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난 공항
Tainan Airport타이난 공항 타이난 공군 기지 台南航空站 台南空軍基地 | |||||||||||||||
---|---|---|---|---|---|---|---|---|---|---|---|---|---|---|---|
요약 | |||||||||||||||
공항 유형 | 공공/군 공군 기지 | ||||||||||||||
교환입니다. | 민간항공국 밀리터리: 대한민국 공군 미국 공군(1955년-1979년) | ||||||||||||||
위치 | 대만 타이난시 남쪽 | ||||||||||||||
고도 AMSL | 64 피트 / 20 m | ||||||||||||||
좌표 | 22°57°01°N 120°12°20°E/22.95028°N 120.20556°E좌표: 22°57°01°N 120°12 †20 †E / 22.95028°N 120.20556°E / | ||||||||||||||
지도 | |||||||||||||||
타이완 타이난 공항 위치 | |||||||||||||||
활주로 | |||||||||||||||
|
타이난 공항(타이난 공항, )은 타이완 타이난 시 남구에 위치한 공항이다.이것은 중화민국 공군 타이난 AFB와 공유된다.2011년 1월, 민간 항공국은 공항이 국제선을 [1]취급하도록 승인했다.
역사
타이난 공항은 일본 통치 시대인 1935년 타이난 현 정부에 의해 대만 남부의 민간 교통의 필요성 때문에 제안되었다.1937년 6월 26일 일본항공운송에 의해 마쓰야마 공항(현재의 타이베이 쑹산 공항)으로 가는 정기편이 개설되었다.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이 공항은 타이난 항공 그룹의 기지로 개조되었다.전쟁 중에 이 공항은 오늘날 영캉과 가이렌 [2]구역으로 알려진 두 개의 다른 작은 공항과 구별하기 위해 미군에 의해 에이네쇼 공항이라고 명명되었다.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을 점령한 후, 이 공항은 민간 항공편을 유지한 채 중화민국 공군에 인계되었다.1955년과 1979년 사이에 미 공군이 이 공항에 주둔했는데, 한때 클라크 AB에서 F-4 항공기에 전술 핵무기를 장착하고 클라크 405 전투기 비행단의 조종사들이 경계 태세를 취했다.1966년 3월 12일부터 1974년 [3]7월 31일까지.
1955년 1월 27일부터 19일까지, 9월 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오키나와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타이난 공군기지로 배치된 제12전폭기비행대대대(북미 F-86 Sabre, 1955년 3월 3일부터 4월 2일까지, 제26전폭기비행대)도 나하 기지에 배치되었다.
1956년 11월 오키나와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타이난 [4]AB로 제336전투비행대가 배치됐다.
1957년 10월 20일, 제7전술미사일비행대대를 지원하기 위해 USAF 6200공군기지비행단(타이난 공군기지그룹이라고도 함)이 창설되었다(나중에 CONUS에서 오는 제868전술미사일비행대대로 재지정되었다).리는 타이난 공군기지 그룹의 첫 사령관이 되었다.1958년 8월 18일 또 다른 재설정은 부대의 이름을 6214 공군기지 그룹으로 변경시켰다.1958년 제802공병항공대대 A중대는 기반시설 공사, 기지 신축,[5][6] 콘크리트 활주로 신설 등을 위해 타이난 공군기지에 배치됐다.제868전술미사일중대는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이곳에 주둔해 MGM-1 투우사를 운용했으며, 아마도 미국 대만 방위사령부가 최종 통제하고 있을 것이다.1965년 4월 7일 552d 공중조기경보통제단은 캘리포니아 매클렐런 공군기지에서 타이난 공군기지로 비행편을 급파했다.1966년 2월 8일부터, 제6214 공군기지 그룹은 부대의 이름을 [7]제6214전투지원단으로 변경했다.
1965년 11월 20일부터, 제405전투비행단의 제523전투비행대는 타이난 공군기지에 분견대를 유지하였다.
