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타 라이트

Syreeta Wright
시리타 라이트
Wright in 1973
1973년 라이트
배경 정보
로도 알려져 있다.리타 라이트, 시리타 라이트 무함마드
태어난(1946-08-03)1946년[1][2] 8월 3일
미국 펜실베이니아피츠버그
기원미국 디트로이트, 미시건
죽은2004년 7월 6일(2004-07-06) (57)[3]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장르
직업싱어송라이터
계기보컬스
년 활동1967–2004
레이블모타운
관련 행위

시리타라는 단명으로 전문적으로 녹음한 시리타 라이트(Syrieta[1] Wright, 1946년 8월 3일 ~ 2004년[2] 7월 6일)는 197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그녀의 음악으로 가장 잘 알려진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였다.라이트의 경력은 전 남편인 스티비 원더와 뮤지컬 아티스트 빌리 프레스턴과 협업한 곡이었다.

전기

어린 시절과 경력

라이트는 1946년 [5]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4살 때 노래를 시작했다.그녀의 아버지는 한국전쟁에 참전했고 라이트와 그녀의 여동생 김은[6] 어머니 에시와 할머니에 의해 길러졌다.라이트는 디트로이트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왔다갔다하다가 마침내 라이트가 고등학교에 입학하자마자 디트로이트에 정착했다.돈 문제로 인해 라이트는 발레 경력을 쌓지 못했고, 그래서 그녀는 1965년에 모타운접수원으로 취직하기 전에 몇몇 노래 그룹과 함께 음악 경력을 쌓는 데 관심을 집중했다.[5]1년 안에 그녀는 마사 리브스가 그녀보다 먼저 했던 것처럼 미키 스티븐슨의 비서가 되었다.

1년 뒤, 네덜란드-도지에의 에드워드 홀랜드.홀랜드의 작사팀은 라이트의 노래를 알아채고 슈프리메스의 노래 데모에 그녀를 시험해 보기로 결정했다.그러나 그 시절에는 작곡가인 애쉬포드와 심슨 팀이 모타운에 합류하여 그들의 노래는 처음에는 기성 프로듀서들에 의해 감독되었다.에드워드의 동생이자 작곡가 겸 프로듀서인 브라이언 홀랜드는 이 커플과 함께 'I Can Can Back the Song for You'를 공동 집필했으며, 시리타를 위해 라몽 도지에와 함께 제작했다.브라이언은 시리타가 발음하기 힘든 이름이라고 느꼈고, 리타 라이트가 좋은 예명을 만들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라이트의 첫 솔로 싱글은 1968년[5] 1월에 "Something On My Mind"를 뒤집어 쓰고 그 이름으로 발매되었다.흔히 이 곡은 슈프림(당시 '다이아나 로스 앤 더 슈프림스'로 청구됨)을 위해 작곡되었다고 말하지만, 모타운 세션 로고는 이 곡이 이전에 다른 누군가를 위해 녹음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이후 다이애나 로스는 1971년 발매된 솔로 앨범인 Sequency의 곡을 다시 녹음했다.

라이트는 슈프리미어 히트곡 '러브 차일드'와 로스가 자칭 데뷔 앨범으로 발표한 'Something On My Mind' 버전의 데모 보컬도 선보였다.1970년 초 다이애나 로스가 슈프리미어스를 떠날 때, 모타운의 보스 베리 고디는 그녀를 라이트로 교체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그룹 내 자리를 장 테렐에게 제공했다.여러 소식통에 따르면 고디는 이후 마음을 바꿔 테렐을 라이트(Wright)로 교체하려 했으나 테렐이 이미 언론에 새 슈프림으로 공식 발표됐고 다이애나 로스(Diana Ross)가 이끄는 그룹의 화신(華神)의 마지막 공연에서 이 같은 사실은 메리 윌슨(Mary Wilson[7]) 총리에 의해 거부당했다.

