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선
Taebaek Line태백선 | ||||||||||||||||||||||||||||||||||||||||||||||||||||||||||||||||||||||||||||||||||||||||||||||||||||||||||||||||||||||||||||||||||||||||||||||||||||||||||||||||||||||||||||||||||||||||||||||||||||||||||||||||||||||||||||||||||||
---|---|---|---|---|---|---|---|---|---|---|---|---|---|---|---|---|---|---|---|---|---|---|---|---|---|---|---|---|---|---|---|---|---|---|---|---|---|---|---|---|---|---|---|---|---|---|---|---|---|---|---|---|---|---|---|---|---|---|---|---|---|---|---|---|---|---|---|---|---|---|---|---|---|---|---|---|---|---|---|---|---|---|---|---|---|---|---|---|---|---|---|---|---|---|---|---|---|---|---|---|---|---|---|---|---|---|---|---|---|---|---|---|---|---|---|---|---|---|---|---|---|---|---|---|---|---|---|---|---|---|---|---|---|---|---|---|---|---|---|---|---|---|---|---|---|---|---|---|---|---|---|---|---|---|---|---|---|---|---|---|---|---|---|---|---|---|---|---|---|---|---|---|---|---|---|---|---|---|---|---|---|---|---|---|---|---|---|---|---|---|---|---|---|---|---|---|---|---|---|---|---|---|---|---|---|---|---|---|---|---|---|---|---|---|---|---|---|---|---|---|---|---|---|---|---|---|---|---|
![]() | ||||||||||||||||||||||||||||||||||||||||||||||||||||||||||||||||||||||||||||||||||||||||||||||||||||||||||||||||||||||||||||||||||||||||||||||||||||||||||||||||||||||||||||||||||||||||||||||||||||||||||||||||||||||||||||||||||||
개요 | ||||||||||||||||||||||||||||||||||||||||||||||||||||||||||||||||||||||||||||||||||||||||||||||||||||||||||||||||||||||||||||||||||||||||||||||||||||||||||||||||||||||||||||||||||||||||||||||||||||||||||||||||||||||||||||||||||||
네이티브 이름 | 태백선(太白線) | |||||||||||||||||||||||||||||||||||||||||||||||||||||||||||||||||||||||||||||||||||||||||||||||||||||||||||||||||||||||||||||||||||||||||||||||||||||||||||||||||||||||||||||||||||||||||||||||||||||||||||||||||||||||||||||||||||
상태 | 운영 |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 |||||||||||||||||||||||||||||||||||||||||||||||||||||||||||||||||||||||||||||||||||||||||||||||||||||||||||||||||||||||||||||||||||||||||||||||||||||||||||||||||||||||||||||||||||||||||||||||||||||||||||||||||||||||||||||||||||
로캘 | 충북 강원 | |||||||||||||||||||||||||||||||||||||||||||||||||||||||||||||||||||||||||||||||||||||||||||||||||||||||||||||||||||||||||||||||||||||||||||||||||||||||||||||||||||||||||||||||||||||||||||||||||||||||||||||||||||||||||||||||||||
터미 | 제천 백산 시 | |||||||||||||||||||||||||||||||||||||||||||||||||||||||||||||||||||||||||||||||||||||||||||||||||||||||||||||||||||||||||||||||||||||||||||||||||||||||||||||||||||||||||||||||||||||||||||||||||||||||||||||||||||||||||||||||||||
스테이션 | 21 | |||||||||||||||||||||||||||||||||||||||||||||||||||||||||||||||||||||||||||||||||||||||||||||||||||||||||||||||||||||||||||||||||||||||||||||||||||||||||||||||||||||||||||||||||||||||||||||||||||||||||||||||||||||||||||||||||||
