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즈 투 어스토니쉬
Tales to Astonish테일즈 투 어스토니쉬 | |
---|---|
![]() | |
출판물 정보 | |
출판인 | 마블 코믹스 |
스케쥴 | 매월의 |
포맷 | 진행중 |
발행일자 | (제1권) 1959년 1월 ~ 1968년 3월 (The Incredible Hulk vol.2가 되다) (제2권) 1979년 12월 ~ 1981년 1월 |
No. 문제의 | (vol.1): 101 (vol.2): 14 |
메인 캐릭터 | 앤트맨 / 자이언트맨 & 와스프 헐크 서브마린 |
크리에이티브 팀 | |
작성자 | (제1권) 어니 하트 알 하틀리 레온 라자루스 스탠 리 래리 리버 (제2권) 로이 토마스 |
펜실러 | (제1권) 딕 에어스 칼 부르고스 진 콜란 스티브 딧코 빌 에버렛 돈헥 잭 커비 래리 리버 밥 파월 폴 라인먼 (제2권) 존 부세마 |
잉크 | (제1권) 조지 루스 (제2권) 프랭크 지아코아 |
Tales to Astonish는 마블 코믹스가 출판한 두 개의 미국 만화책 시리즈와 원샷 만화책의 이름이다.
1959년 1월부터 1968년 3월까지 그 이름을 딴 초판이 출판되었다.그것은 잭 커비와 스티브 딧코와 같은 예술가들을 위한 쇼케이스 역할을 했던 공상 과학 소설 선집으로서 시작되었고, 그 후 팬들과 역사가들이 만화책의 실버 에이지라고 부르는 시기의 슈퍼히어로들을 등장시켰다.그것은 102호(1968년 4월)로 인크레더블 헐크가 되었다.자매 제목은 '테일즈 오브 서스펜스'였다.
해저 지배자 서브 마리너의 이야기를 전재한 두 번째 마블 만화는 1979년 12월부터 1981년 1월까지 14호 발행되었다.1994년에는 슈퍼히어로 원샷이 이어졌다.
연도 | 순환 |
---|---|
1960 | 163,156 |
1961 | 184,895 |
1962 | 139,167 |
1963 | 189,390 |
1964 | 207,365 |
1965 | 224,346 |
1966 | 256,145 |
1967 | 269,132 |
발행 이력
공상과학소설집
테일즈 투 어스토니쉬와 자매 출판물 테일즈 오브 서스펜스는 모두 1959년 1월 커버 [2]날짜로 출시되었습니다.Tales to Astonish의 첫 번째 권은 마블의 [3]1950년대 선구자인 아틀라스 코믹스 하에서 1호부터 34호까지(1959년 1월 - 1962년 8월)로 진행되었습니다; 그것은 초기 "MC"[4] 상자를 덮은 첫 번째 호인 21호부터 마블 배너에 속했습니다.이 책에는 주로 편집장 스탠 리와 그의 형 래리 리버가 잭 커비, 스티브 딧코, 딕 에어스, 돈 헥, 폴 라인먼을 포함한 예술가들과 함께 쓴 공상과학 미스터리/의문의 이야기가 들어있다.그런 이야기 중 하나인 "개미 언덕의 사나이"는 27호 (1962년 1월)에서 헨리 [5]핌이라는 캐릭터를 소개했는데, 헨리 핌은 후에 8개의 슈퍼히어로로 개작될 것이다.1964년 '테일즈 투 애스토니쉬'가 슈퍼히어로 "분할된 책"이 될 때까지 앤솔러지 스토리는 계속 백업으로 등장했고, 그 때 이 책은 자이언트맨과 [3][6]헐크의 각각 한 가지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개미인간과 거인맨
과학자인 헨리 핌은 27호(1962년 1월)에 이어 사이버네틱 헬멧과 빨간 의상을 입고 사이즈 변경 기술을 이용해 35호(1962년 [7]9월)에 곤충 크기의 영웅 앤트맨으로 데뷔했다.이 시리즈는 리에 의해 기획되었고 리에버가 각본을 썼으며, 처음에는 커비가 연필을 그렸고 나중에는 헥과 다른 사람들이 연필을 그렸습니다.와스프는 제44호(1963년 [8]6월호)에서 앤트맨의 공동 출연자로 소개되었다.1963년 [9]11월 49호에서 소개된 앤트맨과 핌의 후속 반복작인 자이언트맨은 10페이지에서 13페이지, 그리고 이후 18페이지에 걸친 모험에 출연했으며, 나머지 이야기들은 보통 이 만화가 연재하는 앤트맨의 공상 과학 소설과 판타지 이야기에 전념하고 있다.Lee와 Lieber 외에도, 가끔 작가로는 H. E. Huntley, Leon Lazarus (#64, 1965년 2월), Al Hartley (#69, 1965년 7월) 가명으로 어니 하트 (#69) 가 있었다.이 공연의 후반부에는 딧코, 에이어스, 그리고 만화의 황금기라고 불리는 그 시대의 팬들과 역사가들의 두 베테랑 칼 부르고스와 [3]밥 파월이 포함되었다.
