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반테 헨리슨
Svante Henryson스반테 헨리슨 | |
---|---|
![]() 2004년 헨리슨 공연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스웨덴 스톡홀름 | 1963년 10월 22일
장르 | 재즈, 클래식, 하드 록, 퓨전 |
직업 | 작곡가, 음악가 |
계기 | 첼로,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
년 활동 | 1975-현재 |
레이블 | ECM |
관련 행위 | 오슬로 필하모닉, 잉위 말름스틴, 존 발케, 케틸 비외른스타드 |
스반테 헨리슨(Svante Henryson, 1963년 10월 22일 스웨덴 스톡홀름 출생)은 작곡가, 첼리스트, 베이스 기타리스트, 더블 베이시스트로 재즈, 클래식, 하드록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전기
유년기와 연구
스반테 헨리슨은 스웨덴 북부의 우메오에서 자랐다.그의 아버지는 교육학 전 교수였고, 어머니는 우메우대 영어학부장이었다.
스반테는 12살 때, 콘서트에서 여성 베이시스트와 장거리 사랑에 빠진 후, 록 밴드에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기 시작했다.2년 후, 그는 재즈와 더블 베이스로 바꾸었다.우메오 재즈 페스티벌에서 스탠 게츠와의 콘서트는 음악가가 되기로 결심했다.또 다른 인생을 바꾼 경험은 외스테르순트에서 로열 스톡홀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듣는 것이었다.
그는 음악을 공부하기 위해 14살에 이미 고향을 떠났다. 헤른모드에서 2년, 인게순트 음악대학에서 3년, 프라하의 공연예술 아카데미에서 1년을 더 보냈다.[1]그는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세계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수석 더블 베이스였다.
초창기 프로 나이
아직 10대에 접어들고 음악 대학을 중도에 졸업한 그는 마리스 얀슨스 1983-1986년 휘하의 오슬로 필하모닉의 회원이 되었다.완할스 베이스 협주곡에서 오슬로 필하모닉으로 솔로 데뷔한 후, 오케스트라의 수석 교감인 바시스트가 되었다.[2]
1987-1989년 그는 이오나 브라운이 이끄는 노르웨이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수석 배시스트였다.
급격한 방향 전환 후, 그는 Yangwie Malmsteen의 밴드 1989–1992의 베이스 기타리스트가 되었다.[3]이 기간 동안 그는 첼로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첼로는 그가 자동 악기인 악기였다.
헨리슨스의 첫 솔로 앨범인 엔키두는 1997년에 발매되었다.[4]그는 또한 매우 넓은 음악 영역에서 다른 많은 앨범에도 눈에 띄게 피처링 되었다.
세션 플레이어로서 그는 라이언 아담스, 엘비스 코스텔로, 스티브 개드와 함께 일했다.[5]
오늘
스반테 헨리슨은 합창음악과 실내악뿐만 아니라 관현악의 작곡가다.[6]2007년에 작곡된 그의 "전기 베이스 협주곡"은 클래식 솔로 악기로서 베이스 기타를 새로운 역할로 소개하고 있다.
엘비스 코스텔로와 헨리는 앨범 "For the Stars"에서 작사가로 호흡을 맞췄다.
스반테 헨리슨은 ECM 녹음 아티스트로, 존 발케, 케틸 비외른스타드,[7] 볼프강 무스스피엘, 마릴린 마술, 아르베 헨릭센, 트라이드 세임, 안데르스 요르민, 테르제 립달, 팔레 미켈보그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공연하고 있다.
그는 또한 Roland Pöntinen, Martin Fröst,[8] Anne Sofie von Otter, Bengt Forsberg와 함께 실내악 듀오와 트리오에서 공연한다.[9]스반테는 안네 소피 폰 오터(Anne Sofie von Otter)와 함께 아시아, 미국, 유럽 투어의 음악 감독을 맡아왔다.[10][11]
스반테 헨리슨은 Sami 커뮤니티와 함께 작곡하고 공연한 북노르웨이 Landsdelsmusicernes Artist-in-Residence 2010–2012.
현재 우메오 실내악 페스티벌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스반테 헨리슨은 스웨덴 왕립 음악 아카데미의 회원이다.
수상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오슬로 필하모닉과 함께)의 스펠레만프리센 1984년.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오슬로 필하모닉과 함께)을 위한 스펠레만프리젠 1987
브리튼/모차르트/차이코프스키를 위한 스펠레만프리센 1988(노르웨이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스펠레만프리센 1988년 올해의 스펠레만 (노르웨이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Rikskonserter 스웨덴, 1990년 랜서링 90상 수상
재즈 솔리스트들을 위한 1997년 노르드크래프트 상.
