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키 다케오

Takeo Miki
미키 다케오
三木 武夫
Takeo Miki 19741209.jpg
1974년 미키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재직중
1974년 12월 9일 ~ 1976년 12월 24일
모나크쇼와
선행다나카 가쿠에이
에 의해 성공자후쿠다 다케오
중의원 의원
재직중
1937년 3월 31일 ~ 1988년 11월 14일
선거구도쿠시마 종합
개인 정보
태어난(1907-03-17) 1907년 3월 17일
와, 도쿠시마, 일본
죽은1988년 11월 14일(1988-11-14)(81)
일본 도쿄
정당자민당
배우자
(m.1940년)
모교메이지 대학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서명

미키 다케오( , 1907년 3월 17일 ~ 1988년 11월 14일)는 일본의 정치인이다.

초기 생활과 가족

미키 다케오 생가

1907년 3월 17일 도쿠시마현 고쇼시(현 아와시)에서 농부이자 상인 미키 히사요시( his take m)와 그의 아내 다카노(高野)의 외동딸로 태어났다.아버지는 농사 외에도 비료, , 쌀, 잡화 등을 거래했지만 부유한 농부는 아니었다.히사요시는 고쇼 인근의 가키하라에서 농부 이노 로쿠사부로의 아들로 태어나 오사카에서 잠시 일하다가 돌아와 고쇼의 최대 지주 시바타 가문에서 일하기 시작했다.그는 농부 토키타로 미키의 딸 다카노 미키를 시바타 가문에서 일하고 있을 때 만났다.히사요시는 결혼 후 다카노의 성을 따고 신혼부부는 시바타 가문으로부터 집을 얻었다.[1]

미키가 태어났을 때 히사요시는 33세, 다카노는 38세였고, 미키는 외동아들이었기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그의 어머니는 그의 건강관리에 [1]특히 신중했다.

미키는 메이지대 법학부 재학 중 미국을 방문영미 자유사회와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소련 등 전체주의 국가에 대한 혐오감을 직접 목격했다.는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에 다녔고,[2] 1966년에 이 기관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자민당 이전의 정치 경력

마이니치신문 1952년 3월 10일 미키 다케오

1937년에 미키는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51년간 19번이나 재선되었다.1942년 총선에서는 도조 히데키 정권 하의 군사정권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공공연하게 내고 의석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때 그의 노력은 아베 [3]신조 총리의 조부인 아베 간 총리의 도움을 받았다.

전후 초기에 미키는 1947년과 1949년 총선에서 중도 성향의 국민협동조합당을 이끌었으나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950년대 초, 미키는 하토야마 이치로('山一郞)의 민주당[4]입당했는데, 하토야마 이치로('山一郞)는 당시 양대 보수파 중 하나였으며 요시다 시게루(吉田 and yosh)와 그의 자유당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이 두 파벌은 결국 1955년에 합당하여 오늘날의 자민당을 만들었고, 미키도 이 정당에 가입했다.

이후 정치 경력(자민당 내)

사토 총리 시절 외무장관으로서 미키는 1967년 비밀리에 미국 외교관 알렉시스 존슨을 만나 "오키나와 반환을 원하는 일본인의 열망을 미국의 군사적 요구와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를 논의했다.이는 동아시아에 [5]불안정이 남아 있는 한 미국이 계속 미국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해 온 오키나와에 대한 미국의 지속적인 지배를 재고하도록 미국을 설득하기 위한 같은 기간 여러 일본 관리들의 결연한 시도의 일환이었다.지역 외교 정책에 관해 미키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의 초기 주창자였으며 1968년에는 "[6]태평양 지역에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무역 블록을 만드는 것은 우리 입장에서 자살 행위"라고 말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ASEAN은 1976년 발리에서 개최된 첫 번째 정상회의에 미키 전 총리를 초대하는 것을 거절했는데, 이는 제국주의 일본의 전시 학대와 무역이 많은 경제 대국으로서의 일본의 현재 지위에 대한 분노로 인해 이 지역의 일본에 대한 경제 인식이 부정적이기 때문이다.게다가.[7]

1974년 12월 9일 다나카 가쿠에이(田中 const)가 부동산 및 건설회사 비리에 연루되자 미키는 총리직을 승계했다.미키가 자민당 총재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것은 주로 그의 개인적인 성실성과 그의 작은 파벌로부터의 약한 권력 기반 때문이었다.사실, 미키는 총리가 될 것이라고 전혀 기대하지도 않았고, 그가 당선되었을 때 그가 "날벼락"[citation needed]이라고 중얼거렸을 때 반영되었다.

