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마 에스트린

Thelma Estrin
델마 에스트린
Thelma and gerald estrin.jpg
델마 에스트린은 그녀의 남편 제럴드와 함께.캘리포니아 산타모니카.2007년 9월.
태어난
델마 오스테른

(1924-02-21)21 1924년 2월
죽은2014년 2월 15일(2014-02-15) (89세
모교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배우자제럴드 에스트린
아이들.마고 에스트린
주디 에스트린
데보라 에스트린
수상풀브라이트 장학금 (1963)
IEEE 100주년 메달 (1984)
IEEE 하라덴 프라트상 (1991)
과학 경력
필드컴퓨터 공학
기관컬럼비아 장로 병원
로스앤젤레스 밸리 칼리지
바이즈만 과학 연구소
UCLA
논문아바레아 방법에 의한 환형판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 결정 (1951)
박사학위 자문위원토머스 J. 히긴스[1]

델마 에스트린(Telma Estrin, 1924년 2월 21일 ~ 2014년[2] 2월 15일)은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겸 엔지니어로서 전문가 시스템 및 생물의학 공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일을 했다.그녀는 의료와 의학 연구에 컴퓨터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사람 중 한 명이었다.그녀는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 컴퓨터과학과의 에메리타 교수였다.

조기생활과 교육

델마 오스테른은 뉴욕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공립학교를 다녔다.수학에 대한 초기 적성을 보여준 그녀는 뉴욕 시티 칼리지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시작했고, 처음에는 회계사가 될 계획을 세웠다.시티 칼리지에서 그녀는 1941년에 제럴드 에스트린을 만났다. 그녀는 17살 때 결혼했다.제럴드 에스트린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대에 입대했을 때, 델마는 1942년 스티븐스 공과대학에서 3개월 동안 공학 조교 과정을 밟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라디오 수용체 컴퍼니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공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

그녀는 라디오 수신기 회사에서 일하면서 공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전쟁이 끝난 후, 텔마와 제럴드 에스트린은 둘 다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에 입학했고, 그곳에서 전기공학 학위를 받았다.텔마는 1948년 BSc, 1949년 MSc, 195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4]

프린스턴과 바이오의학 공학 연구 1951-1953

그들은 1950년대 초 뉴저지 프린스턴으로 이주했는데, 제레인트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 가입하여 존 노이만을 중심으로 결성된 그룹과 인연을 맺었다.텔마는 뉴욕시 컬럼비아 장로교 병원신경학 연구소 뇌전파학부에서 연구직을 취득하여, 그곳에서 생물의학 공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

UCLA로 이동 – 1953

제레인트는 1953년에 UCLA에서 교수직을 취득했고 그들은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했다.델마의 남편이 UCLA에서 일하기 시작했을 때, 그녀 역시 족벌주의 때문에 그곳에서 일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는 캘리포니아 산 페르난도 밸리의 로스앤젤레스 밸리 전문대학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그곳에서 제도 작업을 가르쳤다.그 직후 그녀와 제레인트는 이스라엘로 가서 1954년 그곳에 최초의 컴퓨터인 Weizmann Automatic Computer, 즉 WEIZAC를 만드는 것을 도왔다.그들이 돌아온 후, 텔마는 1960년에 UCLA의 두뇌 연구소와 인연을 맺게 되었고, 1961년에 연구소의 데이터 처리 연구소를 조직하였고, 1970년부터 1980년까지 데이터 처리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6]재임 기간 동안 그녀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자파그램(EEG)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최초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시스템 중 하나를 설계하고 개발했다.[7]

UCLA 컴퓨터공학부 교수 - 1980

1980년, 그녀는 공대 컴퓨터공학부 교수직을 수락했다.1982년부터 1984년까지 그녀는 국립과학재단에서 전기, 컴퓨터, 시스템 연구 부서장으로 근무했다.[7]그녀는 IEEE 의학과 생물학 협회의 엔지니어링 사장과 IEEE의 첫 여성 부사장을 역임했다.[8][9]