서비스 | ||||||||||||||||||||||||||||||||||||||||||||||||||||||||||||||||||||||||||||||||||||||||||||||||||||||||||||||||||||||||||||||||||||||||||||||||||||||||||||||||||||||||||||||||||||||||||||||||||||||||||||||||||||||||||||||||||||
유형 | 헤비 레일, 조수석/화물 지역철도 | |||||||||||||||||||||||||||||||||||||||||||||||||||||||||||||||||||||||||||||||||||||||||||||||||||||||||||||||||||||||||||||||||||||||||||||||||||||||||||||||||||||||||||||||||||||||||||||||||||||||||||||||||||||||||||||||||||
연산자 | 코레일 | |||||||||||||||||||||||||||||||||||||||||||||||||||||||||||||||||||||||||||||||||||||||||||||||||||||||||||||||||||||||||||||||||||||||||||||||||||||||||||||||||||||||||||||||||||||||||||||||||||||||||||||||||||||||||||||||||||
역사 | ||||||||||||||||||||||||||||||||||||||||||||||||||||||||||||||||||||||||||||||||||||||||||||||||||||||||||||||||||||||||||||||||||||||||||||||||||||||||||||||||||||||||||||||||||||||||||||||||||||||||||||||||||||||||||||||||||||
열린 | 1955-1973년 사이의 단계 | |||||||||||||||||||||||||||||||||||||||||||||||||||||||||||||||||||||||||||||||||||||||||||||||||||||||||||||||||||||||||||||||||||||||||||||||||||||||||||||||||||||||||||||||||||||||||||||||||||||||||||||||||||||||||||||||||||
기술 | ||||||||||||||||||||||||||||||||||||||||||||||||||||||||||||||||||||||||||||||||||||||||||||||||||||||||||||||||||||||||||||||||||||||||||||||||||||||||||||||||||||||||||||||||||||||||||||||||||||||||||||||||||||||||||||||||||||
선 길이 | 103.5km(64.3mi) | |||||||||||||||||||||||||||||||||||||||||||||||||||||||||||||||||||||||||||||||||||||||||||||||||||||||||||||||||||||||||||||||||||||||||||||||||||||||||||||||||||||||||||||||||||||||||||||||||||||||||||||||||||||||||||||||||||
트랙 수 | 싱글 트랙 | |||||||||||||||||||||||||||||||||||||||||||||||||||||||||||||||||||||||||||||||||||||||||||||||||||||||||||||||||||||||||||||||||||||||||||||||||||||||||||||||||||||||||||||||||||||||||||||||||||||||||||||||||||||||||||||||||||
트랙 게이지 | 1,435 mm (4ft 8+1⁄2 인치) 표준 게이지 | |||||||||||||||||||||||||||||||||||||||||||||||||||||||||||||||||||||||||||||||||||||||||||||||||||||||||||||||||||||||||||||||||||||||||||||||||||||||||||||||||||||||||||||||||||||||||||||||||||||||||||||||||||||||||||||||||||
전기화 | 25 kV/60 Hz AC Catelene | |||||||||||||||||||||||||||||||||||||||||||||||||||||||||||||||||||||||||||||||||||||||||||||||||||||||||||||||||||||||||||||||||||||||||||||||||||||||||||||||||||||||||||||||||||||||||||||||||||||||||||||||||||||||||||||||||||
|
태백선 | |
한글 | |
---|---|
한자 |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태백선 |
매쿠네-라이샤워 | 태백신 |
태백선은 대한민국 제천역에서 백산역을 잇는 단선 전철화 철도 본선이다. 양끝에서 태백선은 중앙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된다. 이 선은 원래 연결선이 건설되기 전에 어려운 산악 지형을 가로질러 단계적으로 건설된 두 개의 스퍼 라인이었다. 이 선은 남한 네트워크 중 가장 가파른 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 제2의 선로로 운영되고 있는 짧은 평행선에는 한국에서 가장 긴 나선 터널이 포함되어 있다. 태백 서부에서 마지막으로 건설된 구간의 중심부는 건설 당시 남한에서 가장 길었던 터널로, 터널 동쪽 끝에 있는 추전역은 855m(2805ft)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고도다. 여객 수송에서 이 노선은 서울과 한국의 동해안을 연결하는 국내 횡단 여객 열차로 운행된다. 화물 운송에서, 석탄 운송이 감소하는 동안, 그 노선은 상당한 시멘트 운송을 운반한다. 겨울에는 일반 특별열차가 관광객들을 데리고 경치 좋은 길을 따라 이동한다.