미키는 1975년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의 장례식에 참석했을 때 외국 고위인사들과 [9]함께 대일본애국당[8] 간사장 후데야스 히로요시에게 폭행을 당했다.이로 인해 도쿄 경시청은 그의 안전을 [8]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았다.

1976년 국회에서 미키 총리는 1967년 사토 내각의 과거 명령을 재확인하면서 방위비 지출에 할당되는 국민총생산(GDP)의 비율이 [10]1%를 넘지 않도록 동결했다.이 정책 금기는 1980년대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根康弘) 차기 총리가 깨졌다가 1990년 미키파의 [11][12]후예였던 가이후 도시키(海富, ka) 총리가 부활했다. 정책은 근대 일본 내에서 헌법 개정에 대한 현재의 논의와 나아가 일본의 방위력 확장 가능성에 비추어 다시 주목받고 있다.어쨌든, 미키씨는 핵무기 [13]비확산 조약의 완전 비준을 국회에 요구해,[14] 사토 수상의 종래의 정책 강화에도 힘썼다.

미키는 당선된 후 록히드 뇌물수수 사건을 끈질기게 수사하고 [15]전임자에 대한 형사소추를 중단하는 등 자민당 개혁을 시도했다.미키는 또한 정치 재정 [16]개혁을 추구했다.이러한 활동으로 그는 당내에서 많은 적이 되었고, 말 그대로 「미키 타도」(미키 오로시)라는 캠페인이 유력 파벌 지도자에 의해 시작되었다.미키 전 총리의 개인적 인기에도 불구하고 록히드 사태는 1976년 총선에서 과반수를 빼앗기고 군소 정당과 거래를 해야 했던 당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일본 정무관료들이 당의 큰 좌절을 겪은 후 관례적으로 미키는 [17]사임했다.1976년 12월 24일, 후쿠다 다케오가 뒤를 이었다.

레거시

마오쩌둥의 말년에 는 미키가 자신의 당에서 쿠데타를 일으켰기 때문에 미키의 정치 상황에 큰 관심을 가졌다.마오는 미키에게 관심을 보인 적도, 심지어 그를 언급한 적도 없었다.

NFL 선수인 다케오 스파이크스는 [18]미키의 이름을 따왔다.

시애틀로의 접속

시애틀에서 지내는 동안, 미키는 유명한 일식 레스토랑 [19]마네키에서 식기세척기로 지냈다.

일본과 미국, 특히 시애틀의 유대를 기념하기 위해 미키는 1976년 미국 200주년 기념으로 시애틀에 벚나무 1000그루를 선물했다.이 선물은 지금도 [20]매년 열리는 시애틀 벚꽃 축제를 탄생시켰다.

은어

홍콩에서는 영화나 TV 드라마에서 무뚝뚝하거나 감정적인 표정으로 배우를 묘사할 때 '다케오 미키'라는 이름이 사용되기도 한다.어떤[who?] 사람들은 이 속어의 기원이 미키가 뉴스에 출연하는 동안 나무랄 데 없는 표정을 지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명예

