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르 두스테르베르크

Theodor Duesterberg
테오도르 두스테르베르크
Theodor Duesterberg in uniform.jpg
1932년 제복을 입은 듀스터버그
데르 슈타헬름 연방 부총재
재직중
1924년 3월 9일 – 1933년 6월 21일
개인내역
태어난(1875-10-19)1875년 10월 19일
독일 다름슈타트
죽은1950년 11월 4일(1950-11-04) (75)
독일 하멜린
정당독일 국민당
병역
얼리전스 독일 제국
지점/서비스German Empire 독일군
순위오베르스틀루트넌트 A.D.
구성 단위중국 원정
전투/와이어복서 반란()WIA
제1차 세계 대전
수상

테오도르 데스터베르크(독일어 발음: [ˈdyːstɐbɛkk]; 1875년 10월 19일 – 1950년 11월 4일)는 나치가 권력을 장악하기 전 독일데르 슈탈헬름의 지도자였다.

배경

다르슈타트에서 육군 외과의사의 아들로 태어난 듀스터버그는 생도부대에서 훈련을 받은 뒤 1893년 프러시아 군에 입대했다.1900년 듀스터버그는 복서 반란중국에서 행동을 본 동아시아 원정대의 일원이었다.2년 후, 제1차 세계대전에 앞서 듀스터버그는 장교가 되어 다양한 군령을 보유하였다.전쟁 중 듀스터버그는 프러시아 전쟁부에 근무했고 결국 오버스트레우트넌트(Oberstleutnant)의 계급에 올랐다.[1]전쟁 이후, 듀스터버그는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항의로 군에서 은퇴했는데, 이 조약은 독일에게 극히 불공평한 것으로 간주되었다.뒤스터버그는 이후 정계에 입문하기로 결정하고 1919년 독일 국민당(DNVP)에 가입했다.

더 스탈럼

그러나 당 지도부와 여러 가지 의견 대립 끝에 듀스터버그는 1923년 DNVP를 탈퇴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에 불만을 품은 퇴역 군인들로 주로 구성된 민족주의적이고 친(親)일치주의적인 데르 슈타헬름에 가입했다.듀스터버그는 재빨리 그것의 위계질서를 통과했고 1924년까지 두 명의 연방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다른 한 명은 프란츠 셀데였다.게오르크 루드비히 루돌프 마에르커 장군과 함께 데르 슈탈헬름 내 극한 반유대 분파의 지도자 중 한 사람으로, 유대인의 가입을 금지하고 현재의 유대인 회원을 모두 추방하고 싶어했다.[2]1924년 3월, 머커와 듀스터버그는 셀데에게 "아리안 조항"을 채택하도록 강요하고 모든 유대인을 데르 슈타헬름에서 추방했다.[3]1924년의 "아리안 조항"은 후에 제3제국 하에서 유사한 "아리안 조항"에 대한 영감이 되었고, 특히 베흐마흐트를 "인종적으로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그의 시도에서 전쟁 장관인 베르너 폰 블롬버그 장군에 영향을 주었다.[4]데르 슈타헬름(Der Stahhelm)은 듀스테르베르그의 지도하에 독일 최대의 파라-군단(para-milhelm은 독일 최대의 파라 군집단이 되었다.

1920년대 후반, 듀스터버그는 데르 슈타헬름나치당을 비롯한 우익 단체들을 연합시켰다.1929년 듀스터버그는 1929년 11월에 열린 국민투표에서 영 플랜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다.1931년 듀스터버그는 프로이센의 조기 선거에 대한 국민투표를 강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는데, 이것이 온건한 권리를 '국민' 진영에 편입시킴으로써 독일 정치를 양극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5]1929년 알프레드 후겐버그 독일국민당(National People) 당수는 독일의 정치중심지 파괴를 목표로 한 양극화 전략에 착수하여, 유일한 대안이 SPD와 KPD의 형태로 마르크스주의 정당과 우익의 '국민' 정당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프러시아 국민투표의 실패는 듀스터버그가 중도 우파를 '국민' 진영으로 공동 선택하려 했던 전략에서 벗어나 후겐버그가 주창했던 중도 우파의 파괴를 위해 일하는 데 도움이 됐다.[6]1931년 10월 데르 슈탈럼하즈버거 전선을 구성하기 위해 나치, DNVP, 기타 우익 단체와 연합했다.하인즈버거 전선은 하인리히 브뤼닝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몰락을 가져오려 했으나 아돌프 히틀러가 장기적으로는 나치당을 이렇게 광대한 우익 연합군에 종속시키려 하지 않아 결국 해체되었다하스버거 전선이 해체된 후에도 데르 슈탈헬름 전선을 계속 지휘하며 DNVP와 조직의 동맹을 유지했다.

