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 화가

The Dragon Painter
용 화가
The Dragon Painter.jpg
극장 포스터
연출자윌리엄 워싱턴
작성자리처드 셰이어
에 기반을 둔용 화가
메리 맥닐 페놀로사
주연
시네마토그래피프랭크 D. 윌리엄스
음악 기준2005년 복원된 마크 이즈
생산
동행이
배포자로버트슨콜유통공사
출시일자
  • 1919년 9월 28일 (1919-09-28)
러닝타임
53분
나라미국
언어침묵

용의 화가는 1919년작 영어 무성 로맨스 드라마 영화다. 이 책은 메리 맥닐 페놀로사가 쓴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다. 하야카와 세스가 자신의 약혼녀(하야카와 부인 아오키 쓰루)가 붙잡혀 용으로 변신한 공주라고 믿는 젊은 화가로 출연한다. 윌리엄 워싱턴 감독이 연출했으며 요세미티 국립공원요세미티 계곡과 캘리포니아 코로나도의 일본 차밭에서 촬영했다.

드래곤 페인터1988년 미국 영화연구소조지 이스트만 하우스MoMA와 함께 복원한 작품이며 2014년에는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또는 미적으로 중요하다"[1]는 이유로 국립 영화 등록부에 추가되었다. [2] [3]

플롯

타츠(하야카와)는 일본 하카와 산속에 살면서 일련의 그림을 만들어 완성되면 폐기하고, 신들에게 용으로 변했다고 믿었던 자신의 약혼녀를 돌려달라고 외친다. 한편 도쿄에서는 유명한 화가인 카노 인다라(Peil, Sr.)가 명화의 가문의 혈통을 잇기 위해 보호자와 후계자를 찾는다.

타츠에는 인근 마을로 향하여 현지인들에게 종이를 요구한다. 그의 특이한 행동은 인다라의 측량사이자 친구인 우치다(후지타)의 관심을 끈다. 산중에서 측량 원정을 하던 중 다쓰의 버려진 그림 중 하나가 우치다의 소유로 들어온다. 이 예술작품에 놀란 우치다씨는 인다라가 잃어버린 공주의 행방을 알고 있다고 주장하며 타츠를 도쿄로 초대한다.

타츠가 그를 기리기 위해 준비한 저녁 식사에 도착하지만, 그의 난폭한 기질은 소란을 일으킨다. 그는 방석을 던지고 다른 손님들을 쫓아낸다. 인다라가 잃어버린 공주의 춤을 선물할 때 타츠가 떠나려 하는데, 그가 설명하는 것은 외동딸인 우메코(아오키)의 형태다. 타츠가 우메코의 혼인을 요구하고, 인다라는 타츠가 자신의 아들이자 제자가 되어 인다라 이름을 계승한다는 조건에 동의한다.

그들의 결혼 직후 타츠가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된 것은 행복을 찾은 이후로는 그렇게 할 이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인다라 족은 타츠가 그림을 그리도록 부추기려 하지만 소용이 없었다. 잃어버린 공주를 찾고자 하는 타츠의 갈망이 그의 그림 실력을 허락해준 것임을 깨달은 우메코는 그녀의 아버지에게 그녀의 죽음으로 타츠의 재능이 회복될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다음 날 아침, 타츠가 우메코의 편지를 발견하게 되는데, 우메코가 그것이 타츠의 능력을 회복시켜 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자살했다는 것이다. 그 일에 정신이 나간 타츠씨는 근처 폭포에서 익사하여 자살을 시도하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타츠에의 슬픔은 어느 날인가 가족 정원에서 우메코의 귀신으로 보이는 것을 볼 때까지 계속 커져, 타츠가 다시 한번 그림을 그리게 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타츠에의 최근 작품은 그와 인다라스에게 국제적인 인정을 주지만, 그의 성공 직후 그의 슬픔은 다시 돌아온다. 이러니 내내 숨어 있던 우메코가 놀란 타츠에게 돌아가게 된다. 영화는 우메코가 옆에 있는 산에서 타츠가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끝난다.

캐스트

생산

이 영화는 하야카와가 자체 제작한 제작사 하워스 픽처스 코퍼레이션이 제작하고 로버트슨콜 배급사가 배급했다. 하야카와가 비판적이고 상업적으로 성공한 영화 <속임>에 출연한 이후, 아오키의 영화 경력은 그녀의 미래 영화에서 하야카와 감독의 애정 어린 관심을 연기하는 데 제약을 받았다.[4] 아오키의 오프 스크린 이미지는 미국 중산층 습관에 적응한 일본 여성들의 모습이었다. 미야오 다이스케는 하야카와 세스에의 전기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피엘의 캐릭터의 이름이 일본 화가 카노와 중국 화가 인다라의 이름이 섞여 있었을 것이라는 '침묵한 시네마'와 '초국가 스타덤'이 그것이다. 이 영화의 인쇄물은 조지 이스트만 하우스에서 복원되었다. 인쇄물에서 영웅의 이름은 타츠 대신 텐쓰우(天 ten)[5]이다. 이 영화는 "이국적"인 일본, 일본의 문화와 풍경을 보여주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영화계의 한 광고에는 기모노를 입은 하야카와씨의 8개의 이미지가 실렸다.