다음은 제405전투비행단이[8] 대만의 타이난 공군기지에 파견대를 주둔시킨 부대들이다.
- 제523전술전투비행대대(테일코드: PN) (1965년 11월 20일 ~ 1973년 8월 31일) (F-100D, F-4D)
- 제90전술전투비행대(테일코드: PN) (1973년 8월 31일 ~ 1974년 7월 31일) (F-4)
미 공군 제405전투비행단은 1959년 12월부터 1967년 8월까지 F-100D 슈퍼 세이버 전투기를 탑재한 제510전투비행대대를 타이난 기지에 파견했다.1966년 5월 13일부터 1966년 7월 21일까지 일본 MCAS 이와쿠니의 미 해병대 전투/공격 중대의 VMFA-314와 VMFA-323이 타이난 공군 기지에 임시 임무(TDY)로 배치되었다.그들은 제327항공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제6214전투지원단의 병참 지원을 받았다.
1966년 6월 10일부터 1969년 12월 15일까지 제509전투기-요격기 비행대는 필리핀 클락 공군기지에서 타이난 공군기지로 F-102A 분대를 배치했다.
이 공항에 본사를 둔 에어 아시아는 미군에 [citation needed]의한 항공기 정비 필요성 때문에 베트남 전쟁 중에 번창했다.
냉전 기간 동안 미국은 대만에 핵무기를 배치했다.핵무기는 1972년 [9]철수 명령이 내려질 때까지 타이난 공군기지에 보관돼 온 것으로 알려졌다.
1973년 8월 31일, 제523전투비행대대의 F-4D 분대는 타이난 공군기지에서 클락 AB 필리핀으로 철수하여 1974년 7월 31일까지 제90전투비행대대로 전환되었다.
1974년 7월 31일, 제6214전투지원단은 제6214공군기지그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4년 12월 1일, 제6214 공군기지 그룹은 제6214 공군기지 [10]편대로 개편되었고, 타이난 AB는 관리인 신분으로 전환되었다.
1975년 5월 31일, 제6214 공군기지 비행대가 [11]해산되었다.
F-102A-51-CO 델타 단도 56-0968은 1969년 타이난 공군기지에서 이륙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 공항은 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기 전까지 타이베이 쑹산 공항과 가오슝 공항에 이어 세 번째로 붐비는 국내 공항이었다.승객 수가 크게 감소함에 따라 극동항공운송은 2008년 3월 1일 타이난 공항과 타이베이 쑹산 공항 간의 운항을 중단하고 타이난 공항에서의 50년간의 운항 역사를 끝냈다.경쟁사인 트랜스아시아 항공도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제트기(Airbus A320)에서 터보프롭(ATR 72)으로 다운그레이드해야 했고, 2008년 [citation needed]8월 1일부로 공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공군과의 공용도로 인해 공항 터미널은 비행장에서 꽤 떨어진 곳에 지어졌다.승객들은 앞치마에서 내려 터미널까지 셔틀버스를 탑니다.공군과 공용한다는 것은 또한 공군이 [citation needed]훈련을 실시할 때 일부 비행이 취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1년 1월, 민간 항공국은 공항이 국제선을 취급하도록 승인했다.2013년 7월 18일 홍콩행 첫 국제선 운항이 시작됐으며 중국항공은 보잉 737-800기를 이용해 [12]주 3회 운항했다.2014년 3월부터 이 비행의 빈도는 매일 증가하지만 항공기는 중국항공의 자회사인 만다린항공이 운영하는 [citation needed]소형 엠브라어 E-190으로 강등된다.
