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히야

Tehiya
테히야
תחיה
리더줄라 코언
유발 네만
설립됨1979
용해됨1992
분할 위치헤루트
로 병합됨리쿠드
이념초나라주의[1]
거주자 관심사
수정주의 시오니즘
정치적 입장우익에서[2] 극우로[3]
대부분의 MK5 (1984)
선거 기호
ת

Tehiya (Hebrew: תחיה, Revival), originally known as Banai (Hebrew: בנא"י‎, an acronym for Land of Israel Loyalists' Alliance (Hebrew: ברית נאמני ארץ ישראל‎)), then Tehiya-Bnai (Hebrew: תחייה-בנא"י‎), was an ultranationalist political party in Israel.그 정당은 1979년부터 1992년까지 존재했다.많은 사람들의 눈에 테히야는 굴라 코헨과 동일시되었는데, 그는 그 당을 창당하고 그 당의 존립기간 내내 그 당을 이끌었다.

배경

테히야-테조메트 동맹 로고, 1984

제9대 크네셋 임기 중 1979년 게울라 코헨모셰 샤미르이집트와 이스라엘 사이의 캠프 데이비드 조약, 특히 시나이 반도가 이집트에 항복하고 이스라엘 주민을 축출하는 데 대응하여 헤루트에서 이탈하면서 당이 결성되었다.[4]

테히야는 구시 에무님(Gush Emunim)의 초의회운동에 강하게 소속되어 있었으며,[4] 하난 포라트(National Trial Party and National Union을 위한 크네셋(Knesset) 회원, 엘리야킴 해츠니(Elyakim Haetzni) 등 서안가자지구이스라엘 정착촌의 저명 인사들을 포함시켰다.또 다른 창시자 겸 저명한 멤버는 물리학자 유발 니먼이었다.[5]

테히야는 1981년선거시험에서 3석을 차지했다.이전의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리쿠드, 국민종교당, 아구다트 이스라엘, 타미, 텔레엠과 함께 메나켐 비긴의 연립정부에 포함되었다.코언이 장관직을 맡지는 않았지만 니만은 과학기술부 장관이 됐다.[5]

1984년 선거에서 테히야는 비록 5석밖에 되지 않았지만 얼라인먼트와 리쿠드에 이어 크네셋에서 세 번째로 큰 정당이 되었다.그러나 그들은 얼라인먼트, 리쿠드, 국민종교당, 아구다트 이스라엘, 샤스, 모라샤, 의, 오메츠 등이 포함된 시몬 페레스이츠하크 샤미르국민통합정부에 참여하기를 거부했다.[6]크네셋 회기 동안 라파엘 아이탄은 테히야에서 망명하여 새로운 정당인 티조메트를 찾았다.[7]

1988년 입법 선거에서 3석으로 줄었고, 샤미르의 국민통합정부에서 다시 제외되었다.그러나 1990년 얼라인먼트가 연정을 떠날 때 테히야는 리쿠드, 국민종교당, 샤스, 아구다트 이스라엘, 자유당 데겔 하토라 등이 포함된 새로운 좁은 우파정부에 초대되었다.[8]코언은 다시 장관직을 사양했지만 니만은 에너지인프라부 장관, 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임명됐다.늦은 정부 입성에도 불구하고 1992년 1월 21일 이츠하크 샤미르의 마드리드 회의 참석에 항의하여 연립정부를 탈퇴하였고, 이로 인해 정부가 새로운 선거를 치르게 되었다.[9]

1992년 입법 선거에서는 선거 문턱을 넘지 못했고, 이후 코헨이 그해 리쿠드에 합류하는 등 자취를 감췄다.1988년 선거에서 2석에서 1992년 투표에서 8석으로 뛰어오른 아이탄의 티노메트로 유권자의 대부분이 갔을 것으로 보인다.그 두 정당은 같은 세속적인 우파 유권자들과 경쟁했었다.[8]

