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두
Tardu타두 카간 | |
---|---|
제1차 투르크 카가나테의 야브구 | |
군림하다 | 575–599 |
제1차 투르크 카가나테의 카한 | |
군림하다 | 599–603 |
전임자 | 툴란 카한 |
후계자 | 야미 카한 (동부) 니리 카한 (서부에서) |
죽은 | 603 |
이슈 | 뮐뤼그 시비르 |
집 | 아시나 |
아버지 | 이스타미 |
타두 또는 타두시 야브구는 서투르크 카가나테의 제2야구(575–603)와 제1투르크 카가나테의 제9야구(599–603)이다. 이스테미의 아들이었다.
이름
The regnal name in Turkic was Tarduš (Old Turkic: 𐱃𐰺𐰑𐰆𐱁),[1] Medieval Greek: Ταρδου, 達頭可汗/达头可汗, Pinyin: dátóu kěhàn, Wade-Giles: ta-t'ou k'o-han, personal name: 阿史那玷厥, āshǐnà diànjué, a-shih-na tien-chüeh). 레프 구밀레프에 따르면 그의 개인 이름은 카라-처린-터크(Cara-Churtin-Turk)이다.[2][3] 그러나 툴란 카한 사후 동양의 반을 예속할 때는 섭정명 빌게(와이즈) 카간(Wise)을 상정했다.
배경
투르크 카가나테는 만주와 만리장성에서 흑해에 이르는 거대한 카가나테(엠파이어)였다.[4] 특정 자본에서 카가나이트 전체를 통치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래서 동부는 카간(황제)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는 반면, 서부는 카간을 대신하여 야브구(바살)의 지배를 받았다. 서쪽의 수도는 오르두켄트(수야브) (현재의 키르기스스탄)이다. 카간의 형제였던 이스테미는 첫째, 타두(이제스테미의 아들)는 둘째 야브구였다.
수년 간의 내전
타두는 575년에 야브구가 되었다. 그해 그는 비잔틴 대사 발렌티니우스를 만났다. 매우 야심이 많은 야구가 된 그는 카가나테 전체에서 권력을 잡을 계획이었다. 그는 581년 카간 태스파르가 죽었을 때 그의 기회를 보았다. 태즈파르는 아들 안루오 대신 탈로피엔(무칸 카간의 아들)을 선호한다고 밝힌 바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카간을 임명할 권한을 부여받은 괴크튀르크 쿠루타이(부족 지도자 협의회)는 전 카간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전 카간의 아들을 임명했고, 그는 다시 이스바라 카한을 새 카간으로 인정했다.[3] 이로써 타두에게는 간섭할 필요가 있는 명분이 생겼다. 그는 탈로피엔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이스바라는 수나라에 보호를 신청했고, 양방은 중국에 의해 서로 놀아났다.
만년
카가나테의 동부가 내전으로 고통받는 동안 타두는 자신의 계획을 실현시킬 적당한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591년 사사니드 페르시아에서 블라라돈 전투가 있은 후, 단기간 사사니드 황제였던 바흐람 초빈은 서투르크로 망명을 신청하였다.[5]
599년 타두는 자신이 연합 카가나테(동서)[6]의 카간이라고 선언했지만 그의 새로운 지위는 널리 인정되지 않았다. 아마도 쿠루타이를 설득하기 위해 그는 대중국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동부의 터키인들과는 달리, 그의 캠페인의 목표는 너무 멀었고 그의 군대는 스텝을 통과하는 긴 원정 동안 독이 든 우물들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결국 심각한 전투 없이 후퇴해야 했지만 이번 패배는 그에게 참담했다. 신하들의 반란을 일으킨 후 603년 또는 604년에 (죽었을 것 같다) 사라졌다.
그는 탈로피엔의 아들인 니리 카한에 의해 서쪽에서 계승되었다.
가족
툴루(都六)와 뮐뤼그 시비르의 아버지였다. 세구이와 통야구는 툴루를 통해 그의 손자들이었다.
참조
- ^ 쿨테긴 기념 단지, TURIK BITIG
- ^ 중앙아시아의 Bobodzhan Gafurovich Gafurovike Gafurov: Pre-modern Times, 1권, Shipra Publishments, 2005, ISBN978-81-7541-244-6, 페이지 328.
- ^ a b 레프 니콜라이르비우스 구밀레프: 에스키 튀르클러(트랜스) D.Ahsen Batur) Selenge yyjınları, İstanbul, 2002 ISBN 975-7856-39-8 페이지 140, 550
- ^ 장 폴 루스: 튀를러린 타리히(히스토리 데 투르크스), tr:프로펠러 아이쿠트 카잔치길, 랄레 아르슬란 외즈칸, 카발치 야요네비, 2007년, p 101.
- ^ 호르모즈드 4세에 관한 페이지
- ^ 멜렉 테킨: Türk tarihi, p. 87, Miliyet yynnları,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