리셉션

영화에서 촬영한 스크린에 배우 겸 아내 아오키 쓰루와 함께 있는 하야카와 세세씨(왼쪽).

일본의 영화 이론가 미야오 다이스케는 저서 『일본 시네마옥스퍼드 핸드북』에서 "용화가... 하야카와 스타 차량...아오키가 일본의 동양적 상상력에 진정성을 제공하는 완벽한 예였다고 말했다.[4] 그는 이어 "아오키는 우메코 역을 연기하면서 시오-씨오-산처럼 정형화된 일본 여성에 진정성을 부여한다"고 썼다.[6] 이 영화는 진정한 일본인의 분위기를 성공적으로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일본 영화 전문지 키네마 점포는 이 영화가 "현대판이나 실제판 일본"을 보여주지 않았다고 언급했다.[4] 일본 영화 무역 잡지 쿠라부 가쓰도는 "하야카와 세세스가 일본으로부터 주제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용화가의 일본 스타일과 이름은 매우 부적절하다... 일본 풍습을 제대로 묘사하지 않은 일본에 관한 영화는 우리 일본인에게 매우 어렵다"[5]고 평했다. 모션 픽처 월드는 하야카와가 "안정적으로 인기가 진보했다"면서 "하야카와와 로버슨-콜의 모든 협업을 위해 유명한 몇몇 전시업체들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영화는 로버슨콜이 제작한 '하야카와 우등화' 시리즈 중 첫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7] 마가렛 1세 맥도날드는 "일본의 풍경을 모방하고 일본인의 분위기를 공급하기 위해 선택된 극도의 아름다움의 산지, 실험실 작품이 완성되고, 이를 발전시키는 작업에 의해 향상된다는 것이 이 작품에서 특히 훌륭한 특징 중 하나이다"라고 평했다.nd toning."[7]

현대 비평가들은 그 영화를 호의적으로 평가해 왔다. 뉴욕타임스(NYT)의 하야카와 회고전 리뷰에 따르면 "이 영화는 시각적으로 세련된 동화의 일종으로 틴팅(밤의 장면 중 달빛이 도는 푸른색이 가장 좋다)과 깔끔하게 구성된 인테리어와 실루엣이 있다. 일본 캐릭터와 함께 일본을 배경으로 한 용의 화가는 비록 미국인이 썼지만, 문화적이고 성적 페티시즘이 없는 할리우드의 유물로 보인다. 그것은 종종 이국적인 것에 대한 찬사를 특징지우는 문화적, 문화적, 성적 페티시즘이 없는 것이다."[8]

보존

프랑스에서 35mm의 인쇄물이 발견되었고 1988년 조지 이스트만 하우스현대미술관이 있는 미국영화연구소에 의해 복원되었다.[9] 2014년, 용화가는 의회도서관에 의해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또는 미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어 국립 영화 등록부에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10][1]

그 복구는 스티븐 공의 감독을 받았다. 1988년 복원된 인쇄물은 로스앤젤레스의 리틀 도쿄에서 벤시 내레이터와 전통 음악으로 초연되었다.

복원된 이 영화는 2008년 3월 DVD에 <분노>(1914년)로 포장되었다.[11][12][13][14]

참조

  1. ^ a b Gray, Tim (17 December 2014). "'Big Lebowski,' 'Willy Wonka' Among National Film Registry's 25 Selections". Variety. Retrieved 13 May 2018.
  2. ^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Film Registry National Film Preservation Board Programs at the Library of Congress Library of Congress".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20540 USA. Retrieved 2020-06-08.
  3. ^ "Cinematic Treasures Named to National Film Registry".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20540 USA. Retrieved 2020-06-08.
  4. ^ a b c 미야오 2013 페이지 158.
  5. ^ a b 미야오 2007년 페이지 178.
  6. ^ 미야오 2013 페이지 159.
  7. ^ a b 미야오 2007년 페이지 176.
  8. ^ https://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res=9907E3DC143BF934A3575AC0A9619C8B63
  9. ^ AFI 2015.
  10. ^ LOC 2014.
  11. ^ 에릭슨 2008.
  12. ^ Sinnott, John (18 March 2018). "The Dragon Painter". DVD Talk. Retrieved 13 May 2018.
  13. ^ "A new live music score sparks up 100-year-old movie 'The Dragon Painter'". BillyPenn.com. 5 November 2017. Retrieved 13 May 2018.
  14. ^ King, Rachel (5 December 2016). "One of the First Hollywood Heartthrobs Was a Smoldering Japanese Actor. What Happened?". Atlas Obscura. Retrieved 13 May 2018.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