라이트는 또한 슈프리미어스, 마사, 반델라 등의 음반 배경음악을 불렀으며, 특히 이 그룹의 겸손한 히트곡인 "네가 연주하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출 수 없다"의 후렴구를 불렀다.라이트는 1968년에 스티비 원더라는 레이블을 만났고,[5] 둘은 이듬해부터 사귀기 시작했다.Wonder의 조언에 따라 Wright는 작곡가가 되었다.그들의 첫 번째 콜라보레이션인 "It's a Shame"은 1969년에 The Spinners에 의해 녹음되었다.모타운은 1970년 7월까지 개봉을 보류했다.이 곡은 빌보드100에서 14위에 올랐다.라이트도 원더와 함께 작곡한 히트곡 "Signed, Sealed, Delivered (I'm Yours)"[5]에서 원더와 함께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1년 간의 구애 끝에 1970년 9월 14일, 라이트(24)와 원더(20)는 디트로이트에서 결혼식을 올렸다.[5]이어 이 커플은 1971년 봄 베리 고디의 애틋한 마음에 많이 발매된 원더스의 'Where's Where I're Coming From'의 곡을 작사, 편곡했다.[5]Wonder-Wright의 작곡 "If You Really Love Me"(If You Really Love Me, 라이트 역시 배경 보컬을 두드러지게 부른 곡)는 그해 미국에서 8위에 올랐다.1971년 원더스가 모타운에서 탈퇴한 후, 이 부부는 원더스가 두 장의 독립 앨범을 작업하던 뉴욕 시로 이주했다.

솔로 커리어

원더는 1972년 자신의 음반에 대한 창조적 통제를 약속받고 모타운으로 돌아와 원더가 블랙불 프로덕션이라는 회사를 설립할 수 있도록 했다.원더와 라이트는 1972년 3월에 발매된 원더 다음 앨범 "Music of My Mind"의 곡들을 들고 왔다.[5]1972년 여름 《롤링 스톤즈》의 투어 오프닝에 이어 원더도 후속 앨범 《토킹 북(Talking Book)》을 발표했는데, 이 앨범은 그의 획기적인 앨범으로 밝혀졌다.앨범 중간중간 라이트는 자신의 가수 경력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5]모타운은 '사랑을 돌려줄 수 없다'가 발매된 모타운의 고디 각인에서 모타운의 L.A.에 본사를 둔 모웨스트 자회사에 이 가수를 재배치했다.원더와 라이트는 결혼에 골머리를 앓았고 1972년 여름에 이혼하여 18개월간의 결혼생활을 끝냈다.[5]그들의 이혼에 뒤에, 원더, 그리고 특징으로 비틀즈의"그녀는 놔두어 홈", 둘 다 원더 a는 내 마음, 스모키 로빈슨 고전"사랑은 같이 무엇이 합쳐지면섰나"의 음악에서 원더의"저는 당신에 대해 모든 작은 것을 사랑합니다"그녀의 견해를 포함했다 라이트의 첫번째 솔로 앨범, 시리타(6월 20일 1972년에 발표된)[5]의 생산 감독알몬드라이트는 대화 상자를 통해 배경 보컬을 적용했다.모웨스트는 1972년 늦겨울에 '너에 대한 모든 작은 것들을 사랑해'를 발표했지만 차트 작성에는 실패했다.남은 절친한 친구들인 라이트는 앞으로 20년 동안 원더와 함께 배경 보컬과 작곡을 계속 제공할 것이다.[5]

1974년 라이트는 다시 모타운 레이블에 재지정되었고, 이번에는 (미국에서) 그녀의 두 번째 발매물인 스티비 원더 선물: 시리타 그 6월.[5]원더도 함께 프로듀싱한 미니 리퍼턴퍼펙트 엔젤의 성공에 이어 원더도 라이트를 감각적인 보컬리스트로 리퍼턴과 같은 조명으로 선보이고 싶었다.표지도 서로 매우 비슷했다.Riperton은 주로 앨범 수록곡 "Heavy Day"의 마지막에 배경 보컬을 추가했다.이 앨범은 영국 싱글 "I'm Goin' Left (Eric Clapton제리 버틀러 포함), "Spinnin' and Spinnin'" 그리고 레게 맛의 "Your Kiss Is Sweet"[5]이 1975년에 12위를 차지하며 영국 톱 40이 되었다.[8]이 앨범에는 또한 G. C. 카메론과의 듀엣곡 한 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곡은 이전에 Spinners의 곡이었다.