백업 기능인 "테일즈 오브 더 와스프" (#51-56)는 슈퍼히어로라인을 앤솔로지 공상과학 소설의 프레임 장치로 사용하여 입원 중인 군인들과 이야기를 연결시켰다.The Wasp는 또한 두 개의 후속 솔로 백업 스토리에 출연했다.모두 Lieber에 의해 대본과 연필로 쓰여졌다.
헐크와 서브마린
1962-63년 6호 상영 후 원작 시리즈인 '인크레더블 헐크'가 취소된 헐크는 전호에서 자이언트맨의 대항마로 게스트로 출연한 후 '테일즈 투 어스토니쉬'가 60호 (64년 [10]10월)에서 분할본이 되었을 때 그 자신의 특집으로 돌아왔다.헐크는 판타스틱 포의 3편과 어메이징 스파이더 맨의 1편을 통해 인기 게스트 스타임을 입증했다.그의 새로운 이야기는 처음에 리에 의해 대본이 작성되었고 드물게 볼 수 있는 연필깎이 스티브 딧코와 잉커 조지 루소스의 [3]팀에 의해 그려졌다.이 헐크 런의 초기 부분은 헐크의 숙적이 될 [11]리더를 소개했고, 이 런으로 헐크의 신원이 처음에는 군대에서만 알려졌고 나중에는 공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애스토니쉬 넘버 90에 처음 등장한 가증스러운 존재는 KGB 요원이자 [12]스파이로서 소개된다.스탠 리는 캐릭터의 배경과 외모를 알기 전에 다른 캐릭터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은 "증오한 것"이라는 이름을 선택했다.리는 단순히 예술가 길 케인에게 "헐크보다 더 크고 강하게 만들어 달라"고 말했을 뿐이고 우리는 그와 [13]함께 많은 재미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Namor the Sub-Mariner는 No. 70([14]1965년 8월)을 시작으로 10년 만에 첫 피처링을 받았다.골든 에이지 캐릭터인 '바이라'가 제90호(1967년 [15]4월)에 재도입됐다.테일즈 투 애스토니쉬의 마지막 호 (솔로 잡지 The Incredible Hulk 102호 1968년 [16]4월호) 이후, 서브 마리너는 자신의 72호 시리즈로 [3]가기 전에 분할 책인 아이언 맨과 서브 마리너 1호에 공동 주연을 맡았다.
부활
서브 매리너 주연의 표지 로고를 사용한 테일즈 투 애스토니쉬의 두 번째 권은 14호(1979년 12월–1981년 1월)를 발행하여 서브 매리너 #1-14(1968년 5월–1969년 6월)의 편집판을 전재했다.지난 호를 제외한 모든 호는 원래 20페이지에 달하는 기사의 18페이지 버전을 실었으며, 패널과 텍스트는 줄거리를 압축하기 위해 수정되었다.이 마지막 호에는 마블 미스터리 코믹스 9호(1940년 7월)에서 전재된 캐릭터 제작자 빌 에버렛의 서브 매리너 핀셋 세 개, 환상 4호(1964년 12월)에서 전재된 연필 작가 잭 커비와 인커 솔 브로드스키의 핀셋, 그리고 알란 바이스의 새로운 핀셋도 포함되어 있다.초판 화상의 180도 [17]뒤집힌 오리지널 아트 전용 커버.
Tales to Astonish vol.3 No.1(1994년 12월)은 작가 피터 데이비드가 그린 "로키의 꿈"에서 헐크, 서브 마리너, 앤트맨, 와스프가 출연한 72쪽짜리 [18][19]원샷 스페셜로 존 에스테스가 그림을 그렸다.
