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경
The Cardinal추기경 | |
---|---|
![]() 사울 배스의 홍보 포스터 | |
연출자 | 오토 프레밍거 |
각본 기준 | 로버트 도지에 |
에 기반을 둔 | 추기경: 헨리 모턴 로빈슨 |
생산자 | 오토 프레밍거 |
주연 | 톰 트라이온 로미 슈나이더 캐럴 린리 |
시네마토그래피 | 리언 샴로이 |
편집자 | 루이 R. 로플러 |
음악 기준 | 제롬 모로스 |
배포자 | 컬럼비아 픽처스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175분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박스오피스 | $11,170,588[1] |
추기경은 1963년 독립적으로 제작한 미국 드라마 영화로 오토 프레밍거 감독이 연출하고 컬럼비아 픽처스가 배급했다. 각본은 로버트 도지에가 쓴 것으로 헨리 모튼 로빈슨의 동명 소설(1950년)을 원작으로 했다. 음악 점수는 제롬 모로스가 썼다.
이 영화의 배역에는 톰 트라이온, 로미 슈나이더, 존 휴스턴이 출연하며 6개의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다. 베테랑 영화배우 도로시 기쉬의 마지막 출연은 물론 매기 맥나마라의 마지막 빅스크린 공연을 장식한다.
이 영화는 로마, 빈, 보스턴, 스탬포드, 코네티컷에서 촬영되었다.
로빈슨의 소설은 당시 뉴욕 대주교였던 스펠만 추기경의 삶을 바탕으로 했다. 이 영화의 바티칸 연락관은 조셉 라칭거 목사로, 후에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되었다.[2] 이 이야기는 종교간 결혼, 결혼외 성, 낙태, 인종적 편협성, 파시즘과 전쟁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다룬다.
플롯
이 영화는 주인공이 추기경으로 취임하는 공식 시상식 동안 일련의 추억의 회상 장면으로 보여진다.
새로 서품을 받은 아일랜드 가톨릭 사제 스티븐 페르모일(톰 트라이온)이 1917년 보스턴으로 귀국한다. 그는 그의 부모님이 딸 모나(카롤 린리)가 유대인 남성 베니 람펠(존 색슨)과 약혼한 것에 대해 화가 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스티븐과 그의 아일랜드 카톨릭 가정은 모나가 카톨릭 신자가 되거나 어떤 아이라도 카톨릭 신자로 키우기로 동의할 경우에만 베니와 결혼하는 것을 허락할 것이다. 베니는 동의하지 않고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기 위해 떠났다. 모나는 성직자로서 스티븐의 조언을 구한다. 그가 베니를 내놓으라고 한 후, 베니는 도망치고 문란해진다.
젊은 사제의 야망을 우려한 대주교(존 휴스턴)는 스티븐을 외딴 교구에 배치하고 그곳에서 겸손함을 배우기를 희망한다. 그곳에서 그는 겸손한 목사 네드 핼리 신부(Burgess Meredith)를 만나고 페르모일은 자신의 삶을 살면서 교구민들을 대하는 점잖지 못한 모습을 관찰한다. 핼리 신부는 다발성 경화증으로 매우 아프다. 페르모일은 그와 그의 가정부 랄레지(질 하워스)로부터 겸손함을 배운다.
한편 모나는 혼외 임신을 하게 된다. 스테판과 그의 형, 베니는 모나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큰 아기에게 고통스러워한다. 그녀는 병원으로 옮겨지는데, 의사는 스테판에게 제왕절개 수술을 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말하고 모나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기의 머리가 으스러져야 한다. 카톨릭 교리에 따르면, 아기가 죽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스티븐은 의사가 그렇게 하도록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모나는 아이 레지나를 낳다가 죽는다.
여동생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린 스티븐은 신앙의 위기를 겪기 때문에 유럽으로 전근되어 몽시인을 만들지만, 자신이 얼마나 성직자의 삶에 헌신하고 있는지 확신이 없고, 강사로 일하면서 2년간의 안식년을 지내며 비엔나로 여행한다. 그곳에서 그는 젊은 여성 안네마리(로미 슈나이더)와 만나 관계를 맺는다. Stephen은 그의 서약을 어기지 않는다.
스티븐의 천직은 그를 다시 로마와 교회로 부른다. 바티칸은 쿠클룩스 클랜이 반대하는 길리스 신부(오시 데이비스)를 보좌하는 미국 남부의 임무를 띠고 그를 미국으로 돌려보낸다. 임무를 성공적으로 처리한 스티븐은 주교로 거룩하게 되고, 길리스 신부가 거룩하게 되었다.
스티븐은 추기경에게 나치에게 협조하지 말라고 설득하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다시 보내졌는데, 이는 세계대전의 위협이 도사리고 있다. 그와 추기경은 결국 목숨을 걸고 도망쳐야 한다. 그는 안네마리가 나치에 의해 수감된 후 마지막으로 그녀를 만난다. 바티칸이 그에게 보낸 임무의 성공 이후, 그는 추기경 대학으로 승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전날, 스테판이 정식으로 추기경이 되는 의식을 거행한다. 그는 전체주의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남은 인생을 일에 바치겠다고 다짐한다.