2010년 스웨덴 음악 출판 협회가 수여한 솔로 바이올린 소나타 올해의 실내악 작품.
2014년 스웨덴 라디오의 올해의 재즈 뮤지션("Jazzkatten")이다.
헨리는 2015년 북유럽의회 음악상을 받았다.
작동하다
(iii)
관현악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레가티시모(1996년 첫 공연)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은하수 협주곡(1997)의 노래
- 첼로와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메멘토(2003)
- 베이스 기타 및 오케스트라를 위한 일렉트릭 베이스 협주곡 1번(2007)
- 오케스트라를 위한 빈터페스트 콘서트 서곡(2007)[12]
- 오케스트라를 위한 신포니아 협주곡(2009)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첼로 협주곡 nr. 2(2010)
- 스틸 팬, 전기 첼로 및 현악 오케스트라용 아모르피콘(2011년)
- 애달픈 베이스 기타와 심포니 윈드 앙상블을 위한 일렉트릭 베이스 협주곡 2번 '고스트노트'(2015)
- 첼로, 현, 바소 연속곡을 위한 바흐 첼로 협주곡을 꿈꿨다(2019년)
- 재즈 첼로 및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5개의 타임피스 (2019)
- From Nowwhere for 오케스트라(2020)
합창
- Eyes of a Child for 5 voice a voice a cappella (1999년)
- 소프라노, 혼성합창, 피아노의 히믈라아브 주파스테 글래드제(2007)
- 소프라노, 메조, 알토, 혼성합창단, 현악 옥텟, 기타, 육손 피아노의 엔팔디가 렌(2009)
- 첼로, 남자 합창단, 재즈 트리오를 위한 도레미 사레가(2009)
- 여성 합창단, 아코디언, 첼로를 위한 레멜른 오흐 브뤼켄(2010)
- 첼로, 혼성 합창단, 어린이 합창단, 실내 오케스트라 (2011)
실내악
- 소프라노, 테너, 내레이터, 클라리넷, 바순, 바이올린, 더블베이스 및 타악기용 빈터머식(1980)
- 첼로 및 도시 사운드를 위한 슬루센(1994)
- 소프라노 색소폰과 첼로를 위한 스위트 오프 피스트(1996, 2019)
- 독주 첼로 D(Black Run-Green-Blues Chaconne)의 색상(2001-1996-2008)
- π (pi) 바이올린, 첼로, 드럼 세트(2006)용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사라반데 메타모르포세(2007)
-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알레그로 모데라토(2007)
- 바이올린, 비올라, 두 셀리를 위한 4중주곡(2007)
- 첼로 및 피아노 연주(2008)
- 솔로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2009)
- 플루트, 클라리넷, 바순, 현악 4중주, 해머클라비에, 베이스 기타용 나르빅 9(2012)
- 바이올린, 첼로 및 기타를 위한 3X3(2012년)
- 첼로와 피아노의 비(2013)
- 바이올린 및 첼로용 파편(2013년)
- 메조, 첼로, 기타를 위한 절망적인 사랑 노래(2013)
- 몬 린 두하트 자기 - 플루트, 클라리넷, 현악 사중주, 피아노, 타악기용 사미 극장용 음악(2014년)
- 소프라노 색소폰, 바이올린, 피아노, 일렉트릭 베이스, 드럼 세트를 위한 에우리디케와 허어 언더그라운드 댄스 루틴(2014년)
- 내레이터, 테너 색소폰, 피아노, 전기 베이스 및 드럼 세트를 위한 마스토도닉 리사이틀(2015)
- 메조와 피아노를 위한 24곡의 부재중 거울(2016)
- 피아노 트리오 제1악장(2017년)
- 현악 사중주 (2018)
- 첼로와 기타를 위한 투피스 (2019)
- 첼로·피아노 라케송(2019년)
- 첼로 및 더블 베이스용 라이트 터치(2020)
음반 목록
(iii)
- 노르웨이 체임버 오케스트라/아이오나 브라운 – 모차르트/브리튼/차이코프스키(1988년 녹음) 더블 베이스
- 노르웨이 체임버 오케스트라/아이오나 브라운 – 모차르트(1988) 더블 베이스
- Yngwie Malmsteen – Eclipse (1990)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 Yngwie Malmsteen – Fire & Ice(1991)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첼로
- 노르웨이 체임버 오케스트라/아이오나 브라운 – 브리튼(1991) 더블 베이스, 첼로
- 영광 – 위기 대 위기(1994)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첼로
