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프링
Teespring![]() | |
사이트 유형 | 전자상거래 |
---|---|
설립됨 | 2011년 8월; 미국 로드 아일랜드 프로비던스 | 전
본부 |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주 |
설립자 |
|
URL | https://spri.ng |
티스프링(Spring, Inc.)은 맞춤 제품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소셜커머스 플랫폼인 스프링(Spring)을 운영하는 미국 기업이다.[1]이 회사는 2011년 워커 윌리엄스와 에반 스타이트-클레이튼이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에 설립한 회사다.[2]2014년까지 이 회사는 Khosla Ventures와 Andreessen Horowitz로부터 5,500만 달러의 벤처 자본을 조달했다.[3]2018년 봄은 유튜브와 손잡고 머치 쉘프 통합을 시작, 크리에이터가 영상 콘텐츠 바로 아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후 수년 동안 트위치, 인스타그램, 틱톡 등을 위해 비슷한 통합으로 사업 모델을 확대했다.지난 몇 년 동안, 테스프링 사는 폭력과 인종차별주의 메시지를 조장하는 의복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여 안전 운영에 상당한 개혁을 해야 했다.[4]2019년 크리스 라몬테뉴는 스프링의 CEO가 되었다.2021년 테스프링(Teespring)이 스프링으로 리브랜딩되었다.
비즈니스 모델
개인들은 테스프링에서 맞춤형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캠페인을 벌인다.캠페인 크리에이터들이 직접 제품을 디자인하고 마케팅할 것으로 기대된다.티스프링은 최소 판매 목표(일명 '티핑(tiped)' 캠페인)에 도달한 캠페인에 대한 주문을 이행하고 구매자에게 물품을 배송한다.[5]제품들은 다양한 스크린 인쇄 시설에서 인쇄되거나 제조된다.[2]티스프링은 제품의 유통과 고객 서비스를 처리한다.티스프링은 티셔츠, 후드티, 스웨트셔츠, 레깅스, 아동복 등 다양한 의류를 제공한다.
역사
브라운대 학생인 워커 윌리엄스와 에반 스타이트-클레이튼은 2010년 처음 잡즐이라는 인턴십과 학생들을 연결하는 회사를 만들려고 시도했다.[6]인기 있는 학생 중심의 프로비던스 다이브 바 피쉬사가 2011년 폐업하는 것처럼 보이자, 그들은 "FREE FICHCO"[7]라고 쓰인 티셔츠를 디자인했다.티셔츠 한 묶음을 인쇄하는데 돈을 지불할 수 없어서, 그들은 셔츠를 미리 주문할 수 있는 한 페이지짜리 웹사이트를 만들었다.[8]그들은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200개의 주문이 필요했지만, 400개가 넘는 티셔츠를 팔아서 그들 스스로 2,000달러를 벌었다.[6]
워커와 이반은 다른 기관으로부터 맞춤 캠페인을 요청하는 수많은 요청을 받은 후, 크라우드 펀딩 맞춤 의복의 개념을 풀타임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로드아일랜드의 엔젤 투자자 빌 체사레와 마크 위너는 첫 번째 60만 달러를 시드 펀딩에 투자했다.이 회사는 2012년 10월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에서 공식 출범했다.[2]
성장
2012년 10월, 그 회사는 매달 50만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고 발표했다.[2]2013년 3월 동사는 월 매출 75만 달러, 월별 5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9]
2013년 12월, Teespring은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Y-컴비네이터에 인수되었다.3개월간의 가속기를 끝낸 지 2주 만에 테스프링 회장은 당시 Y-컴비네이터 사장으로 있던 샘 알트먼으로부터 50만 달러를 포함해 130만 달러를 추가로 모금했다.[1]테스프링 감독은 2014년 1월 벤처캐피털 안드레센 호로위츠로부터 2천만 달러의 시리즈 A라운드를 마쳤다.안드레센의 파트너인 라어스 달가드는 이전에 성공 팩터스의 일원이었던 그가 처음으로 이 회사에서의 투자를 이끌었다.[citation needed]2014년 11월 파트너인 키스 라부아(Keith Rabois)가 이 회사의[3] 이사회에 합류했고, 회사는 호슬라벤처스로부터 3500만 달러(약 3500억 원)를 받고 안드레센(Andreessen)을 포함한 시리즈 B 펀딩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발표했다.[10]
켄터키에 새로운 제조 시설은 수백 개의[10]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2015년경에는 미국의 300명 정도의 직원들로 확장되었다.[11]이 회사는 프로비던스에 120명의 직원을 고용한 후 2015년 6월까지 52명으로 감축했다.2016년까지 로드아일랜드 전 직원이 해고되었고 회사는 그곳에서 사무실을 폐쇄할 계획을 발표했다.[12]
