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스파이

The Magazine Spies

매거진 스파이들홀리 마을에서 온 영국포스트 펑크 밴드였다.이들은 1979년과 1980년에 활동했으며, 큐어 댄스, 바보 댄스,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밴드 멤버들에게 눈에 띈다.'매거진 스파이'는 '매그피'에 관한 단어극인 '매그스파이'와 '매그스파이'로도 알려져 있다.

역사

오리진스

1979년 초창기 라인업은 호리 펑크 록 밴드 록조(1976~1978)의 원조 멤버인 게리 보우(보컬스), 사이먼 갤럽(베이스 기타), 스튜어트 힌튼(기타), 마틴 오디쉬(드럼스)로 구성됐다.그들은 마티외 하틀리(키보드)[1]와 함께 했다.록조에서 마그스피스로의 이 밴드의 이적은 그들의 Raw Records와의 이별의 회사와 동시에 그들의 펑크 출신에서 포스트 펑크와 새로운 파동을 탐구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2]록조처럼 마그스피들은 그 중에서도 핼리와 크롤리를 중심으로 규칙적인 플레이를 계속했다.[3]록조, 더 맥스피스 모두 베이시스트 갤럽의 형인 데이브 갤럽과 리치 갤럽이 관리하고 홍보했다.[2][4]

큐어, 컬트 히어로, 녹음

1979년 10월, 갤럽과 하틀리는 새로운 큐어 라인업에 합류하기 위해 맥스피스 팀을 떠났다.[5][6][7]하지만 같은 달 동안, Magspies는 Cult Hero의 녹음 세션의 일환으로 런던에 있는 Morgan Studio에 들어갔다.[7][8]하틀리와 사이먼 갤럽은 둘 다 이 세션에서 컬트 히어로의 멤버로 활동했다.컬트 히어로의 녹음 사이사이에서 큐어 앤 리치 갤럽의 로버트 스미스는 '라이프 블러드', '봄스', '디시소노어', '게리의 전쟁' [7]등 리치 갤럽의 새 음반사 댄스바인즈 댄스의 곡들을 제작했다.[9]사이먼 갤럽은 베이스에 릭 카이트가 등장하는 '가리의 전쟁'과 별개로 매그피스 음반에 베이스를 선보였지만 하틀리의 키보드 연주에는 등장하지 않았다.[8]백 보컬은 당시 사이먼 갤럽의 여자친구였던 캐롤 톰슨이 맡았다.[2]

맥스피스 Mk. II

이후 맥스피스는 갤럽을 베이시스트 리처드 '릭', 나중에 크롤리 출신의 '리치' 연으로 대체했다.[10]이 밴드는 새로운 키보드 연주자를 찾기보다는 두 번째 기타리스트인 스튜어트 커란을 영입했다.Curran의 이전 밴드 Crime은 1979년 동안 Magspies와 함께 Holley와 Crawley를 중심으로 공연을 했었다.[11]1980년 3월, 보우(보우), 힌튼(기타), 커란(기타, 키보드), 카이트(바스/백 보컬), 오디쉬(드럼스)의 새로운 라인업이 런던 마르케 클럽에서 큐어를 위해 오픈되었다.[8]같은 해 말, Magspies 멤버들은 프랑스에서 투어 데이트를 위해 Cure와 함께 여행했다.[2]

1980년 7월 Dance Booms Dance 레이블은 이전의 Morgan Studios 음반에서 "Yeah Yeah Yeah" 분할 발매 7" 싱글을 발매했다.이 음반에는 한 쪽에는 '라이프 블러드', 다른 쪽에는 매그/스파이스의 '봄브스'가, 한쪽에는 '예예예예예'와 '푸시우시'가 수록됐다.리치 갤럽이 디자인한 종이와 스티커 소매로 손으로 포장한 싱글은 100장만 눌렀다.개별 사본에는 빨간색,[12] 노란색,[13] 녹색[14] 또는 파란색[15] 스티커가 붙어 있었으며, 큐레의 공식 뉴스레터인 클리닉을 통해 우편 주문으로 75펜스에 팔렸다.[8]이후 인터넷 출처들은 이 발매일이 1979년으로 날짜가 잡혔는데, 아마도 이 발매가 1979년에 원래의 라인업과 함께 기록되었기 때문일 것이다.[16]Mag/Spys의 "Life Blood"와 "Bombs"는 후에 부틀레그 레이블 77 Records가 발행한 1998년 영국 펑크 컴파일 앨범 England Asses to Me, Vol II에 다시 등장했다.

1980년 후반기에 맥스피 가족은 해체되었다.이듬해 커란과 하틀리가 크라이를 결성했다.갤럽도 1982년 크라이에 합류했고, 1981년부터 1983년까지 몇 번의 라인업과 이름이 바뀐 후, 이 밴드는 바보 춤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

  1. ^ 라인업 출처:
    Smith, Robert – 1980년 3월 3일자 클리닉 이슈의 현재 상태, 페이지 9
    갤럽, 리치 – 1980년 9월 4일자 클리닉 호에서 근친상간 이야기, 페이지 11~12
    사이먼 갤럽 & 매티외 하틀리는 L. 바바리안, 스티브 서덜랜드, 로버트 스미스(1987) 줌바북스(Zomba Books)가 쓴 '10개의 상상적 해(passim)'에서 인용했다. ISBN0-946391-87-4
    Ordish, Martin – Martin "Oddy" Ordish 업데이트s Us, 2006년 1월 6일, 그리고 2006년 1월 8일, Odie Ordish Remotes, Retriefits, 2006년 1월 8일, Rouse Records에서 인용.
  2. ^ a b c d 2006년 오디시
  3. ^ 바바리안, 서덜랜드 & 스미스, 1987년
  4. ^ 갤럽, Ric 1980
  5. ^ 1980년 3번 클리닉, 페이지 3
  6. ^ Sutcliffe, Phil – 소년들소리에서 계속 그네를 탄다(영국), 1979년 12월 15일, 페이지 22
  7. ^ a b c 바바리안, 서덜랜드, 스미스, 1987년
  8. ^ a b c d 갤럽, 리치, 1980
  9. ^ 1980년 4번 클리닉(열정)에서 인용한 사이먼 갤럽, 매튜 하틀리, 리치 갤럽.
  10. ^ 예예예 레코드-소매 노트, 1980년
  11. ^ Curran, Stuart in Baucks Dance Electric (프로모션 투어 프로그램), 1985, 페이지 10
  12. ^ "The Obtainers · Yeh yeh yeh, Pussy wussy / Lifeblood, Bombs 7" EP United Kingdom Dance Fools Dance". Thecurerecords.com. Retrieved 27 July 2017.
  13. ^ "Photographic image : Obtainers single : Yellow" (JPG). Picturesofyou.us. Retrieved 25 May 2020.
  14. ^ "Photographic image : Obtainers single : Green" (JPG). On-fiction.com. Retrieved 25 May 2020.
  15. ^ "Photographic image : Obtainers single : Blue" (JPG). On-fiction.com. Retrieved 25 May 2020.
  16. ^ "DETOUR RECORDS – The Scooter Scene and Beyond". www.detour-records.co.uk. Retrieved 27 July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