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자드

The Blizzard

"블리자드"(또는 눈보라) (러시아어: ееее,, Metel' )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고 이반 페트로비치 벨킨이야기>를 구성하는 5편의 단편소설 중 두 번째 작품이다. 이 이야기의 원고는 원래 1830년 10월 20일에 완성되었다. 책은 고 이반 페트로비치 벨킨이야기 중 마지막으로 출판될 예정이었으나 푸슈킨은 이 이야기를 책의 전면에 밀고 나가기로 결정했다. 너무나 코믹하면서도 동시에 극적으로 전개되는 이 중편소설은 러시아 문학의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1]

알렉산더 푸시킨의 초상화 (Orest Kiprensky, 1827년)

플롯

프랑스판 이야기의 삽화, ca. 1843년

줄거리는 마리아 가브릴로브나(가브릴로브나는 이 아닌 후견인이다)라는 귀족적인 젊은 여성의 관계와 그들과 동행하는 특이한 우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레드베터가 프로그램 노트에서 복사한 것이다(출처 참조).

1811년 마리아 가브릴로브나(Maria Gavrilovna)가 젊은 장교 블라디미르 니콜라예비치(Vladimir Nicolayevich)와 사랑에 빠진다. 그녀의 부모님은 편지를 통해 겨울까지 계속되는 그 관계를 못마땅하게 여긴다. 마침내 그들은 도망치기로 결심하고, 빨리 결혼하고, 그리고 나서 용서를 빌기 위해 그녀 부모의 발 앞에 몸을 던진다(러시아 정교회에 들어간 결혼은 영원하고 깨지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라는 자신감).
마리아 가브릴로브나는 겨울밤중에 빠져 나와 멀리 떨어진 마을 교회로 썰매를 타고 가는 것이 계획이었는데, 그곳에서 그녀의 사랑이 결혼식을 위해 그녀를 만나게 될 것이었다. 문제의 밤, 눈보라가 휘몰아치고 있었지만 소녀는 겨우 약속했던 모든 것을 하고 교회에 닿았다. 반면 그녀의 애인은 혼자 랑데부까지 차를 몰고 가면서 어둠과 폭풍 속에서 길을 잃었고, 그곳에서는 아무도 찾지 못한 채 몇 시간 늦게 교회에 도착했다.
다음날 아침, 마샤는 다시 집에 있었지만 매우 아팠다. 열이 오른 헛기침 속에서 그녀는 어머니에게 젊은 장교와 절망적으로 사랑에 빠졌다는 것을 분명히 할 만큼 말했다. 그녀의 부모는 이것이 운명적인 사랑이라고 결정하면서 결혼을 허락했다. 그러나 그들이 이 사실을 장교에게 알리기 위해 편지를 썼을 때, 그의 대답은 거의 앞뒤가 맞지 않았다. 그는 그들의 용서를 빌며 자신의 유일한 소망은 죽음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군대에 재입대했다(지금은 나폴레옹이 러시아에 대한 유명한 공격을 한 1812년의 치명적인 해였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죽었다.
한편, 마샤의 아버지는 마샤의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젊은 여성을 남겨두고 세상을 떠났다. 구혼자들이 그녀의 손을 다그쳤지만 그녀는 아무도 받아주지 않았다. 그녀는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기억만을 위해 살고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마침내 그녀는 부상당한 후사르 대령인 버민의 친분을 쌓게 되었는데, 버민은 자신의 근처에 있는 사유지를 방문하고 있었다. 버민은 한때 악명 높은 갈퀴로 명성이 자자했던 미남이었지만, 지금은 조용하면서도 겸손한 성격이었다. 두 사람은 따뜻한 우정을 발전시켰고, 그가 그녀에게 어떤 사랑의 선언이나 형식적인 청혼을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자제심이 강했던 것이 매우 분명해졌다. 마샤는 일부러 아무도 가까이 오지 않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을 주선했다. 마침내 그는 침묵을 깼다. 그는 그녀를 열정적으로 사랑하지만, 이미 결혼한 지 4년이 지났기 때문에 그녀와 함께 어떤 행복도 바랄 수 없다. 그는 알지 못하며, 다시는 볼 수 없는 여자와 결혼했기 때문이다.
놀란 마샤에게, 그는 1812년 겨울, 끔찍한 눈보라가 몰아칠 때, 자신의 연대에 다시 참가하려고 했다고 설명한다. 안내인과 함께 트로이카를 타고 그들은 낯선 나라에서 길을 잃었다. 멀리서 불빛을 본 그들은 그쪽으로 차를 몰고 가서 사람들이 "이쪽으로!"라고 외치는 마을 교회에서 자신을 발견했다. 교회에 들렀을 때 신부가 기절해서 신부가 어찌할 바를 모른다는 말을 들었다. 그들은 그 젊은 병사를 보자, 그에게 진행할 준비가 되었는지 물었다. 어린 갈퀴인 버민은 신부의 매력을 알아차리고 의식을 치르면서 장난을 치기로 했다. 교회는 어둡고, 촛불 몇 개만 켜져 있었고, 그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은 그림자에 지나지 않았다. 마지막에 그가 신부에게 키스하라는 말을 들었을 때, 그녀는 그것이 그녀의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기절해 버렸다. 목격자들이 공포에 질려 그를 응시하자 그는 달려나가 차를 몰고 떠났다.
그는 마샤에게 자신이 너무나 철저히 길을 잃었기 때문에 아직도 자신이 결혼한 마을의 이름이나 신부가 누구였을지 모른다고 설명한다. 이야기가 끝나자 마리아 가브릴로브나는 사랑하게 된 남자의 손을 잡고 자신을 오랫동안 잃어버린 신부라고 밝힌다.[2]

