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 클럽

The 700 Club
700 클럽
700 Club logo.png
장르.기독교의 뉴스/토크
제시자
내레이티드 바이웬디 그리피스, 고든 로버트슨
테마 음악 작곡가제러미 스위트
원산지미국
원어영어
생산
생산위치버지니아 비치, 버지니아
러닝타임60분
해제
원본 네트워크크리스천 방송망/신설(1966–)
CBN 위성서비스 >패밀리 채널>폭스 패밀리>ABC 패밀리>자유형(1977–)
오리지널 릴리즈1966년 4월 1일 (1966-04-01)
현재의
외부 링크
웹사이트

700 클럽크리스천 방송 네트워크의 대표 TV 프로그램으로, 매주 미국에서 신디케이션으로 방송되며, CBN.com에서 전세계에서 볼 수 있다.뉴스매거진 프로그램은 생방송 게스트, 일일 뉴스, 현대 음악, 증언, 기독교 사역 등을 다룬다.유명인사와 다른 손님들을 인터뷰하는 경우가 많고, 기독교인의 생활양식 문제가 제시된다.이 프로그램은 CBN 뉴스 팀의 조사 보도와 함께 세계 뉴스 기사를 추가로 다루고 있다.

700 클럽은 1966년부터 생산 중이다.[1]고든 로버트슨, 테리 미우센, 애슐리 키, 웬디 그리피스가 주최한다.이전의 공동 개최국으로는 팻 로버트슨(1966–2021), 벤 킨클로(1975–88, 1992–96), 쉴라 월시(1987–92), 다누타 라일코 소더만(1983–88), 크리스티 와츠(1999–2013), 리사 라이언이 있다.팀 로버트슨은 킨클로, 배우 수잔 하워드와 함께 1년(1987-88년) 동안 사회자로 활동했고, 팻 로버트슨은 1988년 대선에서 낙선했다.[2]

초기 역사

1960년 압살롬 윌리스 로버트슨 전 미국 상원의원의 아들인 팻 로버트슨은 시청률이 저조해 운행이 중단됐던 버지니아주 포츠머스의 채널 27번 WTOV-TV(현 오하이오주 슈투벤빌WTOV-TV와는 무관)의 라이선스를 구입했다.WYAH-TV(오늘날 CW 계열사인 WGNT로 알려져 있음)로 개칭한 이 방송국은 1961년 10월 1일 햄튼 로드 지역에 기독교 프로그래밍 방송을 시작했다.[2]

1962년, 그 역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거의 폐쇄되었다.방송국을 유지하기 위해 WYAH는 이 쇼의 특별 텔레톤 버전을 제작했다.텔레톤을 위해 로버트슨은 700명의 회원이 매달 10달러(2020년 86달러 상당)씩 기부한다는 목표를 세워 방송국을 지원하기에 충분했다.로버트슨은 이 회원들을 "700 클럽"이라고 불렀고 이름은 그대로 붙여졌다.텔레톤은 성공적이었고 지금도 매년 열리고 있다.[2]

《700 클럽》은 1966년 텔레톤 이후 음악, 설교, 집단기도, 성경공부, 인터뷰 코너로 야간 2시간씩 진행되는 기독교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계속되었다.[3]음악은 찬송가, 기악곡, 남부 복음 음악, 도시 복음 음악이었다.[citation needed]

이 프로그램의 첫 번째 상설 진행자는 짐 바커였는데, 그는 당시 부인인 태미 페이 바커와 함께 WYAH에서 Come On Over(잠과 태미)라는 어린이 쇼도 진행하였다.이 커플은 1972년 CBN을 떠났다. 보도에 따르면, 짐 배커는 철학적 차이점에 대해 팻 로버트슨에 의해 해고되었다고 한다.[4]그리고 나서 Bakkers는 그들 자신의 텔레비전 사역과 시그니처 쇼인 The PTL Club을 시작하기 전에 트리니티 방송 네트워크 (TBN)를 시작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나아갔다.박커스가 떠난 후, 역의 일부 직원들은 박커스의 세트와 인형을 파괴하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5]팻 로버트슨이 사회를 맡았고, 음악을 줄이고 설교하며 배커가 개발한 토크쇼 형식을 향해 나아가면서 700클럽을 발전시켰다.로버트슨은 700 클럽을 야간 종교를 주제로 한 텔레톤에서 기독교 토크쇼로 탈바꿈시켰다.