외국의 명예

갤러리

레퍼런스

  1. ^ a b Konishi, Tokuō; 小西德應 (2011). Miki Takeo kenkyū. Meiji Daigaku. Meiji Daigakushi Shiryō Sentā., 明治大学. 明治大学史資料センター. Nihon Keizai Hyōronsha. pp. 98, 99, 369. ISBN 978-4-8188-2178-1. OCLC 758439654.
  2. ^ 1966년 9월 29~30일과 1966년 10월 1일과 3일, 일본 미키 다케오(美木o夫) 일본 통상산업대신의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방문(2009년 2월 10일).
  3. ^ "Japanese prime minister's another DNA". Dong-A Ilbo. 28 October 2013. Retrieved 15 January 2014.
  4. ^ Kohno, Masaru (1992). "Rational Foundations for the Organization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 Japan". World Politics. 44 (3): 371. doi:10.2307/2010543. ISSN 0043-8871. JSTOR 2010543.
  5. ^ Watts, Robert C. (2019). "ORIGINS OF A "RAGGED EDGE": U.S. Ambiguity on the Senkakus' Sovereignty". Naval War College Review. 72 (3): 111. ISSN 0028-1484. JSTOR 26654318.
  6. ^ Drysdale, Peter (2012), Drysdale, Peter; Yunling, Zhang; Song, Ligang (eds.), "OPEN REGIONALISM, APEC AND CHINAʹS INTERNATIONAL TRADE STRATEGIES", APEC and liberalisation of the Chinese economy, ANU Press, p. 16, ISBN 978-1-922144-56-0, JSTOR j.ctt24hb57.8, retrieved 13 September 2021
  7. ^ Villacorta, Wilfrido V. (1994). "Japan's Asian Identity: Concerns for ASEAN-Japan Relations". ASEAN Economic Bulletin. 11 (1): 82. ISSN 0217-4472. JSTOR 25770521.
  8. ^ a b "Attack on Miki, security lapse shock citizens".
  9. ^ https://www.nytimes.com/1975/06/17/archives/japanese-premier-is-punched-by-a-rightist-at-sato-funeral.htmlM[데드링크]
  10. ^ Samuels, Richard J. (2007). ""New Fighting Power!" Japan's Growing Maritime Capabilities and East Asian Security". International Security. 32 (3): 84–112. doi:10.1162/isec.2008.32.3.84. ISSN 0162-2889. JSTOR 30130519. S2CID 57568630.
  11. ^ Calder, Kent E. (1991). "Japan in 1990: Limits to Change". Asian Survey. 31 (1): 35. doi:10.2307/2645182. ISSN 0004-4687. JSTOR 2645182.
  12. ^ Baerwald, Hans H. (1989). "Japan's House of Councillors Election: A Mini-Revolution?". Asian Survey. 29 (9): 840. doi:10.2307/2644829. ISSN 0004-4687. JSTOR 2644829.
  13. ^ Tamamoto, Masaru (2009). "The Emperor's New Clothes: Can Japan Live without the Bomb?". World Policy Journal. 26 (3): 67. doi:10.1162/wopj.2009.26.3.63. ISSN 0740-2775. JSTOR 40468657.
  14. ^ Marukawa, Tomoo (2013). "Japan's High-Technology Trade with China and Its Export Control".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3 (3): 489. doi:10.1017/S1598240800008316. ISSN 1598-2408. JSTOR 26335260. S2CID 155500236.
  15. ^ Izumikawa, Yasuhiro (2010). "Explaining Japanese Antimilitarism: Normative and Realist Constraints on Japan's Security Policy". International Security. 35 (2): 147. doi:10.1162/ISEC_a_00020. ISSN 0162-2889. JSTOR 40981245. S2CID 57567503.
  16. ^ Kato, Junko (1998). "When the Party Breaks Up: Exit and Voice among Japanese Legislator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2 (4): 864. doi:10.2307/2586308. ISSN 0003-0554. JSTOR 2586308.
  17. ^ "Tanaka reshuffles Japanese cabinet". Daytona Beach Morning. Tokyo. AP. 17 July 1974. Retrieved 6 January 2013.
  18. ^ 마이클 실버, 페이스 리프트,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2001년 11월 26일, 2011년 10월 7일 액세스.
  19. ^ Broom, Jack (20 September 2004), "Japanese eatery will serve up a centennial party of its own", The Seattle Times
  20. ^ McKenzie, Madeline (24 April 2019), "Enjoy a celebration of Japanese culture and other spring events in Seattle and Bellevue", The Seattle Times

이 문서에는 OpenHistory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무처
선행
포스트 확립
국민협동조합당 사무총장
1947
에 의해 성공자
오카다 세이이치
선행 자민당 간사장
1956-1957
에 의해 성공자
가와시마 쇼지로
선행
츠카다 토이치로
자민당 정책연구회 회장
1957-195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자민당 정책연구회 회장
1963-1964
에 의해 성공자
스토 히데오
선행
시게사부로마에오
자민당 간사장
1964-1965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자민당 총재
1974-1976
에 의해 성공자
관공서
선행 총무대신
1947–194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교통대신
1954–1955
에 의해 성공자
선행 경제기획청장
195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국무대신, 과학기술청장
195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이케다 마사노스케
국무대신, 과학기술청장
1961–1962
에 의해 성공자
선행 통상산업대신
1965–1966
에 의해 성공자
칸노 와타로
선행 외무대신
1966–1968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일본의 부총리
1972–1974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1974–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