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즈윙크스

The Spizzwinks
예일 스피즈윙크(?)
Spizzwinks group with logo 2019.jpg
배경 정보
년 활동1914년,[1] 1940년– 현재
웹사이트http://www.spizzwinks.com
회원들테너 1세
앨릭스 라템 21
타비 울프우드 21+1
존 파시가22

테너 2세
데릭 데멜 21+1
니힐 할레 22년
앨릭스 로슨 23년
벤 크레이머 23년
에멧 솔로몬 23년

바리톤
브렌던 로즈 21년
브라이언 커크먼 21+1
에이몬 고우처'22
세바스티안 로즈너 로드리게스 22
제이크 래츠 23년

베이스
재크 리 21
윌 살라베리 22
아드리안 카일 벤존 23년
제이미 김'23년

피치파이프
벤 크레이머

비즈니스 관리자
윌 살베리

Spizzwinks(?)로 양식화된 Spizzwinks예일대 학부생들아카펠라 노래 그룹이다. 1913년 말 설립된 스피즈윙크(?)는 1914년 초 첫 공연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미국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아카펠라 그룹 언더클래스 멤버다.[1][3]

연도에 따라 정확한 숫자로 구성된 약 16명의 남성들로 구성된 스피즈윙크 부부는 광범위한 국제 및 국내 투어 일정을 통해 콘서트를 열고 마스터 클래스를 가르친다. 스피즈윙크 약속은 예일 칼리지의 가을, 겨울, 봄, 여름 휴강 기간 동안 매년 네 번의 주요 투어를 통해 각 멤버들에게 그룹 활동 3년 동안 6개 대륙과 고향에서 투어를 할 것을 보장한다. 이 단체는 501(c)(3) 비영리 단체다.[4]

역사

1913년 예일대의 역사적인 선술집인 모리의 템플 바에서 네 명의 청년이 만나 보다 심각한 위펜푸프(예일 칼리지 선후배들만을 합친 것)에 대한 가벼운 대안을 만들었다.[5] 그들은 1906년의 콘 블라이트가 기만적으로 귀속되었던 신화 속의 생물을 가리키는 "스파이즈윙크"를 결정했다. 예일 배너 편집장은 이 신생 그룹의 이름의 철자를 어떻게 써야 할지 확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그 기초를 알리는 헤드라인에 괄호 안에 물음표를 추가했다. 이 그룹은 "스파이즈윙크(?)"의 외모를 좋아했으며, 이 상징을 명칭의 일부이자 로고로 공식 채택했다.[5]

음악과 유머

'윙크 레퍼토리'는 예일대의 전통 노래, 조지 거슈윈, 포터, 레오나드 번스타인과 같은 작곡가의 노래, , MIKA 같은 현대 예술가들의 흥겨운 음악 등 그룹의 현재와 전 멤버들에 의해 전적으로 편곡된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틀즈, 아델.[6] 이 그룹은 특유의 "크게 웃는" 유머를 중요시하며, 전형적인 콘서트는 다양한 촌극과 다른 코미디를 포함한다.

매년, Spizzwinks(?)는 전국에 걸쳐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으로 턱시도나 꼬리로 100회 이상의 콘서트를 공연한다.[7] 그들은 백악관, 매디슨 스퀘어 가든, 카네기 홀, 미국 국무부, 전문 스포츠 행사뿐만 아니라 컨트리 클럽, 요트 클럽, 교회, 학교, 리조트에서 공연을 했다.[8] 이 단체는 CD와 다른 상품들을 판매하여 순회 공연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는데, 이 상품들은 완전히 자체 자금이기 때문이다.[9]

주목할 만한 동문

음반 목록

스피즈윙크(?)는 34장의 정규 앨범을 냈으며, 현대에는 적어도 2년에 한 번씩 앨범을 낸다. 이러한 준비로, 모든 멤버들은 그룹과 함께 전문적으로 녹음된 두 장의 앨범에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 Spizzwinks의 노래 (1948)
  • 스피즈윙크(1950)
  • 예일 스피즈윙크의 노래 (1956년)
  • 블루 스카이 (1957)
  • 뉴호라이즌스 (1960)
  • Spizzwinks와의 어제(1961년)
  • 50주년 기념 앨범 (1964)
  • 예일 스피즈윙크(1967년)
  • 헤이 미스터 아인차 갓 노 블루? (1969년)
  • 립 서비스 (1971)
  • 상상(1973년)
  • A Touch Of Class (1976)
  • 문제 발생(1979)
  • Puttin' On the Ritz(1980)
  • 증기열(1982)
  • 후회는 없다(1984)
  • 넛지, 윙크 윙크(1989)
  • The Hour Of Power(1991)
  • 원코인 플레이(1993)
  • 모든 질문(1995)
  • 아이네 클라인 윙크무식(1997)
  • 구두 닦기(1999)
  • 포 스코어 7(2001)
  • 고마워, (2003)
  • 90주년 기념 컬렉션 (2004)
  • Simply Put (2005)
  • 장갑 꺼짐(2007)
  • 알람의 원인 (2009)
  • 더 머라이어 (2010)
  • The Elephant in the Room(2011년)
  • 네버(2013년)
  • 더 브라더십(2015년)
  • 고향(2017년)
  • 추적등(2019년)

참조

  1. ^ Jump up to: a b 1914 예일 데일리 뉴스 기록 보관소, 1914년 1월 20일, 6페이지, 대학교 공지사항
  2. ^ 예일 데일리 뉴스 기록 보관소, 1940년 10월 4일, 8페이지, 대학 공지사항
  3. ^ 최고령 하급생 아카펠라 그룹 웨이백 머신에 2006-11-10년 아카이브 그들은 또한 예일 휘펜푸프(선배들에 한정된 것)[citation needed] 다음으로 나이가 많은 아카펠라 그룹이다.
  4. ^ [1]
  5. ^ Jump up to: a b "Spizzwinks(?) history". Yale.edu. 2007-03-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14. Retrieved 2012-02-27.
  6. ^ "Winkipedia - View Arrangement". Yalespizzwink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17. Retrieved 2012-02-27.
  7. ^ "The Yale Spizzwinks(?) Concerts and Tou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1-02. Retrieved 2007-01-25.
  8. ^ "Spizzwinks(?) concerts and tours". Yale.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01. Retrieved 2012-02-27.
  9. ^ "Spizzwinks store". Yale.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14. Retrieved 2012-02-27.
  10. ^ Bobby Lopez 2013-02-09 아카이브 오늘
  11. ^ 조나단 콜튼;콜튼 인터뷰
  12. ^ "Chris Beck". New York Times. 2006-09-23. Retrieved 2012-02-27.
  13. ^ 노아 에메리치
  14. ^ Rob Bell 2007년 7월 17일 웨이백 머신보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