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망자(앨범)
The Fugitive (album)도망자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83년 6월 말 | |||
녹음된 | 1982-1983 | |||
스튜디오 | 더 팜, 서리 | |||
장르. | ||||
길이 | 52:35 | |||
라벨 | ||||
프로듀서 | ||||
토니 뱅크스 연대기 | ||||
| ||||
도망자의 싱글스 | ||||
|
The Rapan은 제네시스 키보드 연주자 토니 뱅크스의 두 번째 솔로 앨범이다.원래 1983년 6월 《Carmarity》(영국), 《Atlantic》(미국)에서 발매되었으며, 뱅크스가 직접 제작하였으며, 그래미상 수상작인 《Stephen Short》가 공동 제작하였다.이 앨범은 뱅크스가 모든 트랙에서 리드 보컬을 부르는 유일한 앨범이다.전작 콘셉트 앨범에서는 모든 보컬이 킴 비컨이 맡았다.그 앨범이 성공적이지 못하자 뱅크스는 그 프로젝트를 계속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했다.[1]A Korean Feeling에 비해 The Rapan에 수록된 곡들은 상업적으로 훨씬 더 많이 접할 수 있었고 실험적으로도 덜했다.
1983년 6월 말 이 앨범이 발매되었을 때, 엇갈린 평가를 받았고 영국에서 50위로 정점을 찍으며 단 2주 동안만 100위권 내에서 지속되었다.[2]'This Is Love'와 'And the Wheels Keep Turning'은 싱글로 발매되었지만 둘 다 차트 작성에 실패했다.
이 앨범은 영국에서 CD로 재발매되었다.1999년 러시아에서 비공식적으로 CD 재발행이 있었다.[3]'도망자'는 뱅크스와 닉 데이비스가 리믹스하여 2016년 초에 재발행되었다.
녹음

1982년 10월, 제네시스는 라이브 앨범 《Three Sides Live》를 지지하기 위해 두 달간의 북미와 유럽 투어를 마쳤다.그 후 밴드는 잠시 활동을 중단했고, 이 기간 동안 뱅크스는 앨범을 녹음했다.밴드 동료 필 콜린스와 마찬가지로 뱅크스는 서리 치딩폴드에 있는 밴드의 녹음 스튜디오인 더 팜(The Farm)에 추가, 혼합된 전문 8트랙 테이프 기계로 자신의 집에 있는 모든 기본 트랙을 녹음했다.[4]제네시스는 앨범 발매 한 달 전인 1983년 5월, 같은 스튜디오에서 다음 스튜디오 앨범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재기했다.
세 명의 객원 음악가(대부분 스티브 개드)가 드럼을 연주했고, 린 LM-1은 악기 '서른 3인조'에서 라이브 드러머 대신 사용되었다.제네시스의 데릴 스투어머(기타)와 필 콜린스의 백업 밴드가 영입되었는데, 콜린스의 솔로 앨범 Hello, I Must Be Going![5]에서 활약한 모 포스터(베이스)도 영입되었다.두 곡의 보너스 트랙 'K2'와 'Sometime Never'는 같은 세션에서 녹음되었지만 원곡에는 수록되지 않았다.[6]
이후 은행들은 "도망자는 내가 모든 것을 노래한 약간 다른 접근법이었다.난 평생 한 번 그렇게 하고 싶었어!나는 일부러 목소리 대사를 직설적으로 유지해서 부를 수 있게 했다.이 앨범은 상당히 기악 편향이 강하지만 조금 더 삭막했다.기록이 아주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7]
발매이력
나라 | 날짜 | 라벨 | 포맷 | 카탈로그 번호 |
---|---|---|---|---|
영국 | 1983년 6월 | 카리스마 | LP | 812 383-1 |
미국 | 1983 | 애틀랜틱 | LP | 7 80071-1 |
포르투갈 | 1983 | 폴리그램 | LP | 812 383-1 |
영국 | 80년대 후반 | 버진 | CD | TBCD1 |
러시아 | 1999 | 아르스노바 | 비공식 부팅 다리 CD | AN99-049 |
영국 | 2016 | 난해한 녹음 | 리믹스된 CD | ECLC2533 |
영국 | 2016 | 난해한 녹음 | 2-디스크 리믹스 CD/5.1 DVD 세트 | ECEC22534 |
영국 | 2016 | 난해한 녹음 | 리믹스 LP | ECLECLP2534 |
프로모션
발매되자마자, "This Is Love" 싱글은 그것을 홍보하기 위해 뮤직비디오를 만들었다.[8]'그리고 바퀴는 계속 돌린다'는 카리스마 레코드가 1대를 맡기지 않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비디오가 없었다.