베이스 유닛
- 제1전술전투비행단
- 제1전술전투비행대 – AIDC F-CK-1 칭궈
- 제3전술전투비행대 – AIDC F-CK-1 칭궈
- 제9전술전투비행대 – AIDC F-CK-1 칭궈
- 제1보수공급그룹
- 1차 기본 서비스 그룹
- 마공 공군기지 서비스 비행대
- 제1헌병중대
- 제9헌병중대
항공사 및 목적지
승객
항공사 | 수신처 |
---|---|
대나무 항공 | 헌장: 하노이[13] |
중화항공 | 홍콩 오사카 간사이[14] |
유니 에어 | 금문, 펑후 |
비엣젯항공 | 호찌민 시[15] |
사고 및 사고
1969년 2월 24일, 36명의 승객과 승무원을 태운 핸들리 페이지 다트 헤럴드 항공편 104편이 타이난에 비상 착륙을 시도하던 중 추락했다.탑승자 전원이 [16]사망했습니다.
1977년 4월 16일, FEAT 더글러스 C-47A B-247이 착륙 [17]사고로 경제적 수리 이상으로 파손되었다.
2003년 3월 21일, 타이베이 쑹산 공항에서 타이난 공항으로 향하던 트랜스아시아 항공 543편(에어버스 A321 등록 B-22603)이 36R 활주로에 있던 트럭과 충돌했다.175명의 승객과 승무원 중 아무도 죽거나 다치지 않았지만 트럭에 타고 있던 두 명의 승객은 부상을 입었고 항공기는 추락했다.[18][19]
2015년 미 해병대 F/A-18C 호넷 2대가 비행 중 엔진 이상이 발생한 후 기지에 예정외 착륙했다.이 항공기는 미군 기술자를 태운 C-130기가 [20]점검하기 위해 들어올 때까지 공군 격납고에 수용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Tainan Airport to open to international flights". Focus Taiwan News Channeldate=2011-01-22. Retrieved 2011-01-22.
- ^ 08、日治下台南永康機場的時空記憶 - 國史館台灣文獻館[영구 데드링크]
- ^ 台南曾有核武基地 有人見過核彈
- ^ "History of the US Air Force in Taiwan 1955 - 1956". Taipei Air Station.
- ^ "Tainan Air Base—1958". Taipei Air Station.
- ^ "Big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Tainan Area 1958". Taipei Air Station.
- ^ "Charged with responsibility for logis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units on Taiwan". Air Force History Index live.
- ^ "Includes unit history reports for Unit 1 of the 405 Fighter Wing. (The first detachment is stationed at Tainan Air Force Base, Taiwan.)". Air Force History Index live. 1971-07-01.
- ^ "National Security Archive Electronic Briefing Book No. 20". nsarchive2.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Retrieved 27 September 2020.
- ^ "Abstract (Unclassified), History 6214 Air Base Squadron Oct–Dec 1974 (Secret)". Air Force History Index live. (6214 공군기지집단을 6214 공군기지중대로 재지정)
- ^ "6214 Air Base Squadron inactivated 31 May 75". Air Force History Index live.
- ^ "China Airlines launches Tainan-Hong Kong direct flights". Retrieved 14 April 2016.
- ^ "Bamboo Airways khai trương liên tiếp 3 đường bay quốc tế". 2019-04-22.
- ^ "China Airlines Confirms Tainan - Osaka Launch from late-Oct 2015". Airlineroute.net. 5 June 2015. Retrieved 5 June 2015.
- ^ "Vietjet Air Adds Tainan Service from late-June 2016". airlineroute. Retrieved 11 April 2016.
- ^ "Accident description". Aviation Safety Network. Retrieved 19 July 2010.
- ^ "B-247 Accident description". Aviation Safety Network. Retrieved 4 August 2010.
- ^ Harro Ranter (21 March 2003).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21-131 B-22603 Tainan Airport (TNN)". Retrieved 14 April 2016.
- ^ "Photo Search Results". Retrieved 14 April 2016.
- ^ Michael Cole, J. "US Marine F-18s Land at Taiwan Air Base, Beijing Protests". thediplomat.com. The Diplomat. Retrieved 11 Novembe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