700 클럽은 원래 WYAH-TV를 비롯한 애틀랜타(WANX-TV)와 댈러스(KXTX-TV)의 CBN 소유 방송국과 이후 보스턴(WXNE-TV)에서만 방송되었다.이 프로그램은 1974년 CBN이 뉴욕시WPIX, 로스앤젤레스KTLA, 필라델피아WPHL-TV, 워싱턴의 WDCA 등의 방송국에서 방송시간을 구입하면서 전국 신디케이션에 들어갔다.이 프로그램을 운반하는 방송국 명단은 1976년까지 100개 이상의 시장으로 성장했다.일부 시장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90분짜리 풀 버전과 60분짜리 편집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여러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1977년, 700 클럽은 새로 출범한 CBN 케이블 네트워크에 전국적으로 추가 노출을 받았는데, CBN의 방송국과 마찬가지로 매일 3회 방송되었다.[citation needed]

1980-현재

1979년, 700 클럽은 포츠머스에 있는 WYAH의 시설에서 그 스튜디오를 이웃 버지니아 비치에 있는 CBN의 당시 신축 캠퍼스로 옮겼으며, 이 프로그램은 계속 생겨나고 있다.1980년대 동안, 이 쇼는 뉴스/오피니언과 라이프스타일 부분에 인터뷰가 섞여 있는 W그룹PM 매거진과 같은 잡지 쇼와 더 비슷한 형식으로 발전했다.일부 시장에서는 700클럽이 오전 시간대에 방영되어 NBC의 투데이, ABC의 굿모닝 아메리카 등 주요 방송사 '아침식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정면 승부를 벌였다.[citation needed]

지난 10년 후 CBN이 지상국 그룹을 판매한 이후에도 700 클럽은 CBN 케이블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많은 상업적 세속 방송국과 기독교 방송국을 통해 계속 방영되었다.CBN은 1988년에 The Family Channel로 재브랜드 되었다.패밀리 채널은 1998년 뉴스 코퍼레이션과 텔레비전 프로듀서 하임 사반에게 국제 패밀리 엔터테인먼트를 판매하는 일환으로 패키지화되었다.이 채널은 폭스 패밀리 채널로 개칭되었으나, 불과 3년 후 폭스 패밀리는 월트 디즈니 회사에 매각되었고 이후 ABC 패밀리의 브랜드가 다시 바뀌었다.이후 디즈니는 2016년 1월 12일 ABC 패밀리를 프리폼으로 재상장했다; 프리폼은 이후 뉴스코퍼레이션에서 많은 예전 회사 형제들과 재회했다.2005년 현재 700 클럽은 Freeform에서 매일 3회 방송되는데, 이는 원래 Family Channel이 News Corporation에 판매하는 계약의 일부분이다.[6]2009년 현재 오전 첫 방송(전용)에는 인터넷 사용자 제작 영상과 방송 시청자의 댓글을 활용한 700클럽 인터랙티브라는 30분짜리 쇼가 선행되고 있다.[citation needed]

정치적 옹호

1978년과 1980년 사이에 시사 문제에 대한 토론이 프로그램의 일부가 되었고, 쇼의 첫 20분 동안 뉴스 부문이 추가되었다.700 클럽은 특히 팔레스타인유엔과의 분쟁에서 이스라엘을 강하게 지지한다.유대인 단골손님으로는 마이클 메드베드, 랍비 다니엘 라핀 등이 있는데, 이들은 클럽의 보수적인 유대교 신앙을 공유하고 있다.[7]

스태프

이전

비판

700 클럽의 해설자 겸 장관으로서, 로버트슨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발언을 해 비판을 받았다.그의 발언 중 일부는 국내외 언론의 관심 대상이 되어 정치인들의 반응을 불러일으켰다.[citation needed]

로버트슨의 목사직은 신의 치유력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믿음을 포함시켰다.[9]그는 1985년 허리케인 글로리아의 진로를 통제하기 위해 기도한 공로를 인정하였다.[10]1995년 3월 23일, 팻 로버트슨은 힌두교를 "데모닉"이라고 부르며 공격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이끌었다.[11]그는 또한 이슬람교를 "사타닉"[12]이라고 불렀다.로버트슨은 페미니즘,[13] 동성애[14]대한 [15]행동주의, 낙태, 진보적인 대학 교수들에 대한 견해를 비난했다.[16]비판론자들은 로버트슨이 라이베리아의 찰스 테일러[17] 전 대통령, 자이레모부투 세세 세코[18] 전 대통령과 아프리카에서 사업상 거래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로버트슨은 휴고 차베스의 암살과[18] 아리엘 샤론의 건강 악화에 대한 발언으로 전세계적으로 비난을 받았다.[19]

