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커드
The Wreckard레커드 | ||||
---|---|---|---|---|
![]() | ||||
스튜디오 앨범 | ||||
방출된 | 2002년 1월 1일 ( | |||
녹음된 | 1996-2000; 영국 런던의 다양한 장소 | |||
길이 | 46:47 | |||
라벨. | 럭키 피에르 뮤직 | |||
프로듀서 | 케빈 맥마흔, 워른 리빙시 | |||
프릭 연대기 | ||||
|
더 레커드는 미국 인더스트리얼 록 밴드 프릭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이 앨범은 2002년 1월 1일 프런트맨 케빈 맥마흔의 자체 음반사인 럭키 피에르 뮤직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매되었습니다.이 앨범은 맥마흔과 1995년 프릭의 자칭 데뷔 앨범을 프로듀싱한 영국의 음반 제작자 워른 라이브지가 제작했다.
이 앨범의 제작은 Prick의 이전 음반사 Nothing/Interscope Records에 의해 거부되었는데, 이는 창조적인 차이와 음반사들의 상업적 기대 때문이었다.그것은 3,000부가 [1]팔렸다.발매된 같은 해에 맥마흔은 기타 연주자 그렉 자이딕, 전 럭키 피에르 베이시스트 톰 래쉬, 전 찌르기 웨스트 드러머 앤디 쿠비스제프스키가 참여한 프릭의 새로운 라인업을 구성했다.이 밴드는 2002년과 2003년 사이에 앨범을 [2]홍보하기 위해 순회 공연을 했다.
배경
1995년 데이비드 보위와 나인 인치 네일스의 Outside Tour를 지원한 후, Prick은 활동을 중단했다.1996년 케빈 맥마흔은 Nine Inch Nails on Nights of Nothing 투어와 함께 기타를 연주했고 그들과 [3][1]함께 Prick 트랙을 연주했다.1996년 이후, 그는 새로운 프릭 앨범을 녹음하기 위해 런던으로 이사했고 프릭 드러머 개럿 [2]해먼드와 함께 데모를 녹음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음 세션이 끝난 후, 나인 인치 네일스의 매니저 존 맬 주니어는 맥마흔에게 인터스코프 레코드가 더 상업적이고 라디오 친화적인 노래를 원했기 때문에 새로운 앨범의 제작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이것은 맥마흔이 이의를 [2][1]제기했는데, 맥마흔은 음반 회사에 따르기를 거부했다.이것은 결국 맥마흔과 무음 레코드 사이에 불화를 일으켰다.2002년 플레인 딜러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트렌트와의 진짜 싸움은 없었다.두 번째 앨범 녹음을 시작하기로 되어 있던 날, 음반사에서 하지 않기로 결정했어요.그들은 라디오 친화적인 노래를 더 원했다.그리고 라디오를 듣지 않기 때문에, 나는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몰랐다.누가 [2]써달라고 하는 곡은 쓸 수 없어요.
맥마흔은 해먼드와 프릭의 셀프 타이틀 데뷔 [3]앨범을 제작한 영국 프로듀서 워니 라이브지의 도움을 받아 독립적으로 데모 작업을 했다.1999년, 그는 Interscope로부터 그의 노래에 대한 판권을 되찾았다.그리고 나서 그는 출판 준비 작업을 시작했고, 그는 그것을 "긴 죽음"[2]이라고 표현했다.
2000년과 2001년 겨울, 두 개의 트랙, "Wet Cat"과 "I Know It's Going to Hurt"가 온라인에 게시되었다.그 뒤를 이어 [3]앨범의 온라인 발매가 이어졌다.
크리티컬 리셉션
점수 확인 | |
---|---|
원천 | 순위 |
불사조 | ![]() ![]() ![]() ![]() |
피닉스의 애니 잘레스키는 "레즈너의 야심차게 실험한 나인 인치 네일스 디스크처럼, 레커드는 심하게 비틀린 소닉 기초와 급진적인 컷 앤 페이스트 가공을 위해 라디오 친화적인 산업용 록을 포기한다."라고 말하며 앨범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그녀는 또한 이렇게 썼다: "더 쉽게 들을 수 있는 측면에서, 맥마흔은 잡음 폭풍과 예술적인 보위 에스크 [4]팝송의 균형을 맞춘다."
트랙 리스트
모든 곡들은 케빈 맥마흔이 작사했다.
- '세 번의 호출음' – 3:45
- '습기 고양이' – 3:06
- "Into My Arms" – 3:37
- '아프다는 걸 알아요'– 2:03
- '대부' – 3:48
- "개체" – 2:45
- "배우" – 2:21
- '집남편'– 4:15
- "Without It" – 2:45
- "내 분석가가 말한다"– 4:17
- "Darling Dead" – 2:42
- '휴머니스' – 3:20
- '내일' – 4:06
- "Universe" – 3:57
인사
- 찌르다
- Kevin McMahon – 보컬, 제작, 엔지니어링, 믹싱(3-5, 7, 10-11, 13-14); 녹음(10, 14); 기타(1-13); 베이스(1-2, 4-12); 키보드(1-13); 드럼 프로그래밍(1-2, 4-6, 8-11); 피아노(14); 소음
- 개럿 해먼드 – 기타(1, 7, 9), 베이스(1, 4, 7, 9, 14), 드럼(1, 4, 7, 14), 드럼 프로그래밍(1), 타악기(6), 샘플러(6), 노이즈(14), 백보컬(1, 7, 9, 14), 믹싱(1, 4, 7-9, 14)
- 기타 뮤지션
- 존 구시아르도– 기타 (10)
- Gary King – 드럼 (3, 13)
- Warne Livesey – 베이스 (3, 13), 드럼 프로그래밍 (3, 13), 프로덕션 (3, 13), 믹싱 (3, 13), 녹음 (3, 13)
- Num Bargets – 기타(6), 드럼(12), 믹싱(1-2, 6, 8-12), 녹음(1-2, 4-12)
- 기타 담당자
- Greg Zydyk – 마스터링, 추가 엔지니어링 (7)
- Frank Vale – 마스터링
- Jim Bryant – 추가 엔지니어링 (7)
레퍼런스
- ^ a b c Wolff, Carlo. "Prick Rising". Cleveland Scene. Retrieved March 14, 2014.
- ^ a b c d e Cherry, Robert (December 27, 2002). "Regrouping in Cleveland". The Plain Deal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3, 2003. Retrieved March 10, 2014.
- ^ a b c Perez Jr., Robert. "Prick". luckyprick.net. Retrieved March 14, 2014.
- ^ a b Zaleski, Annie (May 23–29, 2003). "Prick - The Wreckard". The Phoenix. Retrieved March 1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