1963년 마일스 프랭클린 상을 수상했고 1983년 영화로 만들어졌다.

사생활

이것이 사회적으로 못마땅한 시절 게이로서 엘리엇은 자신의 성적인 것에 대해 불편해했다. 그는 그의 책 페어리랜드나오기 전에 거의 그의 인생이 끝날 때까지 그것을 비밀로 했다. 이런 두려움 때문에 엘리엇은 불륜은 있었지만 안정된 관계를 맺지 못했다.[6]

죽음의

1991년 뉴욕에서 73세의 나이로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참고 문헌 목록

소설

단편 소설

  • 라디오 데이즈 (1993)

플레이스

TV연극

  • Goodyear Television Playhouse(1955)를 위한 "Beloved Tranger"(1955)
  • 필코 텔레비전 플레이하우스의 「박공」(1952년), 「우리는 아이였다」(1952년), 「잠자기 전에」(1953년), 「13일의 금요일」(1954년).
  • 프로듀서 쇼케이스(1955년)를 위한 '더 킹 앤 미세스 캔들'
  • 카이저-알루미늄 시간(1957년)의 "Wherebething Unknown"
  • 스튜디오 원은 "Babe in the Woods"(1957년), "Love at Fourth Sight"(1957년).
  • 이달의 듀퐁쇼를 위한 "몬테크리스토 백작"(1958)과 "젠다의 죄수"(1961)
  • "데이지! 데이지!"(1956년)와 "너와 나... 그리고 게이트포스트!"(1956년)는 극작가들을 위한 것이다.
  • "나한테 전화하는 거 들었어"(1961년), 웨이 아웃
  • 알코아 아워의 "길링과 마천루 부인"(1957)
  • 필코-굿이어 플레이하우스(1953년)를 위한 "Wish on the Moon"이다.

라디오 플레이

  • "위키드는 비인" – 럭스 라디오 극장 (1947)

참조

  1. ^ [1] Wayback Machine에 2007년 3월 22일 보관
  2. ^ Alomes, Stephen (11 October 1999). When London Calls: The Expatriation of Australian Creative Artists to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5. ISBN 978-0-521-62978-2.
  3. ^ a b "Sumner Locke Elliott". Middlemiss.org. Retrieved 28 October 2014.
  4. ^ "Buy Me Blue Ribbons". Internet Broadway Database. Retrieved 28 October 2014.
  5. ^ Vagg, Stephen (17 November 2020). "Forgotten Australian TV Plays: The Grey Nurse Said Nothing". Filmink.
  6. ^ [2] 웨이백 머신에 2006년 6월 25일 보관
  7. ^ "Sydney Morning Herald". Trove.nla.gov.au. 27 October 1948. Retrieved 28 October 20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