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파열

Surface rupture
1983년 보라봉 지진 당시 로스트 리버 단층부의 정상 단층에 의한 표면 파열

지진학에서 표면파열(또는 지반파열, 또는 지반변위)은 단층을 따라 파열된 지진이 지구 표면에 영향을 줄 때 지표면의 가시적인 오프셋이다. 지표면 파열은 지면에서 변위가 없는 매몰 파열로 반대한다. 이는 지반 흔들림으로 인한 위험에 추가하여 활성 상태일 수 있는 단층 구역에 걸쳐 구축된 모든 구조물에 대한 주요 위험이다.[1] 표면 파열은 파열된 단층 양쪽에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을 수반한다. 표면 파열은 땅의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표면 파열 부족

1999년 대만 대지진 당시 첼룽푸 단층부를 따라 역단층되어 접히는 표면 파열

모든 지진이 표면 파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특히 더 작고 깊은 지진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1]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표면적 영향이 없는 것은 이동한 단층이 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94년 노스리지 지진순간 규모 6.7로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큰 피해를 입혔고, 지구 표면 아래 18.2km(11mi) 지점에서 발생했지만 맹목적인 추력 지진이기 때문에 표면 파열은 일으키지 않았다.[3]

표면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

표면 파열은 일반적으로 기존 결함에 발생한다. 완전히 새로운 고장 구조물의 결함과 관련된 지진(및 표면 파열)은 드물다.[4] 얕은 하이포코터와 아스퍼티에는 큰 파단 에너지가 있으며 아스퍼티는 5km(3.1mi) 이상이다.[5] 그러한 지진의 예로는 산 페르난도 지진, 타바스 지진, 치치 지진 등이 있다.[6]

표면 파열 지진에서는, 큰 지반들이 단층의 얕은 부분에 집중된다.[7] 그리고 특히, 측정 가능한 영구 지반 변위는 M5 이상의 얕은 지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8]

표면 파열 유형

표면 파열이 일어나는 형태는 표면의 물질의 특성과 결함 이동의 유형이라는 두 가지에 따라 달라진다.

표면 석판학의 영향

결함의 흔적 위에 두꺼운 표피 침전물이 있는 경우, 그 결과 표면 효과는 일반적으로 더 불연속적이다. 표면적 퇴적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경우, 지진 파열이 하나 이상의 단층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제외하고 표면 파열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는 1992년 Landers 지진과 같이 표면 단층화의 복잡한 패턴을 초래할 수 있다.[9]

정상 단층

정상적인 결함과 관련된 표면 파열은 일반적으로 단순한 결함 흉터들이다. 상당한 표면적 퇴적물이 있는 경우, 경사 단층이 더 많은 섹션은 상완 흉터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반작용의 단층도 발달하여 표면이 잡힐 수 있다.

역단층

역단층(특히 추력단층)은 고장의 걸쇠벽에서 돌출되지 않은 부분이 붕괴되기 쉽기 때문에 더욱 복잡한 표면 파열 패턴과 관련이 있다. 또한 표면 폴딩 및 백러스트 개발이 있을 수 있다.

스트라이크-슬립 단층

2002년 데날리 지진 때 스트라이크-슬립 단층에 의한 표면파열 정도

스트라이크-슬립 단층은 지배적인 수평 이동과 연관되어 있으며, 단층이 단순한 평면 구조인 표면 파열부의 비교적 단순한 선형 구역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스트라이크-슬립 단층이 겹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중복의 특성에 따라 일반 단층이나 역단층 구간이 복잡해진다. 또한 두꺼운 표면 침전물이 있는 경우 파열은 전형적으로 일련의 내부 결함으로 나타난다.[10]

완화

표면 파열에서 살아남기 위해 집을 개조하려면 지질공학과 구조 또는 토목 공학자들이 설계해야 한다. 이것은 꽤 비쌀 수 있다.[4]

예제, 범위 포함

참고 항목

참조

  1. ^ a b "What is Surface Rupture". USGS. Retrieved 2018-10-19.
  2. ^ "Surface rupture can be caused by vertical or horizontal displacement". 2018-10-19.
  3. ^ "USGS Northridge Earthquake 10th Anniversary". Retrieved 13 April 2016.
  4. ^ a b c "Ground Rupture & Surface Faulting - Earthquake Ground Displacement CEA". Retrieved Jan 1, 2020.
  5. ^ Dalguer, Luis A.; Miyake, Hiroe; Day, Steven M.; Irikura, Kojiro. "Surface Rupturing and Buried Dynamic-Rupture Models Calibrated with Statistical Observations of Past Earthquakes". pubs.geoscienceworld.org. Retrieved 28 October 2018.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6. ^ Wada, K.; Goto, H. "Generation Mechanism of Surface and Buried Faults Considering the Effect of Plasticity in a Shallow Crust Structure" (PDF). iitk.ac.in. Retrieved 31 October 2018.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7. ^ "Differences in ground motion and fault rupture process between the surface and buried rupture earthquakes" (PDF). Earth Planets Space. 14 March 2004. Retrieved 26 October 2018.
  8. ^ "Earthquake Processes and Effects". earthquake.usgs.gov.
  9. ^ Zachariesen J.; Sieh K. (1995). "The transfer of slip between two en echelon strike-slip faults: A case study from the 1992 Landers earthquake, southern California"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0 (B8): 15, 281–15, 301. doi:10.1029/95JB00918.
  10. ^ Tchalenko J.S.; Ambraseys N.N. (1970).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sht-e Bayaz (Iran) Earthquake Fractures". GSA Bulletin. 81 (1): 41–60. doi:10.1130/0016-7606(1970)81[41:SAOTDB]2.0.CO;2.
  11. ^ Reilinger, R.E.; Ergintav S.; Bürgmann R.; McClusky S.; Lenk O.; Barka A.; Gurkan O.; Hearn L.; Feigl K.L.; Cakmak R.; Aktug B.; Ozener H. & Töksoz M.N. (2000). "Coseismic and Postseismic Fault Slip for the 17 August 1999, M = 7.5, Izmit, Turkey Earthquake" (PDF).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89 (5484): 1519–1524. Bibcode:2000Sci...289.1519R. doi:10.1126/science.289.5484.1519. PMID 10968782.

외부 링크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