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귀뚜라미

Talking Cricket
말하는 귀뚜라미
피노키오의 모험
File-Grillo parlante.jpg
엔리코 마잔티가 그린 일 그릴로 팔란테
첫 등장피노키오의 모험
작성자카를로 콜로디
우주 내 정보
종.크리켓
성별남자
국적.이탈리아의

말하는 귀뚜라미(이탈리아어:Il Grillo Parlante)는 [1][2][3]카를로 콜로디의 1883년 이탈리아피노키오의 모험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역할.

"너는 꼭두각시이고 더 나쁜 것은 나무 머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제페토의 집에서 한 세기 이상 살아온 말하는 귀뚜라미는 피노키오의 장난으로 제페토가 감옥에 갇힌 후, 제4장에 처음 등장하며, 피노키오가 세상에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학교에 다니거나 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피노키오가 말을 듣지 않자, 크리켓은 "너는 꼭두각시이고 더 나쁜 것은 나무 머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이에 피노키오는 크리켓에게 망치를 던져 그를 죽인다.

13장에서 말하는 귀뚜라미는 피노키오에게 유령으로 나타나 여우와 고양이와의 약속을 지키는 대신 집으로 돌아가라고 말한다.피노키오는 거절했고 14장에서 그는 결국 부상을 당한다.

말하는 귀뚜라미는 16장에 다시 등장하는데, 여기서 그와 그의 동료인 까마귀와 부엉이는 피노키오의 부상을 치료한다.

말하는 귀뚜라미는 제페토가 건강을 회복하는 동안 피노키오와 병든 제페토가 머물도록 허락하는 청록색 머리의 요정이 준 집에 살고 있는 XXXVI장에서 그의 마지막 모습을 드러낸다.

미디어 묘사

월트 디즈니의 피노키오나오는 지미니 크리켓 (1940년)
줄리아노 첸치의 애니메이션 영화 피노키오의 모험(1972)에서 묘사된 말하는 귀뚜라미
  • 줄리아노 첸치의 1972년 애니메이션 영화 피노키오의 모험에서 말하는 귀뚜라미(라우로 가졸로 성우)는 의인화되었지만 원작 소설에서처럼 귀뚜라미에게 망치를 던진 후 살해된다.성격의 유일한 차이점은 그가 의사로서 요정의 집에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스티브 배런의 1996년 실사 영화 피노키오의 모험에서 말하는 크리켓은 CGI 캐릭터인 페페(David Doyle 목소리, 1997년 사망하기 1년 전 마지막 영화 공연에서)로 또한 지미 크리켓과 비슷하게 묘사되었다.그는 피노키오에게 볼페와 펠리넷뿐만 아니라 주요 적대자인 로렌지니에 대항하는 것을 조언하는 낙천적인 성격이며 피노키오의 모험에 동행하기도 한다.그의 목소리는 월리스 이 맡았어야 했지만, 예고편 중 하나에서 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마지막 순간에 다시 캐스팅될 것 같다.그는 1999년 영화 속편 피노키오의 새로운 모험에 다시 등장했는데, 이번에는 워릭 데이비스가 목소리를 냈다.
  • 해피 에버 애프터: 모든 아이들을 위한 동화 피노키오에서 말하는 귀뚜라미는 사실 우디라는 이름의 흰개미이지만 지미니 귀뚜라미와 매우 흡사하게 묘사된다.
  • 로베르토 베니니의 2002년 실사 영화 피노키오에서도 말하는 귀뚜라미가 출연했고 존 클라이즈가 영어 성대모사를 하는 페페 바라가 연기했습니다.크리켓은 지미니 크리켓과 비슷하고 피노키오의 동반자이다.
  • 말하는 크리켓은 라파엘 스바지가 연기하는 원스 어폰타임등장한다.그의 인간 분신은 지역 정신과 상담사이자 비상근 법률 고문인 '아치 호퍼 박사'로 크리켓 분장보다 훨씬 소심하다.
  • 말하는 귀뚜라미는 2008년 이탈리아-영국 미니시리즈 피노키오에 등장하는데, 루시아나 리티제토가 여성으로 묘사했다.
  • 말하는 귀뚜라미는 2012년 피노키오 영화에 출연했는데, 카를로 발리가 목소리를 냈고, 아서 그로서가 영어 더빙 목소리를 냈다.
  • 마테오 가로네가 공동 각본, 감독, 공동 제작한 이탈리아 실사 영화 피노키오(2019)에서 말하는 귀뚜라미는 난쟁이 배우 다비데 마로타가 연기하고 영어 더빙 목소리는 루카파브로가 제공한다.
  • 기예르모 델 토로가 제작, 각본, 감독을 맡은 2022년 넷플릭스 영화 피노키오에서 말하는 크리켓의 이름은 이완 맥그리거가 목소리를 맡은 세바스찬 J. 크리켓이다.

레퍼런스

  1. ^ Joy Lo Dico (2 May 2009). "Classics corner: Pinocchio by Carlo Collodi Culture". The Guardian. Retrieved 2015-07-01.
  2. ^ Wunderlich, Richard; Morrissey, Thomas J. (2014-04-04). Pinocchio Goes Postmodern: Perils of a Puppet in the United States - Richard Wunderlich, Thomas J. Morrissey. ISBN 9781135023171. Retrieved 2015-07-01.
  3. ^ "Pinocchio's Real Roots Mapped". News.discovery.com. 2011-07-08. Retrieved 2015-07-01.
  4. ^ Zipes, Jack (2013-08-21). Happily Ever After: Fairy Tales, Children, and the Culture Industry - Jack Zipes. ISBN 9781135252960. Retrieved 2015-07-01.
  5. ^ Rich, Nathaniel (2011-10-24). "Carlo Collodi's Pinocchio: Why is the original Pinocchio subjected to such sadistic treatment?". Slate.com. Retrieved 2015-07-01.

참고 문헌

  • 콜로디, 르아브벤처 디 피노키오 1883년, 비블리오테카 유니버셜 리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