이 앨범의 마케팅은 제네시스의 일원으로서 뱅크스의 명성에 크게 의존했고, 인쇄 광고에 사용된 광고 슬로건에는 단순히 "토니 뱅크스"라고 적혀 있었다.[9]
리셉션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올뮤직 회고평에서 제프 오렌스는 이 앨범이 토니 뱅크스의 대부분의 솔로곡보다 더 날카롭고 접근성이 뛰어나다고 칭찬했다.그는 또한 "솔로 아티스트로서 녹음한 다른 많은 폭발성 보컬리스트들보다 그의 목소리가 그의 음악에서 훨씬 더 잘 통한다"고 말하면서 그가 직접 노래 부르는 것을 인정했다.하지만 그는 일부 곡들이 잘 숙성되지 않았다고 평했다.[10]
트랙리스트
모든 트랙은 토니 뱅크스에 의해 쓰여진다.
No. | 제목 | 길이 |
---|---|---|
1. | "This Is Love" | 5:11 |
2. | "마법사" | 3:46 |
3. | "그리고 바퀴는 계속 돌아간다" | 4:48 |
4. | "Say You'll Never Leave Me" | 4:32 |
5. | "서른 셋" (계기) | 4:33 |
No. | 제목 | 길이 |
---|---|---|
6. | "By You" | 4:29 |
7. | "밤의 끝에서" | 6:03 |
8. | "창"(계기) | 5:27 |
9. | "아래로 이동" | 6:01 |
- 추가 트랙
No. | 제목 | 길이 |
---|---|---|
10. | "K2" | 3:59 |
11. | "Somesim Never | 3:41 |
- 참고
- 12" 싱글에 "This is Love"와 "And the Wheels Keep Turning"의 확장 버전이 있다.이것들은 CD로 발매된 적이 없다.
인원
크레딧은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서 각색되었다.[5]
- Tony Banks – 리드 보컬 및 배경 보컬, 키보드, 싱스 베이스 및 린 LM-1
- Daryl Stuermer – 리드 및 리듬 기타
- 모 포스터 – 베이스 기타
- 토니 비어드 : "This Is Love", "Say You'll Never Leave Me", "Moving Under"의 드럼과 타악기
- Steve Gadd : "Man of Strills", "And the Wheels Keep Turning", "By You", "Somesime Never"의 드럼과 타악기
- Andy Duncan : "Att the Night", "Charm" 그리고 "K2"에서 드럼을 친다.
- 생산
차트실적
차트(1983) | 피크 포지션 | 합계 몇 주 |
---|---|---|
영국 앨범 차트[11] | 50 | 2 |
판매 및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영국(BPI)[12] | 금 | 100,000^ |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
참고 항목
참조
- ^ "Tony Banks – The Fugitive". Genesis News Com. Retrieved 20 February 2015.
- ^ "The Official Charts Company - The Fugitive by Tony Banks Search". The Official Charts Company. 20 February 2015.
- ^ "Unofficial Russian re-issue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 February 2015.
- ^ "Banks, Tony - The Fugitive LP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 February 2015.
- ^ a b The Fugitive liner notes. Charisma Records. 1983.
- ^ "Banks, Tony - The Fugitive CD at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 February 2015.
- ^ "Interview from 'Sound on Sound'".
- ^ "Tony Banks- This is Love". YouTube. 27 Februar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December 2021. Retrieved 20 February 2015.
- ^ "Advertisement". Rolling Stone (397): 46. 9 June 1983.
Since co-founding Genesis, Tony Banks has had a major, pioneering influence on the course of modern music, having forged a powerful, unmistakable sound as both a gifted composer and a masterful musician.
- ^ a b 올뮤직의 도망자
- ^ "UK Singles & Albums Official Charts Company".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29 February 2012.
- ^ 형식 필드에서 앨범을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Tony Banks – The Fugitive".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Retrieved 20 February 2015.선택하십시오.[인증] 필드에서 [골드]를 선택하십시오."Search BPI Awards" 필드에 The Rapan을 입력한 다음 Enter 키를 누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