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넷 플레이어스

The Hamnet Players

1993년 설립된 해넷 플레이어스는 최초의 실험적인 가상 극장 사이버 공연을 진행했습니다. 1993년 12월 12일 IRC 채팅을 이용한 셰익스피어의 햄릿 패러디 공연.

개요

1993년 12월 12일, IRC-인터넷 릴레이 채팅에서 "햄넷"으로 개명된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패러디한 실험 공연이 열렸는데, 이 공연을 보기 위해 12명의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이 이벤트는 가상 극장에 대한 최초의 실험으로 인용됩니다.[1]

공연은 IRC의 #hamnet이라는 지정된 채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가상 극장에서 이 실험에 참여한 그룹의 이름을 따서, The Hamnet Players는 첫 번째 제작을 했습니다.[2]

역사

햄넷 플레이어는 가상 극장의 한 형태입니다. 이 극장은 1993년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 사는 영국 작가 스튜어트 해리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1993년 12월, 플레이어스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을 패러디한 "햄넷"의 데뷔작으로 인터넷 극장 개념을 데뷔시켰습니다.[3] Harris는 배우들과 관중들이 온라인으로 만날 수 있는 Hamnet이라는 이름의 채팅 채널을 만들어 IRC를 이용했습니다.[2]

1994년 4월, 햄넷 플레이어스는 셰익스피어 연극 "맥베스"를 패러디한 "PCbeth: 맥베스의 IBM 클론"이라는 두 번째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1995년 2월, 테네시 윌리엄스의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노면전차"의 줄거리는 그들의 세 번째 원작인 "#욕망이라는 이름의 IRC 채널"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서로를 볼 수 없었고, 함께 있지 않았으며, 교대로 이야기를 나누며, 단 하나의 집중력을 유지하도록 협력했습니다. 고전적인 익살극과 마찬가지로, 햄넷 대본은 심리적인 깊이의 특성화를 없애며, 주인공들의 껍데기만 남을 정도로 줄거리를 줄입니다.

햄넷 플레이어(Hamnet Players)라는 이름은 "햄"이라는 용어, "무능하거나 과장된 배우, 불평하거나 과잉 행동하는 배우",[4] "햄릿"의 말장난, 그리고 (인터)넷에서 "해밍 업"하기 위해 협회를 초대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플레이어의 출연진은 공연마다 바뀝니다.

과거생산분

  • 햄넷, 1차 생산 (1993년 12월 12일)[5]
  • 햄넷, 2차 생산 (1994년 2월 6일)
  • PCBeth(Macbeth의 IBM 클론), 첫 생산 (1994년 4월 23일)[6]
  • PCBeth(Macbeth의 IBM 클론), 2차 생산(1994년 7월 10일)
  • #desire라는 이름의 IRC 채널, 첫 제작 (1994년 10월 30일)[7]
  • #desire라는 이름의 IRC 채널, 2차 제작 (1995년 2월 12일)

함넷

1993년 12월 12일 전 세계 시간으로 20시 25분에 채널 #함넷을 통해 관객들에게 공개되었습니다.

그 연극은 80개의 대사로 구성되어 있었고, 19명의 캐스팅과 4명의 크루가 있었습니다. 햄릿의 주연은 샌디에고 출신의 "El_lngles"가 맡았는데, 그는 그가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하고, 공연을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오필리아는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출신의 "카렌"이 연기했습니다. 연극은 3개월 후인 1994년 2월 6일에 두 번째로 공연되었습니다.

배우들과 관객들은 이날 캐스팅을 마치고 온라인으로 만났습니다. 대본에는 '관객'[3]이라는 캐릭터가 펼치는 리액션이 포함됐습니다. IRC 채널의 특성상 사용자가 익명으로 마음대로 오가거나 돌발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창작진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3]

PCBeth(Macbeth의 IBM 클론)

1994년 4월 23일, 두 번째 해넷 플레이어스 작품인 《PCBeth》가 첫 선을 보였습니다. 이 작품은 JPEG 파일 형태의 가상 이미지 사용을 개척한 160줄짜리 패스티시였습니다. 이미지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제작자가 제공했습니다. 피씨베스는 1994년 7월 10일 '축제' 제작으로 다시 무대에 올랐습니다.

