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즈베리 리뷰

The Salisbury Review
솔즈베리 리뷰
Borisboat.png
솔즈베리 리뷰 2021년 봄 커버
편집자마일스 해리스
분류
빈도분기별의
설립년도1982
나라영국
웹사이트www.salisburyreview.com

솔즈베리 리뷰(Salisbury Review)는 영국의 보수적인 사상을 담은 분기별 잡지다. 그것은 솔즈베리 그룹에 의해 1982년에 설립되었는데, 그는 전통적인 지적 보수주의 사상을 분명히 하고 더 나아가게 하려고 노력했다.

리뷰는 19세기 말 영국 수상인 솔즈베리의 3대 마르퀴스인 로버트 가스코인-세실(Robert Gascoyne-Ceil)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철학자 로저 스크루튼은 18년 동안 편집장을 지냈고 클라리지 프레스를 통해 이를 출판했다. 2000년부터 편집자는 역사학자 겸 사기꾼 A. D. 하비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편집장은 메리 동굴이었다. 2012년 현재 편집자는 의사 및 저널리스트인 마일스 해리스다.

기고자들은 안토니우스 플라이, 크리스티 데이비스, 에녹 파월, 마거릿 대처, 바클라프 해블, 휴 트레버 로퍼,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노먼 스톤, 테오도르 달리름플, 로저 왓슨, 피터 멀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역사

출판물은 1982년 자유시장의 대처파 지지자들에 반대하여 '보수의 의미'(1980년)에서 전통적인 보수주의를 옹호한 로저 스크루튼을 편집자로 선정하여 창간한 솔즈베리 그룹이다. 솔즈베리 그룹 자체는 1978년에 "좋은 정부는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는 솔즈베리 3대 마퀘스의 견해를 지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2년 9월 21일자 <관객기>에서 스크루튼은 자신이 "명백하게 보수적인 저널에 쓸 사람을 찾는 어려움"이라고 본 것을 설명한 " 창백한 너머의 내 삶"이라는 기사를 썼다. 그는 구독자를 찾는 것이 처음에는 어려웠으며 모리스 코울링이 "철학적으로 [보수주의]를 캡슐화하려고 하는 것은 미국인들이 할 수 있는 기이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편집장이라는 것도 썼다.

"수천 시간의 무급 노동력, '프라이빗 아이'에서의 흉측한 인격 암살, 3건의 소송, 2건의 심문, 1건의 제명, 영국에서의 대학 경력 상실, 끝없는 경멸의 리뷰, 토리당 의혹, 도처에서 점잖은 진보주의자들의 증오 등을 내게 들였다. 그리고 그럴 만한 가치가 있었어."

허니포드 사건

1984년 요크셔브래드포드에 있는 드러먼드 중학교의 교장 레이 허니포드와 관련된 논란이 솔즈베리 리뷰에 많은 홍보를 했다. 스크루튼에 따르면: "이 에피소드는 우리의 첫 번째 큰 성공이었고, 우리가 필요로 하는 600개의 구독으로 이어졌다."

1984년[1] 허니포드가 쓴 리뷰 기사는 민족성, 문화, 동화, 그리고 교육 성과에 관한 주제를 토론했다.[2] 그는 이미 1982년 타임즈 교육 부록(TES)과 지역 브래드포드 논문, 그리고 1982년 11월 테스의 확대 기사에서 자신의 견해를 두 개의 편지로 공개한 바 있다.[2] 그 속에서 그는 특히 이민자 가정의 가정환경에서 통합의 책임과 교육성과의 제약요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여러 가지 포인트 리허설을 했다. 그는 학교에서 다문화주의를 잘못 사용하고, 교과서 자료의 정밀 조사 형태로 '정치적 올바름'이라고 본 것을 공격했다.

1984년 솔즈베리 리뷰 기사 "교육과 인종 - 대안적 견해"[1]도 비슷한 근거를 다루었지만,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다. 허니포드는 그해 발표된 브래드포드 교육목표에 관한 브래드포드 평의회 지침의 맥락에서 1982년 테스 기사 이후 이미 지역 교육 당국과 논의해 왔으나 징계를 받지 않았다. 두 번째 기사 이후 그는 징계를 받았고, 또한 그의 해고를 위한 캠페인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솔즈베리 리뷰 기사가 출판된 지 약 2년 후 해고되었다가 복직되었다가 조기 퇴직을 당했다.[3]

참고 항목

참조 및 출처

참조

  1. ^ a b Honeyford, Ray (27 August 2006). "Education and Race - an Alternative View". The Daily Telegraph. London: TMG. ISSN 0307-1235. OCLC 49632006. Retrieved 10 February 2012. [허니포드 1984년 기사 재현]
  2. ^ a b 부고: Ray Honeyford Daily Telegraph, 2012년 2월 8일
  3. ^ Parkinson, Justin (9 February 2012). "BBC News - Ray Honeyford: Racist or right?". bbc.co.uk. Retrieved 10 February 2012. Ray Honeyford

원천

  • Halsted, Mark. (1988) 교육, 정의문화적 다양성: Honeyford Affair의 시험, 1984-8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