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데 천문대
Teide Observatory![]() | |
조직 | 아스트로피시카 데 카나리아스 연구소 ![]() |
---|---|
전망대 코드 | 954 ![]() |
위치 | 대서양 테네리페 |
좌표 | 28°18′00″N 16°30′35″w / 28.3°N 16.5097°W좌표: 28°18′00″N 16°30′35″W / 28.3°N 16.5097°W/ |
고도 | 2,320m(7,840ft) |
확립된 | 1964 ![]() |
웹사이트 | www![]() |
망원경 | IAC80 로베르토리오 솔라 스텔라 망원경 테미스 태양 망원경 코스모소마스 ESA 광학 지상국 그라운드버드 KUIZOTE CMB 실험 텔레스코피오 카를로스 산체스 테네리페 실험 진공탑 망원경 초소형 배열 ![]() |
![]() | |
타이데 천문대(스페인어: Observatorio del Teide) IAU 코드 954는 스페인 테네리페에 위치한 2390m(7,840ft)의 타이데 산에 있는 천문대다. 1964년 설립된 이후 아스트로피시카 데 카나리아스 연구소가 운영하고 있다. 그것은 천문학적 시야 조건이 좋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망원경을 끌어들이며 최초의 주요 국제관측소 중 하나가 되었다. 후에 광학 망원경의 강조는 라 팔마에 있는 로크 데 로스 무카초스 천문대로 더 이동했다.
망원경
태양 망원경
- 태양 진공 타워 망원경(VTT): 직경 70cm. 키펜허어 태양물리학연구소(독일)가 운영한다. 1989년에 설치됨.
- 테미스 태양 망원경: 직경 90cm, 1996년에 건설되었으며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운용하고 있다.[2]
- 그레고르 태양 망원경: 1.5m, 독일 컨소시엄에 의해 운영된다. 2012년 5월부터 운영 중.[3]
- 영국 버밍엄 대학이 운영하는 버밍엄 솔라 진동 네트워크(BiSON)의 노드.
- 미국 NISP(NSO Integrated Synoptic Program, NISP)에서 운영하는 GUN 네트워크 사이트 6곳 중 1곳.
야행 망원경
- 카를로스 산체스 적외선 망원경(TCS): 1971년 영국이 설치한 직경 152cm
- 몬스 반사 망원경: 1972년에 지어진 몬스 대학교(벨기에)에서 운영하는 직경 50cm이다.[4]
- IAC-80 망원경: 1991년에 설치된 80cm IAC 망원경.
- OGS 망원경: 1998년에 건설된 인공위성 통신을 위한 유럽 우주국 광학 지상국 1m.
- START 망원경: 10 cm의 항성 천체물리학 & Exoplanets 연구. 대서양 횡단 Exoplanet Survey에서 사용.
- 브래드포드 로봇 망원경: 교육용 35cm 망원경.
- 스텔라 망원경(Stella I and STELA II) 로봇 망원경: 120cm STELA는 2006년 작전에 투입된 라이프니즈 천체물리학연구소(AIP)가 IAC의 협업을 받아 운영하는 STellar Activity의 약칭이다.
- SLOH: 2004년에 제작된 미국 로봇 망원경.
- SPECULOS 북방전망대(SNO): 2019년 6월 완성한 1m 망원경, 1개 망원경(Artemis)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천문학용 전파 망원경
- 33GHz 간섭계
- 코스모스모스 실험(10GHz, 15GHz)
- 초소형 어레이(VSA: 30GHz에서 14element Interferometer)
- KUIZOTE CMB 실험
- 그라운드버드
현장의 다른 건물
천문대에는 천문학자들을 위한 방문객 센터와 잔여물(호스텔)을 갖추고 있다. 브라이언 메이는 행성간 먼지를 연구하기 위해 그곳에 건물을 짓는 것을 도왔다.
발견된 소행성 목록
Minor Planet Center는 여러 개의 작은 행성의 발견을 직접 관측소로 인정한다.[5]
기후
전망대가 위치한 위치는 지중해성 기후(Köppen Csb)로, 평균 기온 특징이 영국 남부를 연상케 한다. 이것은 평균 약 23°C (73°F)의 따뜻한 여름에 렌더링되며 가벼운 서리가 가능하고 겨울에 가끔 발생한다. 극한은 해양 특성과 결합해 폭염에도 30°C(86°F)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며, 고도에도 불구하고 해양 특성은 심한 서리를 예방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인근 저지대 건조 기후의 전형적인 일조 수위는 일년 내내 높다. 적도로부터 더 먼 거리에 있는 많은 고산지대는 이 고도에서는 나무선 위에 있지만, 티데는 28도선 북쪽의 위치 때문에 어떤 북극 이하의 기온도 훨씬 상회하고 있다.
