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라 피터슨
Tara Peterson타라 피터슨 | ||||||||||||||||||||||||||||||||
---|---|---|---|---|---|---|---|---|---|---|---|---|---|---|---|---|---|---|---|---|---|---|---|---|---|---|---|---|---|---|---|---|
태어난 | ) 1991년 5월 28일 | |||||||||||||||||||||||||||||||
팀 | ||||||||||||||||||||||||||||||||
컬링 클럽 | 세인트 폴 CC, 세인트 폴, MN | |||||||||||||||||||||||||||||||
건너뛰다 | 타비타 피터슨 | |||||||||||||||||||||||||||||||
세 번째 | 니나 로스 | |||||||||||||||||||||||||||||||
둘째 | 베카 해밀턴 | |||||||||||||||||||||||||||||||
이끌다 | 타라 피터슨 | |||||||||||||||||||||||||||||||
번갈아 | 아일린 게빙 | |||||||||||||||||||||||||||||||
남녀 혼합 복식 동업자 | 크로이 네른베르거 | |||||||||||||||||||||||||||||||
경력 | ||||||||||||||||||||||||||||||||
회원 협회 | ![]() | |||||||||||||||||||||||||||||||
월드 챔피언십 용모 | 3 (2014, 2015, 2021) | |||||||||||||||||||||||||||||||
올림픽 용모 | 1 (2022) | |||||||||||||||||||||||||||||||
메달 기록
|
타라 S. 피터슨(Tara S. Peterson, 1991년 5월 28일 출생)은 미네소타 주 쇼어뷰 출신의 미국인 컬링 선수다.[1]그녀는 현재 언니 타비타의 주연으로 활동하고 있다.[2]
컬링 커리어
주니어 컬링 선수로서, 피터슨은 2009년, 2010년, 2011년 세계 주니어 컬링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으며 미국 주니어 컬링 선수권대회에서 3승을 거두었다.2009년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에서 피터슨은 알렉산드라 칼슨 팀에서 2위로 뛰며 5위로 마쳤다.다음 시즌에는 피터슨이 칼슨 링크에 남아 2010년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에서 미국에게 동메달을 안겨주었다.이듬해 피터슨은 위스콘신 소재 레베카 해밀턴 팀에 3위로 합류했다.2011년 세계 주니어 컬링 선수권대회에서, 그 팀은 5위로 경기를 마쳤다.2012년, 그들은 미국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페터슨은 후배에 이어 시즌 2(2위)까지 해밀턴과 함께 뛰며 2013년 니나 로스 링크에 두 번째 합류했다.피터슨은 2014년 포드 월드 여자 컬링 챔피언십에서 앨리슨 포틴저(6위)가 건너뛰고 미국팀 대체 선수로 출전했다.2014년, 그녀는 아일린 소르무넨 링크에 가입했다.소르무넨과 함께, 피터슨은 2014년 세인트 폴 캐시 스필에서 열린 첫 월드 컬링 투어 대회에서 우승했다.그녀는 또한 2014년 콜로니얼 스퀘어 레이디스 클래식의 4강까지 진출하며, 그 시즌에 첫 그랜드 슬램 대회에 출전했다.2015년 세계여자컬링선수권대회 미국 대표팀에 출전할 수 있을 만큼 WCT훈장 포인트를 충분히 획득했다.
2020년 미국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 피터슨은 그녀의 여동생 타비타 다음으로 두 번째 전국 우승을 차지했다.라운드 로빈 팀 피터슨의 유일한 패배는 제이미 싱클레어에게 있었지만, 그들은 1 대 2 페이지 플레이오프 게임에서 그리고 결승에서 다시 팀 싱클레어를 이겼다.[3]미국 챔피언팀 피터슨이 2020년 세계여자컬링선수권대회에서 미국을 대표했을 텐데 COVID-19 대유행으로 대회가 취소되면서 그 기회를 잃었다.[4]그들은 또한 유행병으로 인해 취소되었던 시즌 마지막 그랜드 슬램인 챔피언스 컵에서도 자리를 얻었다.[5]대신 그들의 자격은 2021년 챔피언스컵으로 넘어간다.[6]
2020년 비시즌 동안 그 팀은 로스가 출산 휴가에서 돌아왔을 때 타비타 피터슨이 스킵으로 남을 것이라고 발표했다.로스는 해밀턴이 2위로, 타라 피터슨이 2위로, 게빙이 교체로 팀을 3위로 재조명했다.[7]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피터슨 팀은 2021년 봄 알버타 캘거리에서 3개 종목 연속 개최되는 바이오 시큐어 버블에 진입하기 전까지 2020-21 시즌의 대부분을 종목에 출전하지 않았다.처음 두 종목은 챔피언스컵과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그랜드 슬램으로, 두 종목 모두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피터슨팀의 캘거리 버블 세 번째 대회는 2021년 세계여자선수권대회로, 2021년 전국선수권대회가 대유행으로 봄 후반으로 옮겨진 뒤 2020년 내셔널챔피언십에서 한 자리를 얻었다.13경기 라운드 로빈을 7-6으로 5위로 마쳐 플레이오프 진출과 2022년 미국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플레이오프에서 피터슨 팀은 덴마크의 마들린 듀퐁을 물리쳤지만 스위스의 실바나 티린조니에게 패해 동메달 결정전에 그쳤다.그곳에서 피터슨은 스웨덴의 안나 하셀보르와 맞붙어 7회말 5점을 넣는 등 9-5로 승리했다.[8][9]피터슨 팀의 동메달 결정전은 15년 만의 미국 세계 여자 메달이자 사상 첫 동메달이었다.