700 클럽의 공동 주최자였던 다누타 라일코 소데르만은 이후 로버트슨이 과체중, 안면 흠집, 휠체어, 목발, 시각장애, 시각장애 등을 가진 사람들을 프로파일링할 여지가 없다고 비판했다."로버트슨은 어렵고 까다로운 종교적, 사회적, 재정적, 부부적, 정치적, 성적, 도덕적 개념에 대한 독자의 요약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그녀는 또한 이 쇼가 니카라과 남북전쟁 당시 니카라과 정글의 콘트라스 수용소로 걸어 들어가도록 한 작품을 꾸며낸 것이라고 비난하면서, 이 캠프는 실제로 로버트슨의 방문을 위해 비행장에 의해 건설된 "제안"이라고 주장했다.[20]

2001년 9월 11일 주, 로버트슨은 제리 팔웰과 테러 공격에 대해 토론했는데, 제리 팔웰은 "ACLU는 이 사건에 대해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고, 그는 "이교도, 낙태자들, 페미니스트, 게이들, 그리고 [9월 11일 테러]의 발생을 도운 레즈비언들이 있다"고 말했다.로버트슨은 "나는 전적으로 동의한다"[21]고 대답했다.두 전도사 모두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논평으로 심각한 비난을 받았으며,[22] 이에 대해 팔웰은 나중에 사과문을 발표했다.[23]

2003년 10월, 로버트슨은 자신의 저서 '위험한 외교'에 대해 국무부 비평가 조엘 모브레이와 인터뷰를 하면서 핵폭탄으로 해리 S 트루먼 빌딩을 파괴하는 것은 이슬람 세계 지배를 은근히 갈망하는 자유주의 반역자들의 둥지를 제거함으로써 미국의 안보를 강화시킬 것이라고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관리들이 그의 발언을 비난하자,[24][25][26] 로버트슨은 "국무부에 수정안을 제출한다"고 말한 "명백한" 코너를 방송했고, 이 코너는 그가 자신의 이전 발언을 반복했다.[27]

2009년 11월 9일, 로버트슨은 이슬람은 "세계 정부의 타도와 세계 지배에 골몰한 폭력적인 정치 체제"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당신은 종교가 아니라 정치체제를 다루고 있다"면서 "나는 우리가 그것을 그렇게 취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추종자들을 공산당의 당원이나 일부 파시스트 그룹의 일원으로 취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28]고 설명했다.

2010년 아이티 지진에 대한 로버트슨의 대응도 전 세계적인 논란을 불러 일으켰고 국제적인 비난에 부딪혔다.[29][30]로버슨은 아이티의 설립자들이 프랑스의 노예 소유주들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기 위해 '악마에 대한 행동'을 맹세했으며, 이번 지진을 아이티인들이 그렇게 한 것에 대해 '저주'를 받은 결과라고 간접적으로 해석했다고 주장했다.[31][32]CBN은 이후 성명을 통해 "로버슨 대통령의 발언은 프랑스에 대한 승리를 대가로 노예들이 악마와 유명한 협약을 맺었다는 보이스 카이만에서 더티 부크먼이 주도한 1791년 노예 반란을 근거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33][34]간선 기독교와 복음주의[35] 기독교계의 다양한 인물들이 때때로 로버트슨의 발언 중 일부를 부인했다.[29][36]