역사
이 노선은 원래 민간 소유의 선택철도가 충북선의 연장선상에서 계획한 노선이었으나, 한국에서 일제의 지배가 종식되면서 수년간 이 계획을 포기하게 되었다. 1949년 미국 정부기관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철도 신설을 포함한 한국 경제 살리기 계획에 착수했다.[1] 이 계획에 따른 한 노선은 제천에서 영월 주변의 탄광까지, 함백은 동쪽으로 60.4km(37.5mi) 노선이 신설되었다.[1] 1949년 8월에 착공하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어 1952년 10월 공사가 재개되었다.[1] 제천-원래 길이 38.1km(23.7mi)의 영월 구간은 1955년 12월 30일 영월선으로 개통되었다.[1] 1957년 3월 9일 함백까지 22.6km(14.0mi) 연장되어 함백선으로 개칭되었다.[2]
1961년 쿠데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경제성장을 육성하기 위해 철도망 완성을 위한 건설 프로그램을 포함한 한국 최초의 5개년 계획을 시작했다.[3] 이 계획에 따라 완공된 첫 번째 노선 중 하나는 황지선(黃地線)[3]으로, 이후 태백선의 동쪽 끝이 된다. 철암선 백산(오늘날 영동선)에서 황지(1984년 태백으로 개명)까지 9.0km(5.6mi) 길이의 스퍼트가 1962년 12월 20일 개통했다.[3] 함백선 예미~정선 간 41.6km(25.8mi) 철도가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됐다.[3] 이후 태백선의 일부가 [4]될 함백산 주변의 산을 등반하는 구간(2009년 민둥산 개명)은 1966년 12월 19일 완공되었으며, 제천에서 정선으로 가는 전 철도가 정선선선(정선)으로 개칭되어 짧은 예미~함백 분기점이 함백선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3] 예미 다음으로 등반 중 1,147m(3,763ft) 길이의 선로 구간이 30.3㎞[5]로 한국 네트워크에서 가장 가파르다. 또한 1966년 12월 19일, 정산에서 고한까지 10.7km(6.6mi)의 지선이 고한선(高漢線)으로 개통되어[6] 미래의 태백선(太白線)[3]의 일부가 되었다. 정선선은 1967년 1월 20일 정선까지 완공되었으며, 이 구간과 이후 연장선은 현재의 정선선을 이룬다.[3]
1973년 10월 16일 제천에서 백산 영동선과의 분기점까지 전체 철도가 태백선으로 개칭되면서 고한선과 황지선 사이의 15.0km(9.3mi) 길이의 간격이 막혔다.[6] 마지막 구간의 중심축은 전라도선과 경부고속철도의 긴 터널이 개통되기 전까지 국내에서 가장 긴 4,505m(1만4,780ft)[6] 길이의 정암터널로, 터널 동쪽 끝의 추전역은 855m(2,805ft)로 남한 최고고도에 있는 역이다. 바다[7]
개선하다
이 라인은 한국에서 25 kV/60 Hz 시스템으로 전기화가 최초로 예견된 것에 속했다.[8] 공사는 태백선이 완공되고 정식 명칭이 변경되기 전인 1972년에 시작되었다.[7] 남한의 새로운 전압계통으로 첫 시험운행은 1972년 6월 9일 당시 고한선이라고 불리던 산정~고한 구간에서 8000급 전기 기관차로 시행되었다.[9] 제천~고한 구간 80.1km(49.8mi)에서 1974년 6월 20일 정기 전기 운행이 시작되었다.[8] 나머지노선은 1975년월 5일 동해안에서 85.5km(53.1mi)의동해까지 영동선을함께 전기화되었다 구간과 연결하는 총.[8] 이와 함께 제천~동해 구간 열차가 백산에서 역주행 없이 운행할 수 있도록 만든 0.8㎞(0.50mi)규모의태백삼각선도 투입됐다.[10]
예미에서 조동으로 가는 가파른 오르막길의 교통을 개선하기 위해 함백선을 조동까지 연장하여 제2의 선로를 제공하였다. 고도차이는 나선형 터널인 함백1터널로 2,450m(8,038ft)로 국내 최장 나선형 터널이었다.[5] 총 길이 4.2km(2.6mi) 함백–조덕 링크는[10] 1976년 12월 30일에 완성되었다. 함백선 주변 총 15.9km(9.9mi)의 전기화는 1977년 4월 1일 개통되었다.[8]
시멘트 수송과 대중 교통으로 운행이 가까워지고 있는 제천에서 쌍용까지 첫 18.3km(11.4mi) 노선은 2011년 개통을 목표로 3773억2300만 원의 예산으로 더 높은 운임을 위해 복선전철되고 있다.[11]
작전
여객 수송에서 태백선은 무궁화호 횡단 열차가 운행한다. 2010년 12월 15일부터 유효한 시간표에는, 1일 6쌍의 일일 열차를 운행하여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7쌍으로 보강하고, 제천~태백 구간은 정차 횟수에 따라 1시간 49분에서 1시간 58분 사이에 운행한다.[4] 이들 열차는 중앙선과 영동선을 연결하는 구간을 이용해 서울 청량리역과 동해안의 강릉역을 잇는 열차다.[4] 청량리~태백 이동시간은 정차 횟수에 따라 3시간45분~4시간12분이다.[4] 제천~민둥산 구간도 정선선선 제천~아우라지 구간을 운행하는 일일열차 2쌍이 운행한다.[4] 매월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에는 청량리와 아우라지 사이를 '정선 5일장 열차'[4]로 운행하여 정선 5일장을 오가는 승객을 수송한다.[12]