이자냐 천문대의 기후 데이터 숨기기(1981-2010) (고도: 2371m) | |||||||||||||
---|---|---|---|---|---|---|---|---|---|---|---|---|---|
월 | 얀 | 2월 | 3월 | 4월 | 5월 | 준 | 줄리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높은 °C(°F) 기록 | 18.3 (64.9) | 19.9 (67.8) | 22.0 (71.6) | 23.0 (73.4) | 26.0 (78.8) | 27.7 (81.9) | 30.4 (86.7) | 29.6 (85.3) | 27.2 (81.0) | 23.0 (73.4) | 20.8 (69.4) | 20.1 (68.2) | 30.4 (86.7) |
평균 높은 °C(°F) | 7.5 (45.5) | 8.0 (46.4) | 10.2 (50.4) | 11.8 (53.2) | 14.5 (58.1) | 18.9 (66.0) | 23.0 (73.4) | 22.6 (72.7) | 18.6 (65.5) | 14.3 (57.7) | 11.1 (52.0) | 8.8 (47.8) | 14.1 (57.4) |
일평균 °C(°F) | 4.3 (39.7) | 4.7 (40.5) | 6.4 (43.5) | 7.6 (45.7) | 10.1 (50.2) | 14.4 (57.9) | 18.5 (65.3) | 18.2 (64.8) | 14.5 (58.1) | 10.6 (51.1) | 7.8 (46.0) | 5.6 (42.1) | 10.2 (50.4) |
평균 낮은 °C(°F) | 1.1 (34.0) | 1.3 (34.3) | 2.7 (36.9) | 3.5 (38.3) | 5.8 (42.4) | 9.9 (49.8) | 14.0 (57.2) | 13.8 (56.8) | 10.4 (50.7) | 6.9 (44.4) | 4.5 (40.1) | 2.4 (36.3) | 6.4 (43.5) |
낮은 °C(°F) 기록 | −8.0 (17.6) | −9.8 (14.4) | −9.1 (15.6) | −8.2 (17.2) | −5.1 (22.8) | −1.4 (29.5) | −0.2 (31.6) | 1.2 (34.2) | 0.0 (32.0) | −3.0 (26.6) | −4.0 (24.8) | −6.8 (19.8) | −9.8 (14.4) |
평균 강수량 mm(인치) | 47 (1.9) | 67 (2.6) | 58 (2.3) | 18 (0.7) | 7 (0.3) | 1 (0.0) | 0 (0) | 5 (0.2) | 13 (0.5) | 37 (1.5) | 54 (2.1) | 60 (2.4) | 367 (14.5) |
평균 강수일(평균 1.0mm) | 5 | 4 | 4 | 3 | 1 | 0 | 0 | 1 | 2 | 4 | 4 | 6 | 34 |
평균 상대습도(%) | 50 | 54 | 48 | 45 | 40 | 32 | 25 | 30 | 43 | 55 | 54 | 52 | 44 |
월평균 일조시간 | 226 | 223 | 260 | 294 | 356 | 382 | 382 | 358 | 295 | 259 | 220 | 218 | 3,473 |
출처: 아젠시아 에스타탈 데 마탈로니아[6] |
아스트로 기후와 보기
유용한 관찰 시간은 78%로 부여되며, 카를로스 산체스 망원경 근처의 2개 지점에서 DIMM 측정에서 볼 수 있는 중간 FWHM은 0.76"와 0.70"으로 부여된다.[7]
참고 항목
참조
- ^ "First Light for Laser Guide Star Technology Collaboration".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Retrieved 16 February 2015.
- ^ TEEMIS 웹 사이트
- ^ Freiburg, KIS의 GREGR 웹사이트
- ^ David Airey. "Construction of a small spectrograph for stellar spectroscopy and its use on some brighter stars".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03: 11–18. Bibcode:1993JBAA..103...11A.
- ^ "Minor Planet Discoverers (by number)". Minor Planet Center. 4 September 2016. Retrieved 27 November 2016.
- ^ "Standard Climate Values. Izaña".
- ^ Vernin, J.; et al. (2002). "Site-testing Results at the Teide Observatory" (PDF). ASPC. 266: 454.
- ^ "ESO and Instituto de Astrofísica de Canarias Sign Agreement on Adaptive Optics Collaboration". ESO Announcement. Retrieved 10 May 2014.
- Rayrole, J. (1985). Muller, R. (ed.). "The European observatory at the Canary Islands". High Resolution in Solar Physics. Lecture Notes in Physics. 233: 32–50. doi:10.1007/BFb0022394.
외부 링크
- Observatorio del Teide 웹사이트
- worldflicks.org에서 티이드 천문대를 확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