라이트의 3집 앨범 《One to One》의 프로듀싱은 마빈 게이, 리퍼턴을 프로듀싱하기도 했던 레온 웨어가 주로 프로듀싱한 것으로 2년간 계속되었다.이 앨범에는 2005년 영화 '준버그'에 출연한 이후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유일한 원더 프로덕션 '해머 러브'가 수록되었다.이 기간 동안 시리타는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 게리 바츠 - 쥬주 맨 (1976년)과 뮤직 이즈 마이 세이든 (1977년)의 두 앨범에 보컬 기고를 하기도 했다.1977년 그녀는 G.C. 카메론과 듀엣 앨범인 Rich Love, Poor Love에서 다시 팀을 이루었다.

라이트의 다음 노력은 1979년 초 모타운과 계약한 빌리 프레스턴과의 우연한 만남의 호의로 이루어졌다.모타운은 두 사람이 영화 패스트브레이크의 팝 발라드를 공동 작업하도록 했다.[5]라이트와 프레스톤은 이 영화의 사운드 트랙과 그들의 첫 번째 콜라보레이션인 "With You I'm Born Again"을 제공했고, 1979년 말 국제적인 히트작이 미국 4위, 영국 2위에 오르는 결과를 낳았다.[5]이 곡의 성공으로 모타운은 그해 만료될 예정이었던 라이트의 계약을 갱신하게 되었고 양측 모두 재협상을 시도하지 않았다.라이트와 프레스톤은 1981년 듀엣 앨범 빌리 프레스턴 & 시리타를 포함한 1980년대 초까지 협업을 계속했다.[5]

라이트는 이 기간 동안에도 원더와 함께 1979년 앨범 'Secret Life를 통한 여행'의 리드보컬을 불렀고, 1980년 곡 '7월보다 더 뜨거운 내 마음을 읽는 것처럼'에서 원더와 함께 불렀다.Wright는 Wonder의 1995년 앨범 Talking Peace까지 계속해서 배경 보컬을 제공했다.

라이트는 1980년대까지 모타운에서 계속 음반을 냈으며, 1980년 두 번째 자작 앨범을 발매했고, 1981년 말 펑크/부기 위주의 Set My Love in Motion은 펑크/부기 위주의 Set My Love in Motion을 발매했다.[5]이 앨범에는 1982년 초 41위 R&B로 정점을 찍은 마이너 R&B 히트곡 "Quick Slik"가 수록되어 있다.같은 시간 동안, 그녀는 프리리히스 멜리사앤더슨 영화에서 리틀 하우스가 주연한 것으로 알려진 캐나다 슬래셔 공포 영화 "Happy Birthday to Me"의 주제곡에 보컬을 추가했다.이후 라이트는 1983년 저메인 잭슨제작한 더 스펠을 발행했고,[5] 1985년 베리 고디의 라스트 드래곤의 사운드 트랙을 위해 스모키 로빈슨과 협업한 뒤 2년 뒤 모타운을 떠났다.그녀는 1990년대 중반 연예계에서 영원히 은퇴하고 네 명의 자녀들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하기 전에 잠시 모터시티 레코드에 녹음을 했다.[5]1993년, 그녀는 원작 영화 스타 테드 닐리, 칼 앤더슨과 함께, 매리 막달라 역을 맡은 예수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전국 순회 출연진에 합류했다.[9]그녀는 1995년까지 출연진에 머물렀다.[10]1997년에는 영국 소울 가수 오마의 앨범 《This Is Not A Love Song》을 초청하여 듀엣곡 'Lullaby'[11]를 불렀다.

사생결단

라이트는 세 번 결혼했고 네 명의 아이를 낳았다.[3][1]오랜 협력자 스티비 원더와 그녀의 첫 결혼은 1970년 9월부터 1972년까지 18개월 동안 지속되었다.[12]1975년, 라이트는 베이시스트 커티스 로버트슨 주니어와 결혼했는데,[13] 이 주니어와 함께 자말 로버트슨(b. 1976), 호다리 로버트슨(b. 1979년) 두 아이가 있었다.[14][1]라이트와 로버트슨은 1982년에 이혼했다.

