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커보커스
The Knickerbockers니커보커스 | |
---|---|
![]() 1965년 니커보커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버디 랜들, 보 찰스, 지미 워커, 존 찰스. | |
배경 정보 | |
기원. | 미국 뉴저지주 버겐필드 |
장르 | |
활성 연도 | 1964–1970; 1983; 1990 |
레이블 | 도전 |
과거 멤버 | 보 찰스 존 찰스 체루비노 건너뛰기 네드 브라운 피터 글리츠 버디 랜델 지미 워커 리치 워커 배리 매코이 존 들레오네 피트 로카시오 리치 코스탄자 에릭 스완슨 |
니커보커스()는 1964년 [1]뉴저지주 버겐필드에서 결성된 미국의 차고 록 밴드입니다.그들은 비틀즈와 닮은 것으로 알려진 1965년 히트곡 "Lies"를 발매했습니다.이 밴드는 1964년에 보 찰스(기타와 보컬)와 존 찰스(베이스와 보컬) 형제에 의해 결성되었습니다.각각 로버트와 존 카를로스 체치노)
역사
형성
찰스 형제는 1964년 버디 랜델(보컬과 색소폰)을 만날 때까지 변동하는 인원을 가지고 놀았습니다.윌리엄 크랜달).[1]Randell은 이전에 1958년에 "Short Shorts"로 히트를 친 Rockin' Saints and The Royal Tenes의 멤버였습니다.그들의 이름은 베르겐필드의 [1][2]동쪽에 있는 다음 마을인 테나플라이를 통과하는 니커보커 로드 (카운티 505호선)에서 따왔습니다.
클래식 라인업은 랜델, 찰스 형제, 드러머 지미 워커(이전에는 마세나와 함께 뉴욕에 기반을 둔 아트코 레코드 소속의 드러머 더 캐슬 킹스)로 구성되었습니다.그들은 프로듀서이자 싱어송라이터인 제리 풀러가 뉴욕 올버니에 있는 유니버시티 트위스트 팰리스를 연주하는 것을 발견했고, 그는 로스앤젤레스에 기반을 둔 챌린지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습니다.
초기 성공

니커보커스의 3년간의 녹음 내내, 그룹은 지칠 줄 모르고 현재의 트렌드를 추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Jerk Town"의 보컬은 포 시즌스에서 파생되었습니다.게다가, 이 노래의 가사는 당시의 다른 많은 인기 있는 노래들처럼 "핫 로드"를 언급합니다.이 그룹은 1965년 《Lies》로 톱 20 히트곡을 냈는데, 이 곡은 비틀즈의 하모니를 모방하고 너무 완벽하게 연주했기 때문에 음반은 종종 실제 비틀즈 [3]컷으로 의심받지 않는 사람들에게 전달되었습니다.
"Lies"의 후속작은 거의 히트를 친 "One Track Mind"였습니다.하지만, 밴드의 레이블인 챌린지 레코드는 배급을 감당할 수 없었고, 싱글은 45위에 그쳤습니다.니커보커스는 영화 Out of Sight (1966)에 출연했고 딕 클라크의 ABC-TV 프로그램 Where the Action Is (1965–1967)에 고정 출연했습니다.
사양
이 밴드는 보 찰스에서 강한 작곡가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레이블의 무능함으로 인해 방해를 받았고, 드러머 워커는 1968년 말에 더 위트니스 [4]브라더스에서 빌 메들리를 대체하기 위해 떠났습니다.워커는 또한 1970년대 대부분을 와이오밍으로 은퇴하기 전 1968년부터 1969년까지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3개의 솔로 싱글을 녹음했습니다.버디 랜델이 다음으로 출발했습니다.찰스 형제는 새로운 멤버 리치 워커(보컬), 에릭 스완슨(드럼), 배리 맥코이(키보드)를 추가함으로써 밴드를 계속 이어갔습니다.랜델은 1968년 드럼에 더 니커보커스에 재가입하여 1970년 다시 탈퇴했습니다(매코이는 게리 퍼켓 & 더 유니언 갭에 가입하기 위해 떠났습니다.랜델은 이후 유니 레코드("Randi, Randi"/"Be My Baby" 1970)와 스틸 울("No Sugar Tonight", 화이트 고래 1969), 블로토치("I Want Sugar always" 1971)와 같은 가명으로 싱글을 녹음했습니다.보 찰스는 1969년 콜럼버스 존스의 가명으로 화이트웨일 레코드에서 "Sharon Stay in Birmingham"을 녹음하는 등 그룹 외부에서도 활동했습니다. (화이트웨일과 유니 레코드의 싱글 모두 조지 토빈이 프로듀싱하거나 공동 프로듀싱했으며, 이후 1980년대 10대 가수 티파니를 프로듀싱 및 관리했습니다.)
기타사업 및 개혁
보와 존 찰스는 1971년에 가수 리치 코스탄자와 드러머 에릭 스완슨과 함께 모타운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고, 그곳에서 그들의 이름은 다른 버겐 카운티 마을의 이름을 따서 로디로 바뀌었습니다.그들은 모우스트 자회사에서 앨범 (1972년 발매)과 싱글 ("행복" / "내 평생 보기를 바래")을 녹음한 후 헤어졌습니다.
