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치시네타

Tachycineta
타치시네타
Tree swallow in JBWR (25579).jpg
제비(타치시네타 바이콜러)
과학적 분류 e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코다타
클래스: 아베스
순서: 행인목
패밀리: 히룬디누스과
하위 패밀리: 히룬디나과
속: 타치시네타
카바니스, 1850년

본문을 보다

Tachycineta distribution map.png
지도에는 자메이카의 이전 분포가 포함되어 있다.

타치시네타는 제비과 히룬디네타치시네타는 제비과의 새속이다.묘사한 9종이 모두 아메리카 대륙에 한정되어 있다.

꼬리가 갈린 가느다란 제비들이다.대부분의 종은 금속성 녹색 등, 녹색 또는 청색 머리, 금속성 청색 또는 무광택 갈색 날개를 가지고 있다.모두 순백색 언더파트를 가지고 있고, 네 종은 백색 혹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타치시네타 제비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만 철새고, 오직 황금 제비와 맹그로브 제비만이 본질적으로 거주하고 있다.모든 종들은 둥지 부지에 자연적인 충치나 불용된 충치를 사용한다.

분류학

타치시네타 속은 독일의 조류학자 장 카바니신(Jean Cabanisin 1850)에 의해 보라색 녹색 제비(Tachycineta talassina)를 종류종류로 하여 도입되었다.[1][2]속명은 "빨리 움직인다"는 뜻의 고대 그리스 타쿠키누스토스에서 유래했다.[3]

속은 9종의 종으로,[4] 지리학과 관련된 두 개의 하위 종으로 나뉘는데, 북아메리카/캐리브아메리카와 남/중미 종이다.[5]

이미지 학명 공용명 분배
Tachycineta bicolor.jpg 타치시네타 바이콜러 나무제비 알래스카 북부와 캐나다에서는 나무 선까지 그리고 테네시 주까지 사정거리의 동쪽으로는 테네시 주, 서쪽으로는 캘리포니아와 뉴멕시코 주, 그리고 중심으로는 캔자스 주까지.
Bahama Swallow.jpg 타치시네타시네오비리디스속 바하마 제비 바하마 북부:안드로스, 그랜드 바하마, 아바코, 뉴 프로비던스
Tachycineta thalassina -San Luis Obispo, California, USA -male-8.jpg 타치시네타탈라시나 보랏빛녹색제비 중앙 알래스카에서 멕시코까지
Adult Hispaniolan Golden Swallow perched on artificial nest-box.jpg 타치시네타에크리시 황금제비 히스파니올라 및 이전 자메이카
Mangrove Swallow.jpg 타치시네타알빌리나 맹그로브 제비 멕시코 및 중앙 아메리카(벨리즈,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및 파나마)가 원산지임
Golondrina rabadilla blanca Tachycineta leucorrhoa Dario Niz.jpg 타치시네타레우코르치치아 흰줄벌제비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Andorinha-chilena (Tachycineta leucopyga).jpg 타치시네타레우코피가 칠레제비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포클랜드 제도, 파라과이, 우루과이.
타치시네타 스톨츠만니 텀블스 제비 페루 북서부와 에콰도르 남서부.
White-winged Swallow 1052.jpg 타치시네타알비벤터 흰날개제비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트리니다드에서 아르헨티나 북부까지 열대 남아메리카.

참조

  1. ^ Cabanis, Jean (1850–1851). Museum Heineanum : Verzeichniss der ornithologischen Sammlung des Oberamtmann Ferdinand Heine, auf Gut St. Burchard vor Halberstadt (in German and Latin). Vol. 1. Halberstadt: R. Frantz. p. 48.
  2. ^ Mayr, Ernst; Greenway, James C. Jr, eds. (1960).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 9. Cambridge, Massachusetts: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p. 81.
  3.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Christopher Helm. p. 377. ISBN 978-1-4081-2501-4.
  4. ^ Gill, Frank; Donsker, David, eds. (2019). "Swallows". World Bird List Version 9.2.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Retrieved 27 August 2019.
  5. ^ Cerasale, DJ; Dor, R; Winkler, DW; Lovette, IJ (Apr 2012). "Phylogeny of the Tachycineta genus of New World swallows: insights from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Molecular Phylogenetics & Evolution. 63 (1): 64–71. doi:10.1016/j.ympev.2011.1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