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로코 피에몬테세
Tarocco Piemontese타로코 피에몬테스(Piermontese, 피에몬트의 타로)는 이탈리아 태생의 타로 데크의 일종이다.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한 타로 연주 중 가장 흔한 타로 연주로 타로코 볼로네세나 타로코 시칠리아노보다 훨씬 흔하다. 가장 인기 있는 피에몬테스 타로 게임은 파르토, 미티가티, 치아마레일레, 파르티타 등으로 피네롤로와 토리노에서 한다.[1][2] 이 데크는 피에몬트 문화의 일부로 여겨지며 토리노에서 열린 2006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에 등장했다. 이것이 사르디니아 왕국의 표준 타로 팩이었기 때문에, 프랑스의 합병 이전에 사보이, 니스에서도 사용되었던 적이 있다. 또한 시칠리아의 칼라타피미세게스타에 있는 타로코 시칠리아노의 대안으로 사용되었다.[2] 이탈리아 이외에는 스위스 티치노에서 소수 선수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아르헨티나가 사용하였다.[3][4]
이 데크는 프랑스제 하트와 다이아몬드, 스페이드, 클럽을 사용하는 무타롯 피에몬테시 데크와 관련이 없다. 이와 같이, 그들의 카드는 교환할 수 없다.
구성
이 데크 패턴은 마르세유의 타로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게임 플레이를 위해 되돌릴 수 있게 만들어졌다.[5][6] 0부터 21까지 번호가 매겨진 22장의 트럼프 정장과 14장의 칼(스페이드), 바톤(바스토니), 컵(코페), 동전(데나리) 등 78장으로 구성됐다. 각 슈트에는 킹(레), 퀸(도나), 나이트(카발로)와 잭(라벨 미표시)이 있고, 2~10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핍 카드와 에이스 역할을 하는 정교한 슈트 기호가 있는 번호 없는 카드가 있다. 트럼프와 대부분의 핍 카드는 현대 아라비아 숫자(트럼프, 컵, 동전의 경우) 또는 로마 숫자(검과 배턴의 경우)로 지수를 가지고 있다. 이례적으로 대부분의 게임에서 20위 이상 우위에 있는 선수가 21위(볼로냐 게임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슈트 | ![]() | ![]() | ![]() | ![]() |
영어 | 검 | 컵 | 동전. | 클럽 |
---|---|---|---|---|
이탈리아의 | 스페이드 | 코페 | 데나리 | 바스토니 |
스페인어 | 에스파다스 | 코파스 | 오로스 | 바스토스 |
에이스 | 두 개 | 셋 | 4개 | 다섯 | 여섯 | 일곱 | 여덟 | 아홉 | 열 | 잭 | 기사 | 퀸 | 왕 | |
---|---|---|---|---|---|---|---|---|---|---|---|---|---|---|
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배턴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트럼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팩과 함께 하는 대부분의 게임에서 트럼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천사 "랜젤로" (20)
- 세계 일 몽도(21),
- 태양 "바닥" (19),
- 달 "라 루나" (18),
- 스타 "le stelle" (17),
- 탑 "라 토레" (16),
- 악마 "일 디아볼로" (15),
- 절제 "라 템페렌자" (14),
- 죽음의 "라 모르트" (13),
- 교수형 남자 "라페소" (12)
- 강도 "la forza" (11),
- 운명의 수레바퀴 "로타 디 포르투나" (10)
- 은둔자 "레레레미타" (9)
- 정의 "라 기우스티아" (8)
- 전차 "일카로" (7)
- 연인들 "글리 아만티" (6)
- 교황 "일파파" (5)
- 황제 "임페라토레" (4)
- 황후 "임페라트리체" (3)
- 교황의 "라 파페사"(2),
- 그리고 파가트 "일 바가토"(1)도 있다.
바보 "일 마토" (0)는 구실로 행해진다. 그것은 아무것도 이길 수 없지만, 항상 속임수로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소유자가 따라야 할 의무를 덜어준다. 18세기와 19세기에 기록된 두 게임에서만 가장 낮은 트럼프로 취급되는 바보가 있다.[2]
프랑스와 시칠리아 이외의 대부분의 타로 게임에서와 마찬가지로 검과 바톤을 쓴 카드의 순서는 왕, 여왕, 기사, 잭, X, IX, ...이다. 나는, 컵과 동전의 카드 순위에 있는 동안, 왕, 여왕, 기사, 잭, 1, 2, … 10이다.