라이트는 1970년대 중반에 에티오피아에서 잠시 살았고 그곳에서 초월 명상 교사로 일했다.[15]그녀는 결국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여생을 살았다.[16]

침례교도를 태어나고 자란 그녀는 세 번째 결혼에 이어 이슬람교로 개종했고 하모니와 타키야 무함마드라는 두 아이를 낳았다.[3]

라이트는 2004년 유방암뼈암으로 항암치료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인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17]그녀는 잉글우드 공원 묘지에 묻혔다.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싱글스

연도 앨범 피크 포지션
미국
미국
R&B

AUS
[18]
영국
[19]
1968 "너를 위해 느끼는 사랑을 돌려줄 수 없어"
1972 "사랑한다는 것을 아는 것"
"I Love Every little Thing About You"
1974 "어서 이것 좀 받아"
"나는 고인 레프트다"
"스피닌과 스피닌" 49
1975 "당신의 키스는 달콤해" 12
"해머 러브" 75 32
1977 "거래하자"
(G.C. 캐머런과 함께)
1979 "With You I're Born Again"
(빌리 프레스턴과 함께)
4 86 21 2
"Go For It"
(빌리 프레스턴과 함께)
108
1980 "사랑을 위한 한 번 더"
(빌리 프레스턴과 함께)
52 72
때가 되면 올 것이다
(빌리 프레스턴과 함께)
47
1981 "너는 내 사랑을 움직이게 해"
"사랑을 흔들 수 없다"
1982 "퀵 슬릭" 41

기타 출연

게리 바츠와 함께

  • 주부만(촉매 기록, 1976년)

도날드 버드와 함께

참조

  1. ^ a b c d Laing, Dave (July 13, 2004). "Obituary: Syreeta". The Guardian. Retrieved December 29, 2017.
  2. ^ a b Perrone, Pierre (July 8, 2004). "Syreeta: Motown singer and sometime Mrs. Stevie Wonder". Independent UK. Retrieved December 29, 2017.
  3. ^ a b c Luther, Claudia (July 10, 2004). "Syreeta Wright, 58; Singer Wrote Hits With Stevie Wonder". Los Angeles Times. Retrieved December 29, 2017.
  4. ^ "Syreeta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 2012.
  5.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Colin Larkin, ed. (1993). The Guinness Who's Who of Soul Music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 258. ISBN 0-85112-733-9.
  6. ^ "Syreeta Wright Obituary (2004) San Diego Union-Tribune". Legacy.com. Retrieved 14 October 2021.
  7. ^ Wilson, Mary (2000). Dreamgirl & Supreme Faith, Updated Edition: My Life as a Supreme. Cooper Square Press. ISBN 978-0-8154-1000-3.
  8. ^ "Syreeta". Official Charts Company. September 21, 1974. Retrieved February 11, 2011.
  9. ^ Hunt, Dennis (July 5, 1994). "A 'Superstar' Start on a New Career : Theater: Syreeta Wright plays Mary Madgalene in 'Jesus Christ Superstar.' It's her first stage role ever and first singing job since the '80s". Los Angeles Times. ISSN 0458-3035. Retrieved August 8, 2018.
  10. ^ Willis, John (March 1, 2000). Theatre World 1994–1995. Hal Leonard Corporation. ISBN 9781557832504.
  11. ^ "Omar - This Is Not A Love Song". Omarmusic. Retrieved 29 March 2020.
  12. ^ "Uptight!". Google Books. JET Magazine/Johnson Publishing Company. October 1, 1970. Retrieved December 29, 2017.
  13. ^ "Albums by Syreeta". Rate Your Music. Retrieved February 11, 2011.
  14. ^ "People Are Talking About..." Google Books. JET Magazine/Johnson Publishing Company. July 3, 1980. Retrieved December 29, 2017.
  15. ^ 크레이그 워너, 하이그라운드: 스티비 원더, 아레사 프랭클린, 커티스 메이필드, 아메리칸 소울의 흥망성쇠(NY: Crown/Penguin, 2007), 168.ISBN 0307420876
  16. ^ 롭 텐-트롱크, 텐-트롱크의 유명인 로케이터(로스앤젤레스:Axiom Information Resources, 2005), 280.ISBN 0943213797
  17. ^ 시리타 페이지 Soulwalking.co.uk
  18. ^ a b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303. ISBN 0-646-11917-6.
  19. ^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545. ISBN 978-1-904994-1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