비판
티스프링은 폭력을 조장하고 인종차별적 메시지를 포함하는 의복을 만들어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이 회사는 공격적인 콘텐츠의 디자인을 감시한다고 주장하지만, 논란이 많은 디자인으로 계속해서 주목을 받고 있다.[4]
2017
2017년 5월 티스프링에서는 '흑인은 쓰레기다'라는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판매해 논란을 일으켰고, 이에 따라 많은 트위터 사용자들이 플랫폼 불매운동을 요구하는 사태가 벌어졌다.[13][14][15]Teespring의 셀러 성공 담당 이사인 Brett Miller는 "오류를 알게 되자 즉시 문제의 모든 콘텐츠를 제거하고 불쾌감을 주는 셀러를 플랫폼에서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답했다.그 이후로 우리는 그 문제를 해결했다."[16]
2017년 8월 티스프링 측은 증오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스와스티카를 '반박'한다고 주장하는 제품을 판매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17][18]KA Design은 나치가 사용한 경쟁 상징물 브랜드를 다시 만들기 위해 Teespring에 무지개 스와스티카 디자인을 나열했다.[19]유대인 단체들은 논란이 되고 있는 제품들에 대한 뉴스에 이어 테스프링에 대한 보이콧을 요구했다.[20]2017년 10월 이 사이트에서 선보인 또 다른 티셔츠에는 '잠자는 강간을 반복하라'[4]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월마트는 2017년 11월 '로프'라는 문구가 적힌 셔츠를 벗었다.나무. 기자.일부 집회는 기자 옹호 단체인 라디오 텔레비전 디지털 뉴스 협회의 항의에 따라 웹사이트에서"가 필요했다.이 셔츠는 테스프링(제3자 판매업체로)을 통해 월마트 홈페이지에 등재됐다.타임지는 당시 미국 언론자유추적기에 따르면 2017년 현재까지 35건의 언론인 폭행 사건이 있었다고 보도했다.[21][22]USA투데이의 분석 결과, 이 사이트는 "히틀러는 아무 잘못도 하지 않았다"라고 쓰여진 티셔츠와 "내 숙녀들을 위한 술"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빌 코스비의 이미지를 가진 티셔츠를 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4]
2018
2018년 4월 신나치 집단살인자 다롄 루프를 기념하는 판매용품을 제공했다는 논란이 일었다.[23]
2018년 6월 데일리닷에 실린 알렉스 달비의 기사는 티스프링의 소셜미디어에서 'TERFs'(트랜스-제외적 급진적 여성주의자의 줄임말)라는 표현이 들어간 티셔츠를 잡아당겨 비난을 상세히 했다.가장 눈에 띄는 디자인은 "Fuck TERFs"[24]라고 쓰여 있었다.Teespring은 티셔츠가 "우리의 허용 가능한 사용 정책의 혐오 발언 부분을 위반한다"[24]고 말했다.
2018년, 여성 행진 대변인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이들 중 많은 가짜 페이지들이 상품을 팔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수익금은 우리의 움직임 대신에 개인들에게 혜택을 준다"고 말했다.이동 작업을 이용하려는 노력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특히 우리가 윤리적으로 조달하고 생산한 상품만을 판매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기꾼 페이지들이 지키지 않는 규칙이다."[25]
2020
테스프링은 2020년 2월 캐롤라인 플랙의 사망 이후 정신건강 자선단체인 사마리아인을 위해 돈을 마련하기 위해 레이 프랜시스가 만든 'Be Kind' 티셔츠의 위조판을 판매해 비난을 받았다.티스프링 씨는 이 위조 티셔츠의 판매를 허용해 자선단체가 자금을 받지 못하게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26][27]
2020년 8월 테스프링(Teespring)은 '안티파(antifa)'라는 단어가 허용 가능한 사용 정책을 위반했다고 보고했다.
2021
2021년 1월 6일, 미국 국회의사당은 폭도들의 침략을 받았다.바이러스성 사진에서 한 폭도들이 캠프 아우슈비츠 티셔츠를 입고 있다.2021년 1월 11일 테스프링 씨는 자신들의 플랫폼에서 캠프 아우슈비츠 셔츠를 판매한 것에 대해 삭제하고 사과했다.[28]
리브랜딩
2021년 2월 1일, Teespring은 새로운 브랜드 이름인 Spring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29]
참조
- ^ a b 부자, 나타니엘.실리콘 밸리의 스타트업 머신 뉴욕 타임즈.2013년 5월 2일.