컬렉션 에디션
- 마블 마스터웍스:애스토니쉬에 대한 애스토니쉬
- Vol.1은 Tales to Astonish #1-10, 272페이지, 2006년 1월, ISBN978-0-7851-1889-3
- 제2권, Tales to Astonish #11-20, 272페이지, 2008년 3월, ISBN 978-0-7851-2913-4
- 제3권, Tales to Astonish #21-30, 272페이지, 2010년 3월, ISBN 978-0-7851-4196-9
- Vol.4는 Tales to Astonish #31–34와 #35-51 및 No.54의 자료를 수집, 2010년 3월, ISBN 978-0-7851-5881-3
- 마블 마스터웍스: 앤트맨/자이언트맨
- Vol.1은 Tales to Astonish #27의 헨리 핌과 Ant-Man/Giant-Man 특집 (#35-52), 288페이지, 2006년 3월 ISBN 978-0785120490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Vol.2는 Tales to Astonish #53-69, 304페이지, ISBN 978-0785129110에서 자이언트맨 기능을 수집합니다.
- Tales to Astonish No. 27의 Ant-Man Henry Pym과 Ant-Man/Giant-Man 특집 35-69호, 576쪽, 2002년 2월, ISBN 978-0785108221
- 슈퍼히어로 우먼: 마블 코믹스의 패러블 우먼 피처링에는 테일즈에서 애스토니쉬 No. 44까지의 앤트맨과 와스프 스토리가 포함되어 있다, 1977년 11월, 사이먼 & 슈스터, ISBN 978-0671229283
- 마블 마스터웍스:인크레더블 헐크
- Vol.2는 Tales to Astonish #59 및 Hulk 기능(#60-79), 266 페이지, 2004년 12월 ISBN 978-0785116547의 자이언트맨 기능을 수집합니다.
- Vol.3은 Tales to Astonish #80–101, 288페이지, 2006년 1월 ISBN 978-0785120322에서 헐크 기능을 수집합니다.
- 에센셜 인크레더블 헐크
- Vol.1은 Tales to Astonish #60–91, 528페이지, 1999년 2월 ISBN 978-0785164173에 헐크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Vol.2는 Tales to Astonish #92–101, 520페이지, 2001년 9월 ISBN 978-0785164180에 헐크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The Incredible Hulk는 Tales에서 Astonish #60~74와 No.88, 253 페이지, Simon & Schuster, ISBN 978-0671242244에 이르는 헐크 스토리를 포함합니다.
- 나쁜 놈들을 불러와라: 마블 코믹스 악당들의 기원에는 테일즈에서 애스토니쉬까지 헐크 이야기 90–91호, 253쪽, 1976년 10월, 사이먼 & 슈스터, ISBN 978-067122357이 포함되어 있다.
- 마블 마스터웍스:서브마린호
- Vol.1은 Tales to Astonish #70–87, 224페이지, ISBN 978-0785108757의 서브마리너 기능을 수집합니다.
- Vol.2는 Tales to Astonish #88–101, 240페이지, ISBN 978-0785126881에서 서브마린 기능을 수집합니다.
- Essential Sub-Mariner Vol. 1은 Tales to Astonish #70–101, 504 페이지, ISBN 9780785130758에 Sub-Mariner 기능을 포함합니다.
- 마블의 가장 위대한 슈퍼히어로 배틀은 테일즈에서 애스토니쉬 No. 82까지의 서브마리너 이야기, 253 페이지, 1978년 11월, 사이먼 & 슈스터, ISBN 978-0671243913을 포함합니다.
기타 미디어
2015년 영화 '앤트맨'에서 행크 핌/앤트맨의 활동 장면을 보여준 후, 대런 크로스는 이 아이디어가 "놀랄 만한 이야기"처럼 들린다고 농담을 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The Comics Chronicles에 정리된 출판사의 연간 "소유권, 관리 및 발행부수"의 월평균 데이터.발행부수 데이터는 1960년 보고서에 처음 포함되었다.타이틀은 1968년 초에 인크레더블 헐크가 되었다.
- ^ Brevoort, Tom; Gilbert, Laura, ed. (2008). "1950s". Marvel Chronicle A Year by Year History. London, United Kingdom: Dorling Kindersley. p. 72. ISBN 978-0756641238.