사생활
피터슨의 여동생은 동료 컬러인 타비타 피터슨이다.[10]그녀는 치과의사로 고용되어 결혼했다.[11]
팀
계절 | 건너뛰다 | 세 번째 | 둘째 | 이끌다 | 번갈아 | 코치 | 이벤트 |
---|---|---|---|---|---|---|---|
2005–06 | 앨릭스 칼슨 | 타비타 피터슨 | 타라 피터슨 | 소피 브루슨 | 2006년 USJCC(SF) | ||
2006–07 | 앨릭스 칼슨 | 타비타 피터슨 | 타라 피터슨 | 소피 브루슨 | 2007년 USWCC(4위) | ||
2007–08 | 앨릭스 칼슨 | 타비타 피터슨 | 타라 피터슨 | 소피 브루슨 | 2008년 USJCC | ||
2008–09 | 앨릭스 칼슨 | 타비타 피터슨 | 타라 피터슨 | 소피 브루슨 | 몰리 보너 | 하워드 레스톨 | 2009년 USJCC 2009년 WJCC(5위) |
2009–10 | 앨릭스 칼슨 | 타비타 피터슨 | 타라 피터슨 | 소피 브루슨 | 미란다 솔렘 | 하워드 레스톨 | 2010년 USJCC 2010년 WJCC ![]() |
2010–11 | 베카 해밀턴 | 타라 피터슨 | 칼리 코에니그 | 소피 브루슨 | 레베카 펑크 (WJCC) | 닐 도스 (WJCC) | 2011년 USJCC 2011년 WJCC(5위) |
2011–12 | 베카 해밀턴 | 타라 피터슨 | 칼리 코에니그 | 소피 브루슨 | 2012년 USJCC![]() 2012년 USWCC(7위) | ||
2012–13 | 베카 해밀턴 | 몰리 보너 | 타라 피터슨 | 소피 브루슨 | 2013년 USWCC(8위) | ||
2013–14 | 앨리슨 포틴저 | 니콜 조란슈타트 | 나탈리 니콜슨 | 타비타 피터슨 | 타라 피터슨 | 데릭 브라운 | 2014년 USWCC![]() 2014년 WWCC(6일) |
2014–15 | 아일린 소르무넨 | 타라 피터슨 | 비키 퍼싱어 | 모니카 워커 | 베카 해밀턴 (WWCC) | 스콧 베어드 | 2015년 USWCC![]() 2015년 WWCC(10위) |
2015–16 | 제이미 싱클레어 | 타비타 피터슨 | 베카 해밀턴 | 제나 하그 | 타라 피터슨 | 2016년 USWCC(4위) | |
2018–19 | 니나 로스 | 타비타 피터슨 | 베카 해밀턴 | 타라 피터슨 | 2019년 USWCC![]() CWC/GF(6일) | ||
2019–20 | 타비타 피터슨 | 베카 해밀턴 | 타라 피터슨 | 아일린 게빙 | 나탈리 니콜슨 | 2020년 USWCC ![]() | |
2020–21 | 타비타 피터슨 | 니나 로스 | 베카 해밀턴 | 타라 피터슨 | 아일린 게빙 | 레인 피터스 | 2021년 WWCC ![]() |
2021–22 | 타비타 피터슨 | 니나 로스 | 베카 해밀턴 | 타라 피터슨 | 아일린 게빙 |
참조
- ^ "2020 World Women's Curling Championship Media Guide" (PDF). Curling Canada. Retrieved 2020-03-09.
- ^ https://www.usacurling.org/2022-team-trials-standings
- ^ Schneider, Angela (2020-02-15). "Tabitha Peterson takes aggressive approach to dethrone Jamie Sinclair in women's title match of USA Curling Championships". The Spokesman-Review. Retrieved 2020-02-19.
{{cite news}}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World women's curling championship cancelled". TSN. Mar 12, 2020. Retrieved Apr 27, 2020.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Peterson Locks Down Playoff Spot". USA Curling. 2020-02-12. Retrieved 2020-02-13.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2020 Humpty's Champions Cup teams to keep spots for next season". Grand Slam of Curling. Mar 18, 2020. Retrieved Apr 27, 2020.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Team Peterson Announced". USA Curling. Apr 27, 2020. Retrieved Apr 28, 2020.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a b Blount, Rachel (May 9, 2021). "Minnesotans help U.S. women's curling team earn Olympics berth". Star Tribune. Retrieved May 10, 2021.
- ^ "United States beat Sweden to win women's world curling bronze". Sportsnet. May 9, 2021. Retrieved May 10, 2021.
- ^ "Spatola team wins gold at USA Curling Nationals presented by Labatt". USA Curling. Mar 8, 2014. Retrieved Apr 29, 2020.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2021 World Women's Curling Championship Media Guide" (PDF). Curling Canada. Retrieved April 3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