PCBeth의 첫 번째 제작에는 21명의 출연진과 제작진이 있었으며, 이들은 런던, 영국, 텔아비브, 남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PCBeth"와 "LadyM"의 역할은 "Bath", 서머셋"을 기반으로 한 "Gazza"와 페어뱅크를 기반으로 한 "Fem"이 맡았습니다. 줄거리가 보존되는 동안 대본은 현대화되었습니다. 두 번째 작품은 15명의 출연진과 제작진이 참여했는데, 주연은 밴쿠버를 기반으로 한 'Cubby'가 맡았고, 레이디M은 버지니아주 렉싱턴을 기반으로 한 'AlmaW'가 맡았습니다.[8]

#desire라는 이름의 IRC 채널

"#desire라는 이름의 IRC 채널"은 해넷 플레이어스가 제작한 세 번째 연극입니다. 이 공연을 위해 해넷 플레이어스는 셰익스피어를 떠나 테네시 윌리엄스의 희곡 "욕망이라는 이름의 노면전차"를 공연의 줄거리로 사용했습니다.[8] 1994년 10월에 한 번, 1995년 2월에 다시 두 번 공연되었습니다. 공연은 28명의 출연진과 제작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세 명의 주연은 블랑쉬를 연기한 헤더 와그너, 스텔라를 연기한 게일 키더, 그리고 '빅 슬롭 스탠리'를 연기한 게리 '가짜' 헌트가 맡았습니다.

공연 언어

햄넷 플레이어스 활동은 뚜렷하지만 상호 보완적인 두 가지 의미로 수행되었습니다. 우선, 그들은 예정되어 있고, 프로그램화된 사건들이었고, 그 중심은 극장과 같은 대본의 공연이었습니다. 역할, 단서, "세트", 처음부터 끝까지 실현될 줄거리가 있었습니다. 그 작품들에는 또한 물건들을 가까이에 둘 프로듀서, 감독 및 무대 관리자가 있었습니다.

"햄넷" 대본과 셰익스피어 대본의 가장 눈에 띄는 대조는 셰익스피어의 원작 희곡에 나오는 르네상스 영어의 고전 문학 언어와, 구어체, 종종 비속어, 현대 영미 영어의 레지스터였습니다. "햄넷" 대본에는 주인공들을 위한 부분뿐만 아니라 "엔터", "엑시트", "프롤로그", "장면" 그리고 심지어 "드럼"이나 "컬러즈"와 같은 무생물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텍스트적" 역할들 중에서 적어도 "프롤로그"의 역할은 해리스의 발명이 전부는 아니었습니다. 대본에는 이러한 "역할"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플레이어가 실제로 연극과 텍스트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배우들이 대사를 수행할 때, 그들은 텍스트를 온라인으로 다시 만듭니다. 원작 '햄릿'의 플레이 내 플레이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하나는 '프롤로그'라고도 불립니다. 온라인 IRC 공연의 특성상 '햄넷'의 이름이 붙은 등장인물의 수는 셰익스피어 연극의 원작에 비해 크게 적습니다. "해넷"에는 이름이 붙은 캐릭터가 7개밖에 없었는데, 원작에는 8개가 더 있었습니다. 일부 문자는 한 줄 또는 두 줄로 제한됩니다. 예를 들어 "폴로니우스"는 한 번의 죽음의 외침으로 축소됩니다.

"PCbeth" 대본은 주로 IRC-ese와 현대 구어체 영어로 다시 쓰여졌습니다. 작가인 게일 키더는 다음과 같이 현대 언어와 원작을 대조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제 앞에 보이는 단검인가요? 밤에 이 성의 으스스함을 울려요! [34] 

햄넷 플레이어스가 중계한 "햄릿"과 "맥베스" 패러디는 모두 IRC, 이메일, 그리고 다른 인터넷 관례와 관행을 무시했습니다. 햄넷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햄릿> Oph: 제안합니다. 

햄릿은 "그대를 수녀원에 데려가는" 대신 오필리아에게 # 수녀원이라는 이름의 IRC 채널에 가입하라고 지시합니다. 스크립트는 IRC 명령/조인을 인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슬래시는 명령어를 온라인으로 활성화하는 데 필요합니다. 물론 그 유일한 기능은 농담을 하는 것입니다.

