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토 번

Takatō Domain
다카토 번
高遠藩
타카토한
일본의 행정 구역
1600–1871
Burg Takato Plan 1.jpg
다카토 성 지도
Mon of the Naitō of Takatō Domain
자본다카토 성
면적
• 좌표35°50′00″n 138°03′45″E/35.8332°N 138.0625°E/ 35.8332; 138.0625좌표: 35°50′00″N 138°03′45″E / 35.8332°N 138.0625°E / 35.8332; 138.0625
역사
정부
다이묘
• 1600–1631
호시나마사미츠 (첫 번째)
• 1859–1871
나이토 요리나오 (마지막)
역사시대에도 시대
• 확립됨
1600
• 설정되지 않음
1871
안에 포함됨
시나노
오늘의 일부나가노 현

다카토 번(高藤原, 다카토한)에도 시대 1600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 도쿠가와 막부영토였다.

다카토 번은 혼슈 섬의 취부 지역에 위치한 현대 도시 이나에 있는 시나노다카토 성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1]다카토 번은 1600년부터 1636년까지 호시나 가문후다이 다이묘, 1636년부터 1689년까지의 도리이 가문, 1691년부터 1871년까지의 나이토 가문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고쿠다카 가의 가치는 3만 3천 코쿠이다.다카토 번은 메이지 정부의해 1871년 한제 폐지로 해체되어 그 영토가 나가노 현으로 흡수되었다.

역사

다카토 주변의 영토는 센고쿠 시대 요리쓰구 다카토(1552년)에 의해 지배되었다.1545년 다카토 포위전에서 다케다 신겐에게 성이 함락된 후, 신겐의 아들 니시나 모리노부에게 넘겨졌다.그 후 다카토씨는 1582년 제2차 다카토 공성전에 이어 다케다 일족의 패망과 그에 따른 멸망에 따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 호시나 마사토시씨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 이어 1603년 도쿠가와 막부가 성립된 데 이어 마사토시의 손자 호시나 마사미쓰가 다카토 번의 에도 시대 다이묘가 되었고, 도메인은 공식적으로 2만5000코쿠고쿠다카에 랭크되었다.마사미쓰는 호시나 마사유키라는 이름으로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사생아를 자신의 사생아로 키웠으며, 1618년 자신의 영토로 5,000코쿠 증액에 대한 보상을 받았다.마사유키는 1632년 히데타다의 사망에 이어 1636년 와 국 야마가타 번으로 전출되어 20만 코쿠의 수입을 올렸다.[3]

야마가타 번 도리이 다다마사의 셋째 아들인 도리이 다다하루가 3만 2천 코쿠 수입으로 다카토 영주로 대신했다.그러나 다음 영주인 도리이 다다노리는 1689년 에도에서 일어난 스캔들로 가택 연금 중에 사망하여 종족의 계승은 막부의 손에 맡겨졌다.다다노리의 후계자 도리이 다다히데노토 국 시모무라1만 코쿠 보유국으로 강등되었다.그 결과 다카토는 1691년까지 막부가 직접 관리하는 덴요가 되었고, 이때 기요카즈 나이토세쓰톤다바야시 번에서 다카토 번으로 재배치되었다.이 도메인은 다음 영주인 나이토 요리노리(Naito Yorinori) 밑에서 시작하여 재정난을 겪기 시작했는데, 그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혁과 혁신을 위해 노력했다.에지마-이쿠시마 정사는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고, 그 결과 에도에서 추방된 에지마라는 쇼군 부대가 다카토 가택에 남게 되었다.[4]

제7대 다카토 영주인 나이토 요리야스(Naito Yoriyas)는 무역시장, 도메인이 직접 운영하는 뽕나무 재배지, 교육기관, 토지강화사업 등 수많은 개발사업을 총괄했다.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수많은 농민 반란과 왕국에 불안을 가져왔다.[5]

바쿠마쓰 시대에 이르러 최종 다이묘나이토 요리나오는 한학교를 세우고 막부의 조슈반대 운동에 참가했다.그러나 1868년 보신 전쟁 때 다카토는 막부의 마지막 지지자들에 대항하여 새로 창설된 메이지 정부군의 편을 들어 호쿠에쓰 전투와 아이즈 전투에 병력을 파견하였다.[5]

나이토 요리나오는 그 땅이 정식으로 황제에게 넘겨질 때 다카토 총독으로 남아 있었다.1871년, 도메인이 폐지되고 다카토 현이 「타카토 현」이 되어, 쓰카마 현에, 결국 나가노 현에 편입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5]

바쿠마츠 시대 보유량

한계의 대부분의 도메인과 마찬가지로 다카토 번은 주기적인 지적 조사와 예상 농업 수확량에 기초하여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기 위해 계산된 여러 불연속 영역으로 구성되었다.[6][7]