캐스트
- 스티븐 페르모일 역의 톰 트라이온
- 모나 페르모일 역의 캐롤 린리 / 레지나 페르모일 역
- 도로시 기쉬(실리아 페르모일 역)
- 플로리 페르모일 역의 매기 맥나마라
- 프랭크 페르모일 역의 빌 헤이스
- 카메론 프루드'옴므 as Din Fermoyle
- 안네마리 폰 하르트만 역의 로미 슈나이더
- 커트 폰 하르트만 역의 피터 베크
- 모나한 역의 세실 켈러웨이
- 길리스 신부 역의 오시 데이비스
- 로링 스미스를 코넬리어스 J. 디간
- 베니 람펠 역의 존 색슨
- 라이온스 신부 역의 제임스 힉먼
- 램블 부인 역을 맡은 베레니스 감
- 글레논 추기경 역의 존 휴스턴
- 라몬 공아로 역의 호세 듀발(호세 듀발 역)
- 캘러한 신부 역의 피터 맥클린
- 바비 역의 로버트 모스 역과 그의 아도라 벨
- 네드 핼리 신부 역의 버지스 메러디스
- 인니처 추기경 역의 요제프 마인라드
- 에리크 프레이(Seys-Inquart) 역
- SS 소령으로 볼프강 프리스
- 랄라지 멘턴 역의 질 호워드
- 콰렌기 추기경 역의 라프 발론
- 기아코비 추기경 역의 툴리오 카르미나티
- 두브로 보안관 역을 맡은 아서 훈니쿠트
- 몬시뇰 위틀 역의 쿨 윌스
배경
이 대본은 로버트 도지어에게 인정받았지만, 프레밍거와 함께 캐릭터화 및 스토리 구조를 개발하는 데 일했던 링 라드너 주니어의 승인되지 않은 기여를 담았다.[3]
해제
이 영화는 일부 로드쇼 개봉을 위해 35mm에 찍혔음에도 불구하고 "인쇄" ("blow-up") 과정을 통해 처음으로 70mm에 상영되었다.[4][5][6]
리셉션
흥행실적
추기경은 올해 18번째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영화였다. 미국에서 총 1117만 588달러를 벌어들였고 국내 임대료로 546만 달러를 벌어들였다.[1][7]
수상
이 영화는 골든글로브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해 에덴의 동쪽(1955년), 스파르타쿠스(1960년)에 이어 세 번째, 그리고 마지막(2021년[update] 기준)은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오르지 않고 그 부문을 수상했다.[citation needed] 프레밍거는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 올랐고 존 휴스턴은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고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휴스턴의 글레논 추기경 역할은, 비록 그가 이전에 자신의 영화인 시에라 마드레의 보물 (The Treasure of the Sierra Madre)을 포함한 여러 영화에서 비트 역할을 한 적이 있지만, 배우로서 공식적인 데뷔였다. 다른 아카데미상 후보로는 최우수 영화 촬영상(Leon Shamroy), 최우수 미술상(Lyle R) 후보에 올랐다. Wheeler and set decorator Gene Callahan, Best Coating Design(도날드 브룩스) 및 Best Film Editation(루이 R. 뢰플러."[8]
명예
이 영화는 AFI의 100년 영화 점수 리스트로 미국 영화 연구소에 의해 지명되었다.[9]
보존
추기경은 2012년 아카데미 영화 보관소에 의해 보존되었다.[10]
참고 항목
참조
- ^ a b 추기경을 위한 흥행 정보. 더넘버즈. 2013년 9월 5일 검색됨
- ^ Frank Miller의 Cardinal 리뷰, Turner Classic Movies
- ^ Fujiwara, Chris (2015-07-14). The World and Its Double: The Life and Work of Otto Preminger. Farrar, Straus and Giroux. ISBN 978-1-4668-9423-5.
- ^ Natale, Richard (May 21, 1992). "Uni/Imagine throw dice 'Far and Away'". Daily Variety. p. 17.
- ^ 미국 영화 연구소 카탈로그의 추기경
- ^ "The Beginning of the End". in70mm. Retrieved 7 June 2020.
- ^ 1965년 1월 6일자 39면 버라이어티 "1964년 빅 렌탈 픽처스" 이 수치는 총 총액이 아니라 배급업자에게 부과되는 극장용 임대료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 ^ 올무비 추기경
- ^ "AFI's 100 Years of Film Scores Nominees" (PDF). Retrieved 2016-08-06.
- ^ "Preserved Projects". Academy Film Archive.
외부 링크
- 미국 영화 연구소 카탈로그의 추기경
- 올무비 추기경
- IMDb의 추기경
- TCM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추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