스타일

푸시킨은 레노레(발라드)바실리 주콥스키의 발라드 '스베틀라나'에 등장하는 고딕 동기의 고전적 주제를 패러디한 수단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사용한다. 이 두 발라드 모두에서 연인은 오직 죽은 연인과 함께 꿈을 꾸고 '상상'할 수 있을 뿐이다. 푸슈킨은 마리아에게 같은 상황을 제시하면서 이 생각을 가지고 놀지만, 대부분의 우연한 예기치 못한 상황들 때문에 마리아는 실제로 살아 있는 연인과 결혼했다. 푸슈킨은 이러한 발라드의 스타일을 모방하지만, 일련의 현실적인 상황을 통해 그것을 창조한다.[3]

테마

영웅

고 이반 페트로비치 벨킨의 이야기에서 푸슈킨은 다양한 틀에 박힌 신사 구혼자들을 이야기의 영웅으로 사용한다. 부민은 이 단편 소설에서 영웅 역할을 한다. 교회에서 알려지지 않은 신부와 결혼하는 그의 거칠고 경계선상에 있는 범죄행위는 결국 그가 꿈에 그리던 여자와 결혼하게 만들었다.[4]

안티히어로

블라디미르(Vladimir)는 이야기의 카운터 또는 안티히어로(Antihero)이다. 옹졸한 땅 주인인 그는 마샤의 결혼을 공공연히 추구하기에는 너무 가난하다. 블라디미르 결혼 계획은 불행한 상황(전란 중 눈보라, 치명적인 부상)에 의해 중단되었다. 그러나, 같은 불행한 사건들이 버민에게 마리아와 함께 성공적인 구애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5]

구조

이야기 속의 문장의 70% 이상이 세미콜론으로 짧게 자른 간단한 문장들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단순' 문장으로 간주된다.[6] 이 이야기의 줄거리는 13개의 독특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7]

  1. 두 연인은 그들의 상황과 결혼 계획과 함께 선보인다.
  2. 마리아는 떠날 준비를 하고 집에서 마지막 순간을 보낸다.
  3. 블라디미르는 눈보라를 뚫고 교회로 떠나간다.
  4. 마리아는 그녀의 집에서 아프고 부모님께 사랑을 고백한다.
  5. 블라디미르가 마리아 집에 들어가길 거부하고 군대에 입대한다.
  6. 보로디노 전투로 인한 마리아와 블라디미르 부상과 사망 상태
  7. 마샤의 아버지의 죽음과 새로운 소유지로의 출발
  8. 죽은 연인의 기억으로 마리아 신앙을 묘사한다.
  9. 러시아의 정세 악화
  10. 버민이 도착하고 마샤와 버민 사이의 감정이 성립된다.
  11. 버민의 사랑 선언
  12. 마샤와 블라디미르가 도망가기로 되어 있던 블리자드 때 일어난 사건에서 버민의 역할은
  13. 이벤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

적응

필름

이 이야기는 블라디미르 바소프 감독영화로 만들어졌다.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게오르기 스비리도프가 작곡했는데, 후에 이 사운드트랙을 같은 이름의 음악실로 개조했다.[8]

뮤지컬

게오르기 스비리도프의 스위트("Alexandr Pushkin's story에 대한 음악적 삽화")는 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알려지지 않았지만 러시아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그가 바소프의 영화에 썼던 영화 점수를 바탕으로 스위트룸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9]

  1. 트로이카
  2. 발스
  3. 봄 - 가을
  4. 로맨스
  5. 파르스탈레
  6. 리틀 밀리터리 행진곡
  7. 결혼식
  8. 발세의 메아리
  9. 피날레

참조

  1. ^ 데브렉제니, 폴 다른 푸시킨: 알렉산더 푸시킨의 산문 소설에 대한 연구. 1983.
  2. ^ 레드베터, 스티븐: MIT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콘서트를 위한 프로그램 노트. 2005.
  3. ^ 베테아, 다비드 M, 세르게이 다비도프. "푸시킨의 새턴 큐피드: 벨킨 이야기 속의 패러디의 시학. 1981.
  4. ^ 그레그, 리처드 "모든 계절의 희생양: '벨킨 이야기들의 통일과 형상' 1971.
  5. ^ 그레그, 리처드 "모든 계절의 희생양: '벨킨 이야기들의 통일과 형상' 1971.
  6. ^ 데브렉제니, 폴 다른 푸시킨: 알렉산더 푸시킨의 산문 소설에 대한 연구. 1983.
  7. ^ 워드, 데니스. "푸슈킨의 '벨킨의 이야기'의 구조" 1955.
  8. ^ 블리자드 (1964년 영화)
  9.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참고 문헌 목록

  • 베테아, 다비드 M, 세르게이 다비도프. "푸시킨의 새턴 큐피드: '벨킨 이야기 속의 패러디의 시학' PMLA 96.1 (1981): 9-10. 웹.
  • 데브렉제니, 폴 다른 푸시킨: 알렉산더 푸시킨의 산문 소설에 대한 연구. Stanford, CA: Stanford UP, 1983. 80 & 94. 인쇄하다.
  • 그레그, 리처드 "모든 계절의 희생양: '벨킨 이야기들의 통일과 형상' 슬라브어 리뷰 30.4 (1971년): 749–751. 웹.
  • 레드베터, 스티븐: 2005년 12월 9일 MIT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콘서트를 위한 프로그램 노트.
  • 워드, 데니스. "푸슈킨의 '벨킨의 이야기'의 구조." 슬라보닉 및 동유럽 리뷰 33.81 (1955년): 520–521. 웹.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