"PCbeth"의 장면 1에서 PCbeth와 Banquo는 "KICK/BAN/DE-OP 전쟁을 위해 경의를 표합니다." 그들의 전쟁은 세 가지 IRC 명령으로 진행됩니다: /kick은 채널에서 사람을 일시적으로 제거합니다; /ban은 그 또는 그녀가 돌아오지 못하게 합니다; 그리고 /de-op은 채널을 관리하는 데 특정한 권한이 주어진 사람인 chanop 또는 "채널 운영자"라는 개념의 변형입니다. 누군가를 제거하는 것은 이러한 특권을 박탈하는 것입니다.

플레이어들은 종종 공연 중인 연극 이외의 연극의 스니펫을 인용했습니다. 그래서 '함넷'(gazza)의 첫 번째 공연에서 준비 중에 입장하고, 대학에서 집까지 운전해서 갔다가 다시 접속해야 한다고 공지했습니다. IRC에서 sign off 명령을 수행하는 화면에는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습니다.

*** 사인오프: 가자 (말, 말, 말을 위한 나의 왕국...) 

리처드 3세의 잘 알려진 대사를 참조하여 집에 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합니다. 또 다른 변형은 다른 셰익스피어 연극의 등장인물인 척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2월에 '햄넷'을 준비하는 동안 어떤 사람이 갑자기 그들의 별명을 <스펙터>에서 <맥베스>로 바꿨습니다. 이 조치는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녹취> 엉뚱한 플레이 관중. ;-) 

[9]

연주 스타일

The Hamnet Players가 제작하는 모든 공연은 IRC(Internet Relay Chat) 소프트웨어와 전세계 링크를 사용합니다. 전체 스크립트의 각 행에는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집니다. 캐스팅 후 배우들은 이메일로 대사와 큐를 받고 리허설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IRC에서 발표될 때 공연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제작진만이 알고 있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이전 프로덕션에서는 키보드를 통해 대사를 전달하는 발명적인 연기자들이 연극적 감정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대사를 조정하는 방법을 찾았습니다.[8]

Hamnet Players는 "라이브" 공연과 "매개" 공연 사이의 전통적인 이분법에 도전한 첫 번째 그룹 중 하나였습니다. Hamnet Players 공연은 호평을 받고 있는 실무자인 Richard Schechner가 Stuart Harris가 준비한 홍보 성명서에서 입증한 "매개되지 않은 라이브 공연"에 대한 대부분의 특징을 공유했습니다.

연극의 개념에 충실하게, 이 작품은 실시간으로 공연자와 관객들과 함께 선보이며, 자발적인 천재성과 임박한 재난에 대한 모든 기회를 수반합니다. "Hamnet"의 데뷔 공연은 제작자들의 온라인 접속이 끊기는 폭풍우로 인해 중단되었고, 제작자들이 대만을 통해 다시 접속한 후 연극을 다시 시작해야 했습니다. 두 번째 공연은 제작 중간에 우연히 햄릿을 죽인 "봇"에 의해 활기를 띠었습니다.[8]

Hamnet Players 공연은 기존의 극장 공간보다 온라인으로 초점을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연성과 긴장감이 특징이었습니다. 두 가지 주요 요인은 이러한 비상 사태를 촉진합니다: Harris의 의견에서 알 수 있듯이 고장에 대한 기술의 취약성, 그리고 다른 대화와 사람들의 "왔다 갔다 하는" 주의 산만함.[9]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The Hamnet Players". World News. Retrieved 29 October 2011.
  2. ^ a b Danet, Brenda; Bechar-Israeli, Tsameret; Cividalli, Amos; Rosenbaum-Tamari, Yehudit (2006). "Curtain Time 20:00 GMT: Experiments with Virtual Theater on Internet Relay Chat".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 (2): 0. doi:10.1111/j.1083-6101.1995.tb00326.x.
  3. ^ a b c Wunderer, Monika. "Presence in Front of the Fourth Wall of Cyberspace". Theatre in Cyberspace: Issues of Teaching, Acting and Directing.
  4. ^ "Ham". Dictionary.com. Retrieved 29 October 2011.
  5. ^ "Script for Hamnet". www.marmot.org.uk. Retrieved 16 August 2018.
  6. ^ "PCbeth:An IBM clone of Macbeth". www.marmot.org.uk. Retrieved 16 August 2018.
  7. ^ "Script, An irc Channel Named #desire". www.marmot.org.uk. Retrieved 16 August 2018.
  8. ^ a b c d "About the Hamnet Players". Hambule.co.uk. 1994-04-23. Retrieved 2011-10-27.
  9. ^ a b Danet, B., 2001: Cyberpl@y: 온라인 소통 (Oxford: Berg.)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