찰스, 랜델, 스완슨 형제는 1973년부터 1974년까지 플레이보이 레코드 아티스트 브렌다 패터슨을 잠시 후원했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미드나잇 스페셜의 에피소드에 출연했습니다.보 찰스는 1970년대 내내 이 밴드의 가장 눈에 띄는 멤버로 남아 있었고, 해리-오의 한 에피소드에서 라운지 가수로 출연했고,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사운드트랙에서 공연했습니다.
그 이후로, 니커보커스는 두 번이나 개혁했습니다.첫 번째는 198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버디 랜델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과 함께였습니다(그는 당시 종교에 기반을 둔 밴드 예루살렘 리버와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그들은 프로듀서 제리 풀러와 함께 데모를 녹음했지만 곧 헤어졌습니다.밴드는 1990년 플로리다주 델레이 비치에서 한 달간 공연한 후 다시 해체되었습니다.
이 밴드의 가장 인기 있는 두 개의 싱글은 박스 세트 너기츠입니다. 첫 번째 사이키델릭 시대(1965-1968)의 오리지널 아티팩트와 수많은 재발행 및 희귀 세트가 있습니다.밴드의 컴필레이션 앨범은 선데이즈 레코드에서 발매된 Fabulous Knickerbockers입니다.보와 존 찰스는 니커보커스의 선데이즈드 레코드 CD 발매에 참여했습니다.
색소폰 연주자 버디 랜델은 1998년에 사망했습니다.드러머 지미 워커는 2020년에 사망했습니다.
회원들
연대순으로 나열된 구성원:
참고: 거짓말에서 공연한 "클래식 라인업"의 구성원들은 굵은 글씨로 문자로 표시됩니다.
- 보 찰스 – 기타, 보컬 (1962–1972, 1983, 1990)
- 존 찰스 – 베이스, 보컬 (1962–1972, 1983, 1990)
- 스킵 체루비노 – 드럼 (1962–1963)
- 네드 브라운 – 키보드(1962)
- 피터 글리츠 – 드럼 (1963–1964)
- 버디 랜델 – 보컬, 색소폰, 드럼 (1964년 ~ 1967년, 1968년 ~ 1970년, 1990년, 1998년 사망)
- 지미 워커 – 드럼, 보컬 (1964년 ~ 1967년, 1983년, 1990년,[5] 2020년 사망)
- 리치 워커 – 보컬 (1967–1970)
- Barry McCoy – 키보드 (1967–1968)
- 존 들레오네 – 드럼 (1967–1968)
- 피트 로카시오 – 드럼 (1962)
- 리치 코스탄자 – 보컬 (1970-1972)
- 에릭 스완슨 – 드럼 (1970-1972)
타임라인

디스코그래피
싱글즈
- "당신만 있으면 돼요" / "Bite Bite Barracuda" (도전 59268) 1964
- "Jerktown" / "Room for One More" (도전 59293) 1965
- "거짓말" / "커밍 제너레이션" (도전 59321) 1965년 미국 20위
- "One Track Mind" / "I Must Be Doing Something Right" (도전 59326) 1966년 미국 46위
- "High on Love" / "Stick With Me" (도전 59332) 1966년 미국 94위
- "들판의 예배당" / "Just One Girl" (도전 59335) 1966년
- "사랑은 새다" / "소문, 가십, 말이 사실이 아니다" (도전 59341) 1966
- "Please Don't Love Him" / "Can You Help Me" (도전 59348) 1966
- "그것이 당신을 무엇으로 만드나요?" / "달콤한 푸른 들판" (도전 59359) 1967
- "Come and Get It" / "Wishful Thinking" (도전 59366) 1967
- "I Can Do It Better" / "넌 절대 혼자 걷지 않을 거야" (도전 59380) 1967
- "A Matter of Fact" / "그들은 그들의 삶을 위해 달렸다" (도전 59384) 1968
- "Happiness" / "Hope I See it In My Lifetime" (LODI 역) (MoWest 5003) 1971년
- "당신만 있으면 돼요" / "저크타운" (재발행) (선데이즈드 #알 수 없음) 1989년
- "이 꿈을 그만 꾸어야겠어요" / "크리스마스를 위한 소녀를 원해요" (선데이지 SEP 186) 2006.
EP
- "거짓말" / "커밍 제너레이션" / "원 트랙 마인드" / "나는 무엇인가 제대로 하고 있어야 한다" (런던 10178) 1966년
앨범
- Lloyd Taxton Presents... (도전 1264) 1965
- 저크 & 트윈 타임 (챌린지 621) 1966
- 거짓말 (도전 622) 1966 미국 제134호
- 로디 (MoWest MW 101L) 1972
- 환상적인 니커보커스! (선데이티드) 1989년
- 위대한 로스트 니커보커스 앨범! (선데이즈) 1992
- 히트, 희귀, 미발행 컷 등...(일광) 1997
- 니커보커스와 함께 록킹! (선데이즈드 5154) 2006.
레퍼런스
- ^ a b c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oncise ed.). Virgin Books. pp. 719/720. ISBN 1-85227-745-9.
- ^ [1][영구 데드링크]
- ^ Deming, Mark. "The Knickerbockers: Biography". AllMusic. Netaktion, LLC. Retrieved June 8, 2020.
- ^ Tobler, John (1992). NME Rock 'N' Roll Years (1st ed.). London: Reed International Books Ltd. p. 182. CN 5585.
- ^ "니커보커스의 지미 워커가 죽는다", 노이즈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