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르나 그룹

Terna Group
테나 S.P.A.
유형소시에타 페르 아지오니
비트: TRN
산업유틸리티
설립됨1999
본부이탈리아 로마
주요인
  • 발렌티나 보세티(의장)
  • 스테파노 안토니오 돈나룸마(최고경영자총지배인)
서비스변속기 시스템 조작자
수익251만 4천 유로(약 1억 5천만 원)
1,260만 유로(약 1억 원)
€ 7억 8천 6백만 (1억 5천만)
총자산20,540만 유로(약 1억 원)
총자본4,36980만 유로(약 1억 원)
직원수
4,735 [1] (2020)
자회사Terna Rete Italia S.p.A. (100%), Rete S.r.l. (100%), Terna Crna Gora d.o.o. (100%) [1]
웹사이트www.terna.it

Terna S.P.A.이탈리아 로마에 본사를 둔 전송 시스템 운영자(TSO)이다. 이탈리아 송전망을 관리하는 테르나 레테 이탈리아브라질, 우루과이, 페루, 칠레(2020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비전통적 활동을 담당하는 테르나 플러스를 통해 운영된다.[1] 이탈리아 고압 송전 그리드의 약 98%인 74,723km(46,431mi)[1]의 송전선을 보유한 테나는 전력 그리드의 크기를 기준으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송전 그리드 사업자다.[1] Terna는 Borsa Italiana[2] 상장되어 있으며 FTSE MIB 지수의 구성 요소다.[3]

역사

1999년 5월 31일, 이탈리아 전기 분야의 규제 완화를 위한 절차의 맥락 안에서 국가 송전망의 소유와 관리 사이의 분리를 허가한 이탈리아 입법령 제79호/99호의[4] 시행을 통해 에넬 그룹 내에 테르나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5월 11일 발표된 총리령에 따라 2004년 6월 23일, 테나는 보르사 이탈리아나에 대한 IPO와 함께 매물로 나왔다.

2010년 테르나는 중동북아프리카(MENA)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전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인 [5]데세르텍에 가입하여 현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유럽 상호연결 그리드에 부분적으로 할당되었다.

2011년 테르나 그룹은 새로운 조직 구조를 채택했다. 테르나 레테 이탈리아를[6] 통해 6만3500km 이상의 고압선으로 이탈리아 전기 시스템을 안전하게 관리한다. Terna Plus를 통해 이탈리아 및 해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비전통적인 활동을 관리한다.

2011년은 그룹의 7년 연속 성장이었다. 주당 21유로의 배당금이 지급되었다. 2011년 결과는 플라비오 캣타네오 CEO가 전략계획 2012-2016을 승인하기 위해 열린 테르나 행정위원회 회의에서 제출한 것이다.

2012년, Terna 통합 수익은 그리드 전송 수수료와 그룹이 수행한 "비전통적 활동"의 결과로 인해 1,86백만 유로로 2011년 대비 +10.4%를 기록했다.[7]

2012년 1월 31일, Terna는 2012-2021년 10년간 국가 전기 송전망의[8]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매년 초안 및 갱신되며, 2012년에는 에너지 손실 감소와 CO2 배출 감소 등 전기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70억 유로 이상의 투자를 포함했다.

2013년 테르나 통합 수익은 189만6000유로(약 1조7000억원)로 2012년에 비해 9050만 유로(+5%) 증가했다. 에빗다는 128만1000유로(+6.5%), 그룹 순이익은 5억1400만유로(+10.8%).[9]

운영

Terna 고전압 라인의 정보 패널

테나는 이탈리아에서 국가 전기 송전 관리 및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Terna의 자산은 다음과 같다.[1]

  • 선로74,723km
  • 889 변환 및 전환 스테이션
  • 1 국가 컨트롤 센터(NCC)
  • 3 제어 센터
  • 26개 라인의 다른 나라와의 상호연결(CTI)
  • SA.PE.I. 용량 1000MW로 세계에서 가장 긴 해저 케이블(435km)

테나는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기업의 물리적, 기술적 인프라를 보호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었으며, 기업 사기 사건의 예방과 관리를 통해서도 회사의 물리적, 기술적 인프라를 보호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었다. 이 프레임워크에서는, 해당 기반시설과 투자의 최대한의 안전보장을 보장하기 위해, 먼저 내무부, 카라비니에리, 과르디아 디 파이낸차 등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2010년에 그 회사는 10억 6천만 유로를 투자하여 1000 km의 새로운 전기선과 48개의 새로운 정거장을 건설하는 자금을 조달했다. 테나의 송전선로는 2010년에 3,261억 6천만 kWh를 수송하였으며,[10] 그 중 다음 사항을 다루었다.

  • 이탈리아 발전소 2865억3천만명 발생
  • 수입 457억6000만 명
  • 18억 1천만 수출
  • 펌프장 43억1000만개

다음으로 2865억 3천만 kWh가 생성되었다.

이사회

이사회 구성원:[11]

  • 발렌티나 보세티 - 회장
  • Stefano Antonio Donnarumma - CEO 및 총지배인
  • 알레산드라 파엘라
  • 윤펑허
  • 발렌티나 카날리니
  • 에르네스토 카본
  • 주세페 페리
  • 안토넬라 발디노
  • 파비오 코르시코
  • 마르코 지오르기노
  • 가브리엘라 포르첼리
  • 파올라 잔노티
  • 장미셸 아우베르탱

주주

테나는 2004년부터 이탈리아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대주주는 카사예탁이 프레미티로 지분 29.85%를 보유했다. 나머지 70% 가까이는 다른 기관 및 소매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다.[12] 이 회사의 주요 주주로는 로마노 미노찌(5.6%)와 블랙록(2.4%)과 아시쿠라조니 제너럴리(2.0%)가 있다.

수상

에디슨 전기연구소에 따르면 테나는 2010~2012년 총 주식 수익률로 유틸리티 기업 중 유럽 최고의 기업이다.[13] 이 3년 동안 테나의 수익률은 24%로 이 부문의 평균 수익률(DJ Stoxx-10%, Ftse Mib-21%)과 비교된다. 2010년 테나는 2007~2009년에도 같은 인정을 받았으며, 테나의 주가수익률이 +40%로 -15%를 기록한 유럽 부문과 비교했을 때 순과잉포맨스(약 55%)를 달성했다.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Annual Report 2020" (PDF). Retrieved 27 July 2021.
  2. ^ 테르나 - 보르사 이탈리아어
  3. ^ TEXT-S&P, Terna SpA 등급 인정 - 로이터
  4. ^ oecd - 2007년 이탈리아 경제조사 : 서비스 경쟁과 생산성 향상
  5. ^ 데세르텍: Terna는 Dii Archived 2013-01-21의 주주로서 오늘 Archive.
  6. ^ Terna Rete Italia 공식 웹사이트
  7. ^ "Terna's Board of Directors: 2012 results approved". Retrieved 14 January 2016.
  8. ^ "Grid Development Plan Summary". Retrieved 14 January 2016.
  9. ^ Terna 이사회: 2013년 결과 승인
  10. ^ "Terna Annual Report 2010" (PDF). Retrieved 14 January 2016.
  11. ^ "Terna: insediato il nuovo Cda. Donnarumma nominato AD e DG" (in Italian). Retrieved 20 July 2020.
  12. ^ "Shareholding structure and shareholders' agreements". Retrieved 14 January 2016.
  13. ^ 유럽 최고의 주주환원 효용 Terna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