- ^ a b c d 페레즈, 사라.티스프링은 티셔츠 테크크런치부터 크라우드 펀딩을 할 수 있는 곳이 되고 싶다.2012년 10월 11일.
- ^ a b 콘래드, 알렉스티스프링은 티셔츠를 파는 새로운 백만장자들을 채굴하고 있고, 그들 자신의 포브스 중 3,500만 달러를 모금하고 있다고 말한다.2014년 11월 18일.
- ^ a b c d Weise, Elizabeth (December 1, 2017). "'Rope. Tree. Journalist': Walmart yanks lynching T-shirt made by controversy-steeped Teespring". USA Today.
- ^ Dumas, John Lee. "271: Walker Williams and Evan Stites-Clayton Talk T-shirts Via Teespring". Entrepreneur On Fire. Retrieved March 12, 2014.
- ^ a b Bramson, Kate (November 24, 2014). "Founders of R.I. startup Teespring see broader lessons in their business success". Providence Journal.
- ^ Furst, Miriam (February 2, 2011). "Fish Co. goes belly up". Brown Daily Herald.
- ^ Wohlsen, Marcus (November 18, 2014). "These Guys Made a T-Shirt. Now Silicon Valley Is Giving Them Millions". Wired.
- ^ Perez, Sarah. "Andreessen Horowitz Invests $20M In Custom Apparel Platform Teespring". TechCrunch. Retrieved January 25, 2014.
- ^ a b Perez, Sarah (November 18, 2014). "Teespring Raises $35 Million Series B From Khosla Ventures As It Prepares To Expand Beyond Apparel". TechCrunch.
- ^ 페레즈, 사라."Custom Afreat Platform Teespring, 런던 기반 Fabrily를 인수하여 국제적으로 확장"테크크런치.2015년 1월 28일.
- ^ Perez, Sarah (January 29, 2016). "Custom Apparel Shop Teespring Lays Off Staff, Exits Providence". TechCrunch.
- ^ Lasker, Alex (May 10, 2017). "Store apologizes for selling 'Black Women Are Trash' shirts". AOL.
- ^ Abrams, Hannah (May 10, 2017). "Teespring's 'Black Women Are Trash' Shirt Sparks Outrage". Promo Marketing Magazine.
- ^ Solé, Elise (May 8, 2017). "Clothing Company Apologizes for 'Black Women Are Trash' T-Shirts". Yahoo! Style.
- ^ Weise, Elizabeth (May 9, 2017). "Clothing Company Apologizes for 'Black Women Are Trash' T-Shirts". USA Today.
- ^ Neuman, Scott (August 7, 2017). "Company's Line Of Rainbow-Themed Swastika T-Shirts Backfires". NPR.
- ^ "Teespring removes swastika T-shirt for sale online after outrage". New York Daily News. August 8, 2017.
- ^ Ruvo, Christopher (August 7, 2017). "Teespring, T-Shirt Creator Criticized For Swastika Shirt". Advertising Specialty Institute.
- ^ "Clothing company yanks rainbow swastika T-shirt". CBS News. August 8, 2017.
- ^ Perrigo, Billy (December 1, 2017). "'Rope. Tree. Journalist. Some Assembly Required': Walmart Removes Threatening Shirt From Store". U.S. * violence. Time. Time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7, 2018. Retrieved February 17, 2018.
- ^ "U.S. Press Freedom Tracker".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3, 2017. Retrieved February 17, 2018.
- ^ "Dylann Roof T-Shirts and sweatshirts are being sold online by a Silicon Valley-backed company". Newsweek. April 24, 2018. Retrieved April 24, 2018.
- ^ a b "Transgender designer says she was banned by Teespring for anti-transphobic designs". The Daily Dot. June 6, 2018. Retrieved November 4, 2019.
- ^ O'Sullivan, Donie (October 18, 2018). "Exclusive: Women's March target of elaborate Facebook scam run from Bangladesh". Cable News Network.
- ^ Novak, Kim (February 20, 2020). "Keith Lemon plans festival in honour of Caroline Flack and sells 'be kind' T-shirts for mental health charity". Metro. Retrieved July 23, 2020.
- ^ Novak, Kim (February 26, 2020). "Keith Lemon criticises websites selling fake Caroline Flack charity T-shirts". The Independent. Retrieved July 23, 2020.
- ^ Jackson, Jon (January 11, 2021). "Teespring Apologizes for Selling 'Camp Auschwitz' Shirts Like Those Seen on Capitol Rioters". Newsweek. Retrieved June 16, 2021.
- ^ Jordan, Luiza (January 6, 2021). "Spring is here". Spring. Retrieved February 1,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