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초염

Tenosynovitis
건초염
Tenosynovitis-3.JPG
전문물리치료 및 재활치료

건초염은 힘줄을 둘러싸고 있는 액체로 채워진 칼집(시노비움이라고 함)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관절통, 붓기, 경직으로 이어진다.건초염은 전염성일 수도 있고 비감염성일 수도 있다.비감염성 건초염의 일반적인 임상적 징후로는 데퀘르베인 건초증과 협착성 건초염(더 일반적으로 트리거핑거[1]알려져 있음)이 있다.

징후 및 증상

전염성 건초염은 모든 손 감염의 2.5퍼센트에서 9.4퍼센트 사이에서 발생한다.카나벨의 주요 징후는 전염성 건초염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손가락의 굴곡을 따라 만지는 압통, 감염된 손가락의 방추상 확대, 정지 상태에서 손가락이 약간 구부러져 있는 것, 그리고 수동적인 확장을 [2][3]수반하는 심한 통증 등이 그것이다.발열도 있을 수 있지만 [4]흔치 않다.

병인 발생

전염성 건초염은 손가락 굴곡 힘줄에 있는 폐쇄성 활막 피복이 감염되는 것이다.그것은 보통 외상에 의해 발생하지만, 박테리아는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퍼질 수 있다.건초염은 보통 손가락의 굴곡 힘줄에 영향을 미치지만,[5] 이 질병은 때때로 신장 힘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따라서 임상적 징후는 외상 후 급성 감염으로 나타납니다.감염은 단균성 또는 다균성일 수 있으며 외상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가장 흔한 병원성은 피부에서 [6]유입된 황색포도상구균이다.전염성 건초염과 관련된 다른 박테리아로는 Pastureella multocida (동물에게 물린 상처와 관련이 있음), Eikenella spp가 있습니다.(IV 약물 사용과 관련), 및 마이코박테륨 마리눔(민물 또는 [7]소금물에 노출된 상처와 관련됨).또한 Neisseria gonorhoae(감염성 관절염 참조)로 인해 성 활동이 활발한 환자는 혈액 확산의 위험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비감염성 건초염은 협착성 건초염, 교차 증후군, EPL(Extensor pollicis longus) 건초염,[8] 퀘르베인 및 제4구획 건초염이다.

진단.

건초염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병력과 신체 검사를 통해 임상적으로 이루어집니다.또한 감염성 유기체를 식별하기 위해 흡인액을 배양할 수 있다.엑스레이는 일반적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골절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1]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감염성 건초염의 주요 치료법은 증상 완화, 항생제 치료, 수술 등이다.항생제의 조기 시작과 함께 질병의 조기 인식은 영향을 받은 손가락의 더 나은 움직임 범위를 위해 중요하다.카테터 세척과 같은 굴곡 힘줄 피복에 대한 최소 침습적 시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더 나은 결과(좋은 결과 확률 74%)를 제공한다(좋은 결과 확률 26%).그러나 항생제로 상처를 세척하는 것은 뚜렷한 이점이 [2]없다.대부분의 감염성 건초염은 주변 괴사 조직의 괴사 제거와 함께 광범위한 [5]항생제를 통한 치료와 함께 힘줄 피복 세척 및 배수로 관리해야 한다.심각한 경우, 감염의 추가적인 확산을 막기 위해 절단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외과적 개입 후 항생제 치료를 계속하고 체액 [5]배양 결과에 따라 조절한다.

예후

증상이 조기에 확인될수록 손가락의 모든 범위의 움직임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그러나 손가락 경직, 부토니에르 변형, 심우주 감염, 힘줄 괴사, 유착, 지속적인 감염, 손가락 절단 필요성 등이 발생할 수 있다.힘줄 유착과 손가락 경직은 굴곡 힘줄 피복의 [2]위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 b Sexton, MD, Daniel. "Infectious Tenosynovitis". Uptodate.
  2. ^ a b c Avira M, Giladi; Sunitha, Malay; Kevin, C Chung (23 March 2016). "Management of acute pyogenic flexor tenosynovitis: Literature review and current trends". Journal of Hand Surgery (European Volume). 40 (7): 720–728. doi:10.1177/1753193415570248. PMC 4804717. PMID 25670687.
  3. ^ Pang, HN; Teoh, LC; Yam, AK; Lee, JY; Puhaindran, ME; Tan, AB (August 2007).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 of pyogenic flexor tenosynovitis".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89 (8): 1742–8. doi:10.2106/JBJS.F.01356. PMID 17671013.
  4. ^ Nikkhah, D; Rodrigues, J; Osman, K; Dejager, L (2012). "Pyogenic flexor tenosynovitis: one year's experience at a UK hand unit and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Hand Surgery. 17 (2): 199–203. doi:10.1142/S0218810412500190. PMID 22745083.
  5. ^ a b c Small, LN; Ross, JJ (December 2005). "Suppurative tenosynovitis and septic bursitis".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19 (4): 991–1005, xi. doi:10.1016/j.idc.2005.08.002. PMID 16297744.
  6. ^ Moses MD, Scott. "Suppurative Tenosynovitis". www.fpnotebook.com.
  7. ^ Tsai, E; Failla, JM (May 1999). "Hand infections in the trauma patient". Hand Clinics. 15 (2): 373–86. doi:10.1016/S0749-0712(21)00470-4. PMID 10361644.
  8. ^ Travis, D Blood; Nathan T, Morrell; Arnold Peter, C Weiss (29 March 2016). "Tenosynovitis of the Hand and Wrist".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4 (3): e71–e78. doi:10.2106/JBJS.RVW.O.00061. PMID 27500430. S2CID 2994214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