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르제 게벨트
Terje Gewelt테르제 게벨트 | |
---|---|
![]() 테르제 게벨트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오슬로 | ) 1960년 6월 8일 )
기원 | 노르웨이 |
장르 | 재즈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계기 | 직립 베이스, 베이스 기타, 기타 |
관련 행위 | 아흐마드 만수르 4중주단 다그 아르네센 트리오 크누트 바렌스 밴드 페테르 웨트레 4중주단 |
웹사이트 | www |
테르제 게벨트(Terje Gewelt, 1960년 6월 8일생)는 노르웨이의 재즈 뮤지션(upright bass)이다.[1]
경력
게벨트는 오슬로에서 태어나 노르웨이 남동부 해안의 작은 마을인 라르빅에서 자랐다.그는 10살에 기타를 연주하기 시작했고 14살에 전기 베이스로 바꾸었고 17살에 어쿠스틱 베이스를 추가했다.[2]
1979년부터 1981년까지 그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노르웨이의 베이스 연주자 아릴드 안데르센과 함께 개인적으로 공부했으며, 무엇보다도 위대한 노르웨이의 키보드 연주자 아틀 바켄과 함께 현지 재즈와 퓨전 그룹에서 연주했다.1981년 테르제는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배스 기술 연구소에서 배스를 공부하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제프 베를린과 함께 전기 베이스, 밥 매그너슨과 어쿠스틱 베이스 등을 공부했으며 기타리스트 레스 와이즈와 함께 LA 주변의 재즈 클럽에서 연주했다.[2]
1982년, 그는 오슬로로 돌아가 노르웨이 최고의 재즈 뮤지션들과 함께 1년을 보냈다.1983년 그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는 버클리 음대에 등록하면서 미국으로 돌아왔다.버클리에 있는 동안 그는 색소폰 연주자 토미 스미스, 도니 맥카슬린, 피아니스트 크리스티안 제이콥, 다닐로 페레스, 라즐로 가르도니 등 전 세계의 젊고 재능 있는 음악가들을 많이 만나 연주했다.그는 또한 포워드 모션과 같은 국제적으로 구성된 그룹들과 함께 연주할 뿐만 아니라, 뉴욕시에서 전설적인 베이스 연주자 자코 파스토리우스와 함께 개인 레슨을 받았다.[1]
테르제는 색소폰 연주자 토미 스미스(Tommy Smith)와 함께 어쿠스틱 재즈 4중주 Forward Motion(포워드 모션)을 공동 창단하고 음반 '프로그레시온즈(Progressions)'를 발매했다.그는 또한 CBS Sony에서 처음 두 개의 레코드를 재생하면서 미국 재즈/세계 음악 그룹 Full Circle의 멤버였다.
1988년 테르제는 산타나 드러머 마이클 쉬리브와 함께 캘리포니아로 초청되어 RCA 노부스에서 스틸레토를 녹음했고, 트럼펫에서는 마크 이스햄, 기타에서는 앤디 서머스, 데이비드 토른 등이 출연했다.
미국에서 7년을 보낸 후, 테르제는 1989년에 노르웨이로 다시 돌아왔고, 곧 창조적인 노르웨이의 재즈 무대에서 최초의 콜 베이스 연주자가 되었다.
1995년에 그는 빌리 코브햄의 그룹에 가입하라는 전화를 받았다.테르제는 두 곡의 코브햄 CD, 노르딕(1998년)과 오프 컬러(1999년)에서 어쿠스틱 베이스를 연주했다.
1997년 러시아 피아니스트 미샤 알페린과 함께 연주하기 시작해 ECM에 대한 노스스토리와 퍼스트 인상(존 서먼을 즐겁게 하는 것)이라는 두 장의 CD를 녹음했다.
1998년에 그는 레코드 레이블인 레만트 뮤직(Lenmant Music)을 시작했다.Terje는 리더로서 8장의 CD를 발매했는데, 모두 Lenmant Music에 수록되어 있다.[3]사이드맨으로 빌리 코브햄, 마이클 쉬리브, 미샤 알페린, 다그 아네센, 로이 파월, 스태판 윌리엄-올슨, 아흐마드 만수르의 녹음 등 100여 개의 재즈 음반에서 베이스를 연주했다.[1]
테르제는 일부 녹음에서 여러 개의 베이스를 오버더빙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2]
선택된 음반 목록
리더로서
- 1999: Hide and Seek (Resonant Music), Billy Cobham 피처링
- 2002: 듀얼리티(리소넌트 음악)
- 2003: 인터플레이 (리소넌트 뮤직), 크리스천 제이콥과 듀오
- 2004: 스몰 월드 (리소넌트 뮤직)
- 2005: 호프 (리소넌트 뮤직), 크리스천 제이콥과 듀오
- 2007: If Time Stand Still (Resonant Music), Kenneth Ekornes, Björn Klakeg와 함께 3인조.
- 2009: 오슬로 (Resonant Music), 엔리코 피에아눈지, 앤더스 켈버그와 함께한 3인조
- 2010: Azure (Resonant Music)
- 2011: 엄선된 작품(리소넌트 음악)
- 2012: Spindsrift(리소넌트 음악)
- 2013: 스테핑스톤 (리소넌트 뮤직)
공동작업
- 미샤 알페린과 함께
- 마이클 셰리브와 함께
- 1989: Stiletto (RCA Novus)
- 토미 스미스와 함께
- 1990: 피핑 톰 (EMI)
- 크누트 반스와 함께
- Dag Arnesen 트리오와 함께
- 1994: Movin' (타우루스 레코드), 스베인 크리스천 포함
- 2004: Paul Thowsen을 포함한 시간 충분(타우러스 레코드)
- 2007: 노르웨이 노래 (리소넌트 음악)
- 2008: 노르웨이 노래 2 (리소넌트 음악)
- 아흐마드 만수르 트리오와 함께
- 1995: 텀블위드 (고른 프로덕션)
- 페테르 웨트레 4중주단과 함께
- 1996: 돼지 바이러스 (커링 레그)
- 빌리 코브햄과 함께
- 1998: 노르딕(Eagle Records)
- 1999: Off 컬러(이글 레코드)
- 로이 파월 트리오와 함께
- 2003: 솔라스 (Nagel Heyer Records, Jarle Vespestad 포함)
- 2013: Ivar Kolve, Björn Klakeg, Tom Olstad를 포함한 이것과 저것에 대한 노래 (Meantime Records)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테르제 게벨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a b c Terje Gewelt (in Norwegian). Store Norske Leksikon. 2009-02-14. Retrieved 2014-12-25.
- ^ a b c "Gewelt, Terje". Biography (in Norwegian). MIC.no. 2013-11-01. Retrieved 2014-12-25.
- ^ "Terje Gewelt". Biography (in Norwegian). Allkunne.no. 2013-11-06. Retrieved 201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