January [1959] saw the birth of two titles that would each have a place of importance in the coming age - Tales of Suspense and Tales to Astonish.
{{cite book}}
:first2=
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 ^ a b c d e 그랜드 코믹스 데이터베이스에서 애스토니쉬 이야기
- ^ 그랜드 코믹스 데이터베이스에서 커버, 테일즈 투 애스토니쉬 #21
- ^ DeFalco, Tom "1960s" (2008년)의 길버트, 페이지 84: "Dr.의 첫 등장.마블의 괴물/의문의 제목에 나오는 헨리 핌은 운명의 남자에게 불길한 시작이었다...어벤져스의 창시자.
- ^ Daniels, Les (1991). Marvel: Five Fabulous Decades of the World's Greatest Comics. New York City: Harry N. Abrams. p. 120. ISBN 9780810938212.
Marvel was bursting at the seams with superheroes. To accommodate all the characters clamoring for action, [Stan] Lee was obliged to put two stars into several of the comic books, each one taking half the pages for his own separate story. The Hulk returned to join Giant-Man in Tales to Astonish No. 60 (October 1964).
- ^ 길버트(2008년)의 DeFalco "1960s" 페이지 88: [Stan Lee]는 이전의 개념을 부활시키고...'테일즈'부터 '애스토니쉬 넘버 27'(1962년 1월)까지 저돌적인 과학자 행크 핌이 돌아왔다.
- ^ 길버트의 드팔코 "1960년대" (2008년) 93페이지: "재닛 반 다인은 애스토니쉬 44번 이야기에서 와스프로 데뷔했습니다.스탠 리의 이야기 아이디어와 H.E. 헌틀리의 대본을 바탕으로, 와스프는 잭 커비가 디자인하고 그렸다."
- ^ 길버트(2008)의 DeFalco "1960년대" 페이지 95: "Stan Lee는 앤트맨의 힘을 엄청나게 증가시켜 그가 거대한 크기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했다."
- ^ 길버트(2008)의 DeFalco "1960s" 페이지 102: "Tales to Astonish #60...'인크레더블 헐크'라는 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 ^ 길버트(2008년)의 드팔코 "1960년대" 페이지 103: "헐크는 힘의 창조물이었기 때문에, 그가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적을 갖는 것은 당연해 보였다.Stan Lee와 Steve Ditko가 Tales to Astonish No. 62를 위해 만든 리더는 한때 단순한 노동자였던 Samuel Sterns였습니다."
- ^ DeFalco, Tom (2006). The Marvel Encyclopedia. London, United Kingdom: Dorling Kindersley. p. 8. ISBN 978-0-7566-2358-6.
- ^ Lammers, Tim (June 11, 2008). "Stan Lee Pumped Over Return Of Incredible Hulk". KCRA-T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3, 2008. Retrieved June 24, 2008.
- ^ 길버트(2008)의 드팔코 "1960년대" (109) 페이지 109: "토일즈 투 어스토니쉬 넘버 70의 주연으로 나모르 왕자가 자이언트맨을 대체했다.Sub-Mariner 시리즈는 스탠 리가 쓰고 진 콜란이 그렸는데, 그는 당시 아담 오스틴이라는 필명을 쓰고 있었습니다.
- ^ 길버트의 드팔코 "1960년대" (2008년) 페이지 121: "원래 만화의 황금기에 소개된 나모르의 오랜 적인 바이라 왕자는 마침내 테일즈 투 어스토니쉬 #90에서 만화로 돌아왔다."
- ^ 길버트(2008)의 드팔코 "1960년대"는 128페이지: "1968년을 마블 코믹스의 제2시대로 칭송하며, 더 많은 제목을 가지고, 편집자 스탠 리는 그의 분할된 책을 버리고 더 많은 등장인물들에게 그들만의 제목을 부여했다...101번 애스토니쉬에 대한 이야기와 102번 헐크가 뒤따랐다.
- ^ 그랜드 코믹스 데이터베이스 'Tales to Astonish vol.2'
- ^ 길버트(2012년)의 코실, 앨런 "1990년대" 페이지 270: "팬이 좋아하는 작가 피터 데이비드는 화가 존 에스테스와 팀을 이루어 이상한 이야기와 서스펜스 이야기를 포함한 레트로 타이틀의 프레스티지 형식의 스페셜 시리즈를 시작했다."
- ^ 그랜드 코믹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테일즈 투 어스토니쉬 (원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