참조

  1. ^ "About The 700 Club". Christina Broadcasting Network. March 28, 2017. Retrieved July 27, 2018.
  2. ^ a b c "About The 700 Club". CBN.com - The Christian Broadcasting Network. 13 June 2013. Retrieved 2019-04-20.
  3. ^ 조지 토마스 쿠리안, 마크 A.램포트, 미국의 기독교 백과사전, 제5권, Rowman & Littlefield, 2016, 페이지 469
  4. ^ "팻 로버트슨: 남자, 미션, 미디엄."방송.1978년 3월 6일 페이지 56-68.
  5. ^ 전기: 박커, 짐
  6. ^ Eggerton, John (August 23, 2005). "ABC Family Repudiates Robertson 'Hit'". Broadcasting & Cable. Retrieved December 16, 2019.
  7. ^ PFEIFFER, DANUTA (March 1998). "Inside The 700 club".
  8. ^ "CBN Spiritual Life - Celebritites, Dignitaries, and Politicians Gather for Harald Bredesen's 85th Birthday".
  9. ^ 랜디, 제임스(1989년).신앙 치유자들.프로메테우스 북스.[[달라스, 텍사스 ISBN 0-87975-535-0] 페이지 197-206.
  10. ^ Daily Press: Robertson Says 기도가 스톰을 멈췄다.
  11. ^ 라잔, 발리 J(1995-07)."크리스찬 팻 로버트슨 데논은 힌두교를 "데모닉"으로 부른다.힌두교 투데이>https://www.hinduismtoday.com/magazine/july-1995/1995-07-using-tv-christian-pat-robertson-denounces-hinduism-as-demonic/
  12. ^ "로버트슨은 이슬람은 평화의 신앙이 아니라고 말한다.텔레비전 전도사는 2006년 3월 14일 AP통신의 소냐 바리시치(Sonja Barisic, Sonja Barisic, appress.그리고 그가 맞다.
  13. ^ 1992년 8월 23일, 워싱턴 포스트의 "평등한 권리 이니셔티브 공격"
  14. ^ ^ "캘리포니아 주지사 아놀드 슈워제네거, 동성애 '결혼 금지법' 발의안 22호에서 캘리포니아 유권자의 압도적 표를 무시한 가증스러운 동성애자 '결혼' 법안 통과 약속 지키기 및 거부권 행사"기독교 연합.2005-09-09.http://www.cc.org/content.cfm?id=253.2007-03-31 검색됨
  15. ^ "오늘 대법원 판결 이후 1000명 감경"기독교 연합.2007-01-18.http://www.cc.org/archives/abortion/index.html.2007-03-31 검색됨
  16. ^ 2006년 5월 11일 "우익시계", "People for the American Way".
  17. ^ 2001년 9월 22일 워싱턴 포스트, 콜버트 I. 킹 "Pat Robertson's Gold"
  18. ^ a b Blumenthal, Max (2005-09-07). "Pat Robertson's Katrina Cash". The Nation Online. Retrieved 2008-01-19.
  19. ^ 2006년 1월 6일 CNN은 "로버트슨이 샤론을 신에게 호되게 때리라고 제안한다: 에반젤리스트는 이스라엘 지도자의 뇌졸중을 '신의 땅 분할'과 연결시킨다"고 보도했다.
  20. ^ Pfeiffer, Danuta (March 1, 1998). "Pat Robertson's former co-host speaks out". Fairness and Accuracy in Reporting. Retrieved August 30, 2020.
  21. ^ "Falwell speaks about WTC disaster, Christian Broadcasting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mp3) on October 19, 2012. Retrieved March 11, 2012.
  22. ^ 데이비드 존 말리, 팻 로버트슨: 미국인의 삶(2007) p 273
  23. ^ "Falwell apologizes to gays, feminists, lesbians". CNN. 2009-10-14. Retrieved 2010-09-07.
  24. ^ 주립대. 2003년 10월 12일 AP 통신의 Decries Robertson Nuke 인용
  25. ^ 미 국무부는 2003년 10월 10일 텔레비전 방송국의 핵 위협인 아겐스 프랑스-프레세(Agence France-Presse, 2003년 10월 10일)에 항의했다.
  26. ^ "Robertson Suggests Lobbing Nuclear Bomb at U.S. State Department".
  27. ^ "State Department Comments Clarified".
  28. ^ Hamby, Peter (2009-11-18). "McDonnell won't disavow Robertson's Islam remarks". CNN. Retrieved 2010-09-07.
  29. ^ a b 2010-01-21-21, 웨이백 머신보관아이티어 '악마와 함께 하는 행동'디버킹한 도시 레전드 전문가
  30. ^ Lauerman, Kerry (January 13, 2010). "Robertson: Haiti had "pact with devil"". Salon. Retrieved March 11, 2012.
  31. ^ 텔레비전 전도사 팻 로버트슨, 아이티의 사탄 협정의 지진 결과
  32. ^ "US evangelist says quake-hit Haiti made 'devil' pact". France 24. 2010-01-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1-16.
  33. ^ "Statement Regarding Pat Robertson's Comments on Haiti". Cbn.com. Retrieved 2010-01-15.
  34. ^ 타일포스, 마르켈(2009년 3월)"우리 정부는 Bwa Kayiman:" 1791년 보다우 의식과 그것의 현대적 서명" 스톡홀름 중남미학 리뷰, 제4호
  35. ^ 2010년 1월 14일 목요일 오후 1시 1분, 존 마크 레이놀즈의 "Pat Robertson on Disasters: Continuously Wrong"
  36. ^ "In Good Faith: Guest post: A message for Pat Robertson – A blog for news and discussion on matters of faith – baltimoresun.com". Weblogs.baltimoresun.com. Retrieved 2010-01-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