역사
타로 데크는 1505년까지 피네롤로에서 생산되었다. 16세기 피에몬테스 타로의 가장 좋은 묘사는 프란체스코 피시나가 1565년 몬도브에서 그것에 대한 담론을 쓴 것이다. 비록 경기에 대한 그의 세부 사항은 희박하지만, 그의 용어는 볼로네스와 플로렌스의 영향력을 강하게 암시한다. 타로치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는 황실과 교황의 트럼프를 동등하게 취급하는데, 이는 아스티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특징이다. 볼로냐에서와 같이, 가장 높은 트럼프는 세계를 능가하는 엔젤이다. 피에디카발로를 제외하고, 피에몬테스 선수들은 현대적인 번호 매기기에도 불구하고 엔젤을 세계보다 높은 순위에 계속 서 있다.[8] 게다가 일부 선수들은 볼로냐에서와 같은 62개의 카드 덱을 만들기 위해 하위권 피프카드를 제거하기도 하고, 다른 선수들은 세고에서와 같은 54개의 카드 덱을 만들기 위해 더 나아가기도 한다. 피시나가 그의 트럼프를 어떻게 평가했는지는 롬바르디에서 나온 두 개의 다른 16세기 목록과 매우 비슷하다. 세 가지 리스트 모두 1650년경 파리의 자크 비에빌이 생산한 유일한 생존 데크의 랭킹과 비슷하며 볼로네세, 플로렌타인, 페라레세 타로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1700년경까지 이탈리아 북서부의 선수들이 비에빌과 비슷한 덱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이 시기 이전에는 어떤 카드도 살아남지 못하므로 이 이론은 입증될 수 없다.[2][3]
붕괴 후, 선수들은 프랑스에서 마르세유의 타로를 수입하는 것에 의존했다. 1735년경에 생산이 재개되었을 때, 그 카드는 프랑스의 자막을 포함한 마르세유 문양과 거의 동일했다.[9] 카드를 국산화하려는 노력은 19세기 초에 시작되었고, 결국 그 세기가 끝날 무렵에는 오늘날의 이중적인 카드를 만들어냈다.[10][11] 사보이, 니스 등이 프랑스에 합병된 후, 타로 누보족이 전국에 퍼지기 시작한 1900년까지 그곳의 선수들은 이 데크를 계속 사용하였다. 20세기 초, 새로운 타로 팩의 근거지로 피에몬트식 파리 패턴을 이용하여 챔베리에 경쟁 데크를 만들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2] 이 무리의 복제품은 1984년부터 만들어졌다.[12][13]
참조
- ^ 데이비드 패렛, 옥스퍼드 카드 게임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1996) ISBN0-19-869173-4
- ^ a b c d e Dummett, Michael; McLeod, John (2004). A History of Games Played with the Tarot Pack. Lewiston: The Edwin Mellen Press. pp. 15-16, 111–124, 149–194, 392–398.
- ^ a b Dummett, Michael; McLeod, John (2009). A History of Games Played with the Tarot Pack (Supplement ed.). Oxford: Maproom Publications. pp. S4–S6. ISBN 978-0-9562370-0-2.
- ^ 빈틀, 아담. '카드의 세계'의 타로키스 '오벨리스코' 2018년 2월 18일 회수
- ^ Mann, Sylvia (1990). All Cards on the Table. Leinfelden: Deutsches Spielkarten-Museum. pp. 33–34.
- ^ 국제 플레이 카드 협회의 타로코 피에몬테세. 2016년 2월 19일 회수.
- ^ "[Jeu de tarot piemontais] : [jeu de cartes, estampe]". Gallica.
- ^ 맥리드, 존 피에디카발로의 타로치 pagat.com. 2018년 2월 18일 회수
- ^ 국제 플레이 카드 협회의 초창기 피에몬테즈 타로. 2018년 2월 18일 회수
- ^ 국제 플레이 카드 협회의 중간 피에몬테즈 타로 2018년 2월 18일 회수
- ^ 버티와 지오다노와 빈틀과 시몬과 베르가노 타로 1826년-1851년 월드 오브 플레이 카드스. 2018년 2월 18일 회수
- ^ Depaulis, Thierry (1984). Tarot, jeu et magie. Paris: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pp. 125–126.
- ^ 세계 웹 플레이 카드 박물관의 "타로 프랑카이스 데 플뢰르". 2018년 1월 20일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