1932년 대통령 선거

1932년 선거에서 독일제국의 대통령으로 DNVP 후보인 테오도르 데스터버그를 홍보하는 베를린의 더 스탈헬름 선전차

1932년 데르 스탈헬름과 DNVP에 의해 데르 슈탈헬름과 DNVP에 의해 지명되었지만, 나치는 결국 데스터버그가 유대계 조상을 가졌다는 것을 드러냈을 때 독일 국민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어떠한 기회도 파괴했다.1932년 4월, 깊이 반유대주의자인 드웨스터버그는 그의 할아버지가 1818년 루터교로 개종한 프러시아 유대인 의사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는데, 이는 듀스터버그가 신경쇠약에 걸리게 하고 데르 슈틸럼으로부터 수치심에 싸여 사직서를 제출하게 만든 폭로였다.[4][7]데스터버그의 몇몇 친구들은 그에게 사임하지 말라고 설득했고, 데어 스탈헬름 연방 부대표직을 계속 유지하려는 시도로 그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새로운 요구 사항, 즉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했다.

  • 더 스탈럼 성도들이 공증한 교회 기록 사본을 제출하는 것은 그들의 부모, 증조부모, 증조부모들이 "유대인 혈통"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8]
  • 드르 스탈헬름 회원들은 명예의 말을 걸고 어떠한 형태나 방법으로 유태인과 개인적, 가족적, 사업적 거래도 하지 않았다고 맹세한다.[8]
  • 그 데르 스탈헬름 회원들은 그들의 조상들이 나폴레옹 프랑스와/또는 통일전쟁과 어떤 면에서 "해방의 와르"에서 싸웠다는 증거를 제시한다.[8]
  • 더 스탈헬름 회원들은 그들이 세계대전에 참전했다는 증거와 어떤 자격으로 참전했는지를 제시한다.[8]

듀스터버그의 유대인 혈통이 드러나면서 듀스터버그는 선거 1차 투표에서 부실한 투표를 하게 됐고, 이후 결선 투표에서 물러났다.[1]

1932년 대통령 선거 동안, 나치는 유대인 조셉 괴벨스리처드 발터 다레와 함께 그들의 공격에서 특히 악랄하다고 듀스터버그를 조롱하기 위해 나섰다.데스터버그는 다레의 공격에 너무 상처받아서 결투에 도전했는데, 이 도전은 '유위시 피'로 한 남자와 싸우는 것이 자신의 밑바닥이기 때문에 다레는 거절했다.그리고 나서 듀스터버그는 다레가 속한 10번인 샤르노르스트의 제1 하노버 야전 포병 연대 전관예우법정 앞에서 다레와 논쟁을 벌였다.데스터버그는 명예재판소 앞에서 다레가 독일 장교답지 못한 행동에 연루되어 추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다레는 그가 데스터버그를 반유대적 모욕을 가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법원은 다레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으며, 그가 '유위시 피'를 가졌다고 듀스터버그를 모욕한 것은 옳다고 말했다.[8]

아이러니하게도, 1933년 히틀러가 독일 총리가 되었을 때, 듀스터버그는 히틀러의 내각에서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듀스터버그는 그 제안을 단호히 거절했다.그러나 프란츠 셀데는 히틀러의 내각에 입성하여 조직에 대한 데르 슈탈헬름과 데스테르베르크의 권위를 손상시켰고,[1] 이에 따라 1933년 지도자직을 사임하였다.[9]1933년 4월, 뒤스테르베르크 대통령은 폴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과 국방 장관 베르너블롬베르크 장군에 의해 데르 슈탈헬름에서 사임할 것을 강력히 촉구받았고, 그는 현재 히틀러 총리와 함께 자신이 그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8]

체포와 만년

1934년 듀스터버그는 긴의 밤 동안 나치에 의해 체포되어 다하우 수용소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잠시 수감되었다.풀려난 후 그는 무명으로 표류했다.그는 1943년 반나치파 카를 프리드리히 괴르델러와 제한적인 접촉을 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더스터버그는 결국 괴르델러가 히틀러를 상대로 음모를 꾸미는 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1949년 듀스터버그는 《철모와 히틀러》를 저술하였는데, 이 책에서 그는 전쟁 전의 정치 경력을 옹호하고 더 슈타헬름과 나치당으로부터의 운동의 독립과 "히틀러가 설파한 미친 유대인 증오"를 상세히 기술하였다.1년 후, 듀스터버그는 하멜린에서 죽었다.[1]

참조

  1. ^ a b c d Robert Solomon Wistrich (2002). Who's who in Nazi Germany. pp. 47–48. ISBN 0-415-26038-8.
  2. ^ Wette 2007, 페이지 63.
  3. ^ Wette 2007, 페이지 63–64.
  4. ^ a b Wette 2007, 페이지 64.
  5. ^ 존스, 래리 유진 "민족주의자, 나치, 바이마르에 대한 습격:1931년 10월 하츠부르크 집회 재방문" 독일학 리뷰 제29권, 제3권, 2006년 10월 485페이지에서 483-494페이지.
  6. ^ 존스, 래리 유진 "민족주의자, 나치, 바이마르에 대한 습격:1931년 10월 하츠부르크 집회 재방문" 독일학 리뷰 제29권, 제3권, 2006년 10월 페이지 485-494.
  7. ^ "Duesterberg, Stahlhelm Leader, Candidate for President, Says He is of Jewish Origin". Jewish Telegraphic Agency. 7 September 1932. Retrieved 15 July 2018.
  8. ^ a b c d e f Wette 2007, 페이지 65.
  9. ^ "Duesterberg, Steel Helmet Leader, Ousted for Jewish Descent". Jewish Telegraphic Agency. 28 April 1933. Retrieved 15 July 2018.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