여성학과 컴퓨터 과학

에스트린은 1996년 여성학 및 컴퓨터 과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두 학문 모두 "1960년대 학문으로서 진화했지만, 매우 다른 길을 따라 진화했다"[10]고 밝혔다.이 논문에서 에스트린은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그 교육학적 가치관을 컴퓨터 과학이 "소수자와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더 관련성 있게 될 수 있는 방법"[10]과 연결시킨다.에스트린은 여성학에서 창업 후 25년이 지나도록 '여성의 건강과 생식권 탐구를 위한 도구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하는 컴퓨팅과 생물의학공학의 이공계 하위 분야를 꺼내지 않고, 대신 휴머니티를 통한 '여성의 즉석 경험'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한다.Ies [10]규율'여성학' 에스트린은 "이러한 학문들을 본질적으로 남성적인 것으로 여기는 가부장적 역사에서 과학기술의 세계를 확장하는 그림"[10]이라고 쓰고 있다.그녀는 여성학이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서 성별의 요소를 이해'하고자 하며, '여성의 기술 접근성 확대'를 위해 필요하다고 쓰고 있다.[10]

수상 및 수상

1984년, 그녀는 IEEE 100주년 메달을 받았다.[7]1989년 그녀는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에서 명예 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녀는 1963년 간질병 환자의 EEG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Weizmann Institute에서 풀브라이트 펠로우십을 받았다.[1]그녀는 캘리포니아 연구원은 선진화 공학에 대해서는 공로상은 여성 공학 학회에서(1981년) 뛰어난 기사 올해 상의 여성 학회에 의해 Computing,[11]에 첫 봉사상을(1982년)IEEEHaraden 프랫 상(1991년)[12]고는 지방 구현 상으로 받았다.m국립과학재단.그녀는 IEEE의 펠로,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펠로, 미국 의학생물 공학 연구소의 창립 펠로였다.

사생활

에스트린은 1991년 7월 67세의 나이로 은퇴했다.[13]델마 에스트린은 세 딸이 있었다.마고 에스트린은 의사, 데보라 에스트린은 컴퓨터 과학자, 주디스 에스트린은 기업 임원이다.[6][2]

참조

  1. ^ a b Nebeker, Frederik (1994). Sparks of Genius: Portraits of Electrical Engineering Excellence. New York: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SBN 978-0780310339.
  2. ^ a b "Thelma Estrin's Obituary by Los Angeles Times". Legac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16. Retrieved 18 July 2014.
  3. ^ "Thelma Estrin". Society of Women Engine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7. Retrieved 2011-04-07.
  4. ^ "Thelma Estrin, Professor-in-Residence". UCLA Computer Science Department Peop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10. Retrieved 19 February 2018.
  5. ^ 스탠리, 가을, 발명의 어머니, 딸: 개정된 발명사 노트 (Methuschen, NJ, London: Herburse Press, 1993), 645–9
  6. ^ a b "Dr. Thelma Estrin". WITI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1. Retrieved 4 August 2011.
  7. ^ a b c Gurer, Denise (June 2002). "Pioneering Women In Computer Science". SIGCSE Bulletin. 34 (2).
  8. ^ "Past Officers –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2. Retrieved 2016-01-04.
  9. ^ "IEEE Nominations and Appointments Committee History of Service Manual 2014" (PDF). IEEE – The world's largest profess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EEE.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31, 2015. Retrieved January 4, 2016.
  10. ^ a b c d e Estrin, Thelma (1996). "Women's Studies and Computer Science: Their Intersection". IEEE Annals of the History of Computing. 18 (3): 43–46. doi:10.1109/85.511943.
  11. ^ "Association for Women in Computing". Retrieved 19 October 2017.
  12. ^ "IEEE Haraden Pratt Award Recipients" (PDF). IEE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2-09-18. Retrieved October 20, 2012.
  13. ^ "Thelma Estrin - Engineering and Technology History Wiki". ethw.org. Retrieved 2019-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