- Uno Svenningsson – Under Ytan (1994년) 첼로
- 토마스 예더룬트 – 어메이징 오케스트라 (1994) 첼로, 작곡가
- 에릭 와이스글라스 – 스톤히터(1994) 작곡가,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첼로
- Ted Gérdestad – Antligen på vég(1994) 베이스 기타
- 키 마르첼로 – 샤인 온(1995)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 라이온스 셰어 – 가을 From Grace(2000) 첼로
- Bruth Abbot – 라이브 및 학습(1995) 베이스 기타
- 조이 템페스트 – 집으로 전화할 수 있는 장소(1995) 베이스 기타
- Mikael Samuelson – Midvinter(1996) 작곡가, 첼로, 셀타르
- 스반테 헨리슨 – 엔키두(1997) 작곡가, 첼로, 셀타르, 더블 베이스
- Anne Sofie von Otter – 크리스마스의 집 (1999년) 아랑게르, 첼로, 셀타르, 더블 베이스
- Anne Sofie von Otter/Elvis Costello – For the Stars(2000) 작곡가, 첼로, 더블 베이스, 베이스 기타
- 스반테 헨리슨, 다니엘 넬슨, 프레드릭 k버그 – 21세기 스웨덴 작곡가 (2001) 첼로
- 존 발케의 마그네틱 노스 오케스트라 – 키아노스(2001) 첼로, 작곡가
- 라이언 애덤스 – 해체(2002) 첼로
- 케틸 비외른스타드 – 시파르의 노래(2003) 첼로
- 모튼 할리 트리오 – 이지피스 10곡(2004) 첼로
- 크리스터 존슨 트리오 + 스반테 헨리슨 – 아토네스즈카(2004) 첼로, 작곡가 대기
- Musik För Trio – Music for Trio(2007) 작곡가, 더블 베이스, 첼로
- 크리스틴 애스비외른센 – 밤은 낮처럼 빛난다(2008) 첼로, 베이스 기타
- Wihk/Henryson/Gadd – Same Tree Different Fruit(2009)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 케틸 비외른스타드 – 흐발레네스는 첼로(2009)를 불렀다.
- Mats Bergström – 전기 카운터포인트(2010) 베이스 기타
- 케틸 비외른스타드 & 스반테 헨리슨 – 나이트송(2011) 첼로, 작곡가
- Arve Henriksen - The Nature Of Connections(2012) 첼로, 작곡가
- 크리스터 존슨 디럭스 - 트럭 적재(2013) 첼로
- Terje Isungset - 명상(2013) 아이스 첼로
- 볼프강 무스피엘 – 비엔나 월드(2013) 첼로
- The Real Group – Three Trains of Vocal Music(2013) 작곡가
- 카타리나 & 스반테 헨리슨 - 하이, 로우 또는 사이 (2014) 첼로, 작곡가
- Hélene Collerette – Norigine - 솔로 바이올린(2015) 작곡자
- 트라이그브 세임 - 루미송(2015) 첼로
- Weissglas-Henryson-Backenroth-Ekberg - 70년대(2018) 첼로의 일곱 곡
- Svante Henryson – Frånvarons speglar/부재미러 - 24곡(2019) 작곡가
참조
- ^ "Vancouver Reference Society 2008-2009 시즌", 페이지 11
- ^ "Festival de Violoncelle de Beauvais 2009" 책자 페이지 50(프랑스어)
- ^ "Cité de la Musique: Domaine Privé 2006: Anne Sofie von Otter" 책자 페이지 34 (프랑스어)
- ^ 빌보드 매거진, 볼륨: 111 번호: 21 ISSN0006-2510 발행일:1999년 5월 22일
- ^ 유튜브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2DGzaFkenE
- ^ 2008년 5월 29일 비엔나 자이퉁(독일어)
- ^ 2006년 3월 27일 런던 가디언 (재검토)
- ^ 2009년 4월 11일 함부르크 아벤드블랫 "실험자 미트 바흐"(독일어)
- ^ "Teatro alla Scala 26 otobre 2008" 프로그램 책자 페이지 33 (이탈리아어)
- ^ 1999년 12월 19일 미니애폴리스 스타 트리뷴 "크리스마스의 집"
- ^ 2004년 12월 17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 ^ 파이낸셜타임스 2008년 2월 19일 "겨울의 원더랜드"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스반테 헨리슨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