1998년 한국철도공사(현 코레일)가 겨울철 운행하는 특별 관광열차를 도입해 눈꽃 장식으로 식별해 큰 인기를 누렸다.[13] 이들 열차의 대부분은 태백선을 횡단하기도 한다. 2009/2010 시즌까지, 이 제안은 지역 관광과 결합된 단일 목적지 여행과 중앙, 태백, 정선, 영동선을 따라 태백산맥의 왕복 여행 등 십여 개의 다른 관광 상품으로 확대되었다.[14]
2009년 코레일의 계획에 따르면, 태백선의 이동 시간은 2013년 이후 틸팅 열차 급행의 미래 시리즈 버전과 함께 단축될 예정이다.[15]
이 노선은 또한 상당한 화물 운송을 수반한다. 이 노선은 원래 석탄 광산을 주로 이용하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90년대에 정부가 석탄 산업을 합리화하고 이 지역의 광산을 폐쇄하면서 석탄 수송은 감소했다.[7][13] 2000년대 들어 쌍용차에서 시멘트 운송으로 상당한 화물 운송이 이뤄진다.[11]
2014년 7월 22일 태백역과 문곡역 사이에 여객열차 2대가 정면으로 충돌해 1명이 숨지고 92명이 다쳤다. 그들 중 한 명이 교통 신호를 놓친 것으로 의심되었다. 사고는 단선 철도에서 발생했으며 통근열차가 떠나도록 하기 위해 관광열차가 임시 정차한 것으로 돼 있었다.[16]
주요 역
- 제천, 중앙선과의 분기점, 정기여객열차도 충북선을 연결한다.
- 영월;
- 함백선 계곡 종점 예미
- 함백선 종점인 조동,
- 정선선의 종점인 민둥산(옛 증산)
- 사북;
- 고한;
- 태백; 그리고
- 백산, 영동선과의 분기점.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태백선과 관련된 매체가 있다. |
- ^ a b c d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1] 3대 산업선" (in Korean). Silvernet News. 2010-03-14. Retrieved 2011-01-06.
- ^ "[1957년 3월 9일] 함백선 개통". www.ytn.co.kr (in Korean). Retrieved 2018-06-14.
- ^ a b c d e f g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2] 경제개발과 철도" (in Korean). Silvernet News. 2010-03-20. Retrieved 2010-11-27.
- ^ a b c d e f "Korail Total Time Table 2010.12.15" (in Korean). Korail. Retrieved 2011-01-04.
- ^ a b "최 고". Kora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4-05-30. Retrieved 2011-01-06.
- ^ a b c "고한선[古汗線]" (in Korean). EnCyber. Retrieved 2011-01-06.
- ^ a b c "From the coal transportation hub to the four-season leisure and sports gateway - Gohan Station (Jeongseon-gun, Gangwon-do)". InvestKorea. 2007-11-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08. Retrieved 2010-11-04.
- ^ a b c d "Electricity Almanac 2009" (PDF). Korea Electric Association. Retrieved 2010-10-27.
- ^ "History". Korea Railway Industry information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Retrieved 2010-11-01.
- ^ a b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철도키로증감현황 (in Korean). Kora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Retrieved 2011-01-06.
- ^ a b "제천∼쌍용 복선전철".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Retrieved 2010-10-24.
- ^ "Jeongseonjang/Jeongseon Market". Korea Tourism Organization. Retrieved 2011-01-04.
- ^ a b "Snow train's mountain fantasy". JoongAng Daily. 2002-01-06. Retrieved 2011-01-04.
- ^ "Weekend train trips to snowy territory". JoongAng Daily. 2010-01-28. Retrieved 2011-01-04.
- ^ "Korean Advanced Tilting Train Completes 200km/h Maximum Speed Test Run". KRRI. 2009-12-30. Retrieved 2011-01-05.
- ^ "Korean train crash leaves one dead, 92 injured". The Korea Times. 2014-07-22. Retrieved 201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