테히야는 당시 여러 가지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그 중 일부는 주류에 의해 채택되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980년 7월 30일 당에서 제안하여 제정예루살렘 법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국가의 수도로 정립한 것이다.[10]

구조

테히야의 구조는 기드온 알츠훌러 전 IDF 여단장이 사무총장으로, 슈무엘 고단 전 중령이 조직 수장으로 임명되면서 군사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11]그 당은 유대인 당원들만 허용했다.[5]

크네셋 회원

크네셋
(MKs)
크네셋 회원
9일
(2)
줄라 코헨, 모셰 샤미르
10일
(3)
굴라 코헨, 유발 니만, 하난 포라트(Zvi Shiloah가 교체)
11일
(5 −1)
줄라 코헨, 유발 니만, 게르손 샤파트, 엘리저 월드만
- 라파엘 아이탄 (트조메트에게)
12일
(3)
굴라 코헨, 유발 니만(엘리아킴 헤츠니), 엘리제르 발드만(게르손 샤파트)

선거 플랫폼

1988년 선거의 테히야 플랫폼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12]

  • 시나이·서안·가자에 대한 유대인 주권
  • 예루살렘 구시가지 사방에 거주하는 유대인 증가
  • 기술개발, 병역거부에 대한 중징계 등 IDF 강화
  • 경찰특공대 창설 등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 정착지원 및 증액
  • "보안상의 고통"으로 인해 저질러진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유대인에 대한 관대함
  • 이스라엘 국토 전체에 대한 유대인의 통제를 묵인하는 아랍 국가들과만 평화협정을 맺음
  • 요르단은 팔레스타인 국가로서, 요르단 강 서쪽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하려는 모든 시도는 방지될 것이다.
  • 팔레스타인의 고등법원 접근 취소
  • 팔레스타인에 의한 심각한 폭력 사건에 대한 사형제
  • 이스라엘 군인들이 돌 던지기 선수들에게 총을 쏠 수 있는 자격증
  • 팔레스타인에 대한 집단 처벌 포함
  • 팔레스타인 도시 통로를 통과하는 넓은 진입로

참조

  1. ^ Sharon Weinblum (2015). Security and Defensive Democracy in Israel: A Critical Approach to Political Discourse. Routledge. p. 10. ISBN 978-1-317-58450-6.
  2. ^ "Tehiya Threatens to Quit Coalition Unless Government Moves on Intifada". Jewish Telegraphic Agency. 9 August 1990.
  3. ^ Jonathan Mendilow (2003). Ideology, Party Change, and Electoral Campaigns in Israel, 1965-2001. SUNY Press. p. 142. ISBN 978-0-7914-5587-6.
  4. ^ a b Peretz, Don (1997).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Israel. WestviewPress. ISBN 9780813324098.
  5. ^ a b c Tessler, Mark A. (1994). A History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ndiana University Press. p. 646. ISBN 9780253208736. Hanan Porat tehiya.
  6. ^ Political Risk Yearbook: Middle East & North Africa. Frost & Sullivan. 2001. ISBN 9781852713416.
  7. ^ Lansford, Tom (31 March 2017).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6-2017. CQ Press. ISBN 9781506327174.
  8. ^ a b Peretz, Donald (19 February 2018).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Israel: Third Edition. Routledge. ISBN 9780429974120.
  9. ^ Jones, Clive; Murphy, Emma C. (25 July 2005). Israel: Challenges to Identity, Democracy and the State. Routledge. ISBN 9781134488841.
  10. ^ Lukacs, Yehuda; East, International Center for Peace in the Middle (1992).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 Documentary Record, 1967-19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75979.
  11. ^ Mahler, Gregory S. (1 February 2012). Israel After Begin. SUNY Press. ISBN 9781438411699.
  12. ^ Yehuda Lukacs (1991).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 documentary recor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86–289. ISBN 978-0-521-37597-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