다이묘 목록

# 이름 테뉴어 명목적 칭호; 의례상 작위 코트 랭크 고쿠다카 메모들
Mon Hoshina.svg 호시나 씨족(후다이) 1600–1636
1 호시나마사미츠(保科正光) 1600–1631 분고노카미 (肥後守) Lower 5th (従五位下) 25,000→30,000 코쿠 다코 번에서 갈아타다
2 호시나마사유키(保科正之) 1631–1636 Ukon-no-ue-chūjō (左近衛中将) Lower 4th (従四位下) 3만 코쿠 야마가타 번으로 갈아타다
Japanese Crest Torii Sasa.svg 토리이 씨족(후다이) 1636-1689
1 토리이 다다하루(鳥居忠春) 1636–1663 슈젠노카미 (主膳正) Lower 5th (従五位下) 32,000코쿠 야마가타 번에서 갈아타다
2 토리이 다다하루(鳥居忠則) 1663–1689 사케오노스케(左左亮) Lower 5th (従五位下) 32,000코쿠 시모무라 번으로 이전하다
Mitsubaaoi.jpg 덴리오 1629–1668
Japanese crest Sagari Fuji.svg 나이토 씨(후다이) 1691–1871
1 나이토 기요카즈(内藤清枚) 1691–1714 탱고노카미(丹丹守)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톤다바야시 번에서 전출하다
2 나이토 기요노리(内藤頼卿) 1714–1735 Iga-no-kami (伊賀守)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3 나이토요리유키(内藤頼由) 1735–1776 야마토노카미(大大)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4 나이토 요리타카(内藤頼尚) 1776–1776 Iga-no-kami (伊賀守)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5 나이토 나가요시(内藤長好) 1776–1791 야마토노카미(大大)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6 나이토 요리모치(内藤頼以) 1791–1820 야마토노카미(大大)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7 나이토요리야스(内藤頼寧) 1820–1859 야마토노카미(大大)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8 나이토 요리나오(内藤頼直) 1859–1871 야마토노카미(大大) Lower 5th (従五位下) 3만3000코쿠

나이토 기요카즈

기요카즈 나이토(吉田 京都, 1645년 9월 25일 ~ 1714년 5월 29일)는 일본의 에도 시대 초기다이묘였다.가와치 국 톤다바야시제2의 나이토 다이묘, '시나노 국 다카토 번 제1의 나이토 다이묘였다.기요카즈는 에도에서 하타모토와 미즈노 모리마사 오메쓰케의 차남으로 태어났다.단다바세이시 번 다이묘 시게요리 나오토(小ey)의 딸과 결혼하여 1681년 후계자로 지명되었다.그는 1690년 양친의 죽음으로 다이묘가 되었다.이듬해 막부에 의해 시나노 국 다카토 번으로 전보되었다.그는 같은 해에 자신의 소유지에 들어갔고, 이 지역을 통치하는 17가지 새로운 법과 그의 가계를 위한 11가지 규칙과 규정을 선포했다.그의 영역은 명목상의 고쿠다카가 3만 9천 코쿠다카였지만, 약 6천 코쿠는 사실상 막부에 빚진 수입으로 텐료 땅이었고, 새로운 쌀 땅을 개발할 여지는 거의 없었다.1694년과 1707년에 오사카 카반, 1695년부터 1697년까지 소샤반으로 부임한 것도 자본의 지출이 필요했고, 처음부터 도메인은 위태로운 재정 상황에 놓여 있었다.1696년, 기요나가(基yon歌)에서 기요카즈(清ok)로 이름을 바꾸었다.1714년 7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묘소는 도쿄 신주쿠의 타이조지 신전에 있다.신주쿠 나오토 에도의 나이토 기야카즈 나카야시키 저택 자리에 세워졌다.[5]

나이토 요리노리

나이토 요리노리(明治頼, 1697년– 1735년 3월 21일)는 다카토 번의 제2대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제7대 세습 치프타인이다.요리노리는 에도에서 태어났으며, 이야마 나가이 나오히로의 장남이다.요르노리가 태어났을 때 기요카즈는 이미 50세가 넘었기 때문에, 이전에 다른 집에서 입양된 아들 둘을 선발하였지만, 이들 입양된 아들들은 따로 두었다가 1714년 요리노리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다이묘가 되었다.하지만 그는 건강이 좋지 않았고, 이 지역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재정 개혁을 수행할 수 없었다.1724년부터 1728년까지 소샤반(小ōan)을 지냈으며, 막부 내의 다른 수많은 소관(小官)에서 활동하였다.후나이 번 마쓰다이라 지카요시의 딸과 결혼했지만, 남자 후계자는 없었다.1735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묘소는 도쿄 신주쿠의 타이조지 신전에 있다.[5]

나이토요리유키

요리유키 나오토(内内yukiyuki, 1708년 ~ 1780년 6월 30일)는 다카토 번의 3대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8대 세습 치프타인이다.요리노리는 기요카즈 나오토의 6남으로 태어났으며, 1735년 요리노리가 죽은 직후 나이토 요리노리의 사후 후계자로 입양되었다.1739년 오사카 갑안에 임명되었고, 1746년부터 1775년까지 소샤반으로 활동하였다.그의 재임 기간 내내 도메인 재정 문제가 계속되었다.하마다 번 마쓰다이라 야스토요의 딸과 결혼하였으나, 아들은 유년기에 사망하고 그 도메인은 1776년 은퇴하면서 양자에게 상속되었다.1780년에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도쿄 신주쿠의 타이조지 신전에 있다.[5]

나이토 요리타카

요리타카 나이토(内itaka川, 1752년 4월 11일 ~ 1776년 12월 5일)는 다카토 번의 제4대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제9대 세습 치프타인이다.요리타카는 무라카미 번 나오토 노부오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1772년 요리유키 나오토의 후계자로 입양되어 1776년 요리유키 은퇴에 따라 다이묘가 되었다.그러나 불과 8개월 후 25세의 나이로 남자 후계자 없이 세상을 떠났다.가케가와 번 오타 스케토시의 딸과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그의 묘소는 도쿄 신주쿠의 타이조지 신전에 있다.[5]

나이토 나가요시

나가요시 나오토(長橋, 1771년 5월 5일 ~ 1791년 11월 30일)는 다카토 번의 5대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10대 세습 치프타인이다.나가요시는 에도에서 오와리 번 도쿠가와 무네카쓰의 아들로 요리타 나오토(ita田)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요리유키 나오토( yyuki)의 양자로 태어났다.1771년 요리타카 나이토( yor田)의 후계자로 채택되었고, 1776년 후자의 사망에 따라 다이묘가 되었다.그러나 그는 도메인의 행정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사냥과 불꽃놀이 전시회를 조직하고 파티에서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그는 빈약한 선택임을 증명했다.1791년 23세의 나이로 남자 후계자 없이 세상을 떠났다.후쿠치야마구쓰키 토쓰나의 딸과 결혼했다.그의 묘소는 도쿄 신주쿠의 타이조지 신전에 있다.[5]

나이토 요리모치

나이토 요리모치(内imo頼治, 1776년 6월 8일 ~ 1856년 3월 18일)는 다카토 번의 6대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11대 세습 치프테인이다.요리모치는 후쿠시마이타쿠라 가쓰노리의 사후 5남으로 태어났으며, 1791년 아이가 없는 나가요시 나오토의 후계자로 추증되었다.1792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에게 정식 청중을 받았다.그는 1808년부터 1819년까지 소샤반으로 일했다.그는 1820년에 은퇴하고 1856년에 죽었다.요도이나바 마사요시의 딸과 결혼했다.그의 묘소는 도쿄 신주쿠의 타이조지 신전에 있다.[5]

나이토요리야스

요리야스 나이토(内内頼, 1800년 3월 23일 ~ 1862년 11월 23일)는 다카토 번의 7대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12대 세습 치프테인이다.[5]

나이토 요리나오

요리나오 나이토(内内頼, 1840년 11월 20일 ~ 1879년 8월 17일)는 다카토 번의 8대(및 최종) 나이토 다이묘, 다카토-나이토 가문의 13대 세습 치프테인이다.[5]

참고 항목

한 목록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크게 일본어 위키백과 관련 기사의 내용에서 파생된 것이다.
  • Papinot, E. (1910).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외부 링크

메모들

  1. ^ JapaneseCastleExplorer.com의 다카시마 성; 2013-7-4를 회수했다.
  2. ^ 턴불, 스티븐(1998년).'사무라이 소스북'런던: Cassell & Co.
  3. ^ 파피노트, 자크 에드먼드 조셉(1906년).어법사 d'히스토아르 et de géographie du Japon; Papinot, (2003)
  4. ^ Itasaka, Gen (1983). Kodansha Encyclopedia of Japan. Vol.2: Kodansha. p. 188. ISBN 0870116223.{{cite book}}: CS1 maint : 위치(링크)
  5. ^ a b c d e f g h i j k Hasegawa, Shoji (2005). 高遠藩 (シリーズ藩物語). Gensai Shokan. ISBN 476847103X.
  6. ^ 미사, 제프리 P, 윌리엄 B하우저.(1987).일본 역사 속의 바쿠후, 페이지 150.
  7. ^ 엘리슨, 조지, 바드웰 L. 스미스(1987년).군벌, 예술가, 평민: 16세기의 일본, 18페이지.
  8. ^ 파피노트, 자크 에드먼드 조셉(1906년).어법사 d'히스토아르 et de géographie du Japon; Papinot, (2003)11-12페이지 노빌리아레 뒤 자폰의 "호시나"; 2013-7-4.
  9. ^ 파피노트, (2003년).65페이지 노빌리아레 자폰의 "토리이"; 2013-7-4.
  10. ^ 파피노트, (2003년)."나이토"노빌리아레자폰에서 2013-7-4로 회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