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탤벗
Thomas Talbott토머스 탤벗은 오리건주 살렘 윌라메트 대학교 철학의 명예교수다. 그는 삼위일체적인 보편주의를 옹호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 신의 피할 수 없는 사랑과 다른 작품들 때문에 그는 오늘날 보편적인 구원의 사상을 지지하는 가장 유명한 개신교 성인의 한 사람이다.[citation needed] 2003년 책 만국 구세주?: 'Current Debtion'은 탈보트의 보편주의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다양한 분야의 신학자, 철학자, 교회사학자, 다른 종교학자들의 반응과 함께 탈보트의 '유니버설의 고질적인 방어'를 제시한다. 탈보트는 옥스퍼드 에스챠톨로지 핸드북의 "유니버설리즘"에 관한 장을 기고했다.[1]
보편주의 논증
탈보트는 많은 전통적인 기독교인들이 성경적으로 기초를 두고 있다고 믿는 세 가지 명제를 제공했지만 탈보트가 모두 동시에 진실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 하나님은 온전히 사랑하시고 모든 사람이 그와 관계하여 화해하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신은 인간의 운명을 완전히 지배한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옥에서 끝없이 의식적인 고통을 경험할 것이다.[2]
탈봇은 신-인간 관계의 이 3부 비전에 도전하고 대신 기독교 보편주의에 대한 초기 기독교적 시각을 표현한다.
탤벗의 견해에 반대하는 주장
그러나 탈보트의 견해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지옥을 악인의 운명이라고 묘사하는 성경 구절이 여러 개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전통적으로;
- 칼뱅주의자들은 #1에 동의하지 않음으로써 이것을 해결한다. 하나님은 은혜롭게 구원받을 사람을 뽑으시고, 나머지 사람을 죄(단일예수)로 넘기시거나(이중예수)-이중예수설(이중예수설)에 따라 영속적으로 벌을 받아야 할 자들을 뽑으십니다.
- 아르미니언들은 #2에 동의하지 않음으로써 이것을 해결한다. 어떤 사람들은 신의 은총에 저항하고 신과 영원한 이별을 초래하는 삶의 길을 선택할 것이다.
- 기독교 박탈주의와 조건부 불멸을 믿는 기독교인들, 예를 들어 제7일 재림교 신자들은 일반적으로 #3에 동의하지 않으며, 탈보트가 제안한 문제에 대한 대안적 해결책으로 섬멸주의 교리를 제안한다.
악의 문제
탈보트는 1987년 9월호 정기 간행물 '크리스찬 스콜라 리뷰'에서 최근 논평에서 "철학적 문헌에서 당시 최신의 어떤 사상을 더 많은 비철학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라고 설명하면서 구했다.[3][4] 그는 예를 들어 알빈 파스팅타의 자유 의지 방어가 현대 철학자들이 소위 악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특히 무신론 철학자들조차 악이 신의 존재와 논리적으로 모순된다는 주장을 버리게 된 이유를 설명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 글의 끝부분에서 탈보트는 또한 더 논란이 많은 영역으로 모험을 하여 무고한 아이들의 비극적인 고통조차도 결국 모든 사람들(고난 아이들을 포함)의 미래의 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그는 보편적 화해를 긍정함에 따라 "고난을 겪는 모든 무고한 아이들은 언젠가 그것이 가능했던 기쁨 때문에 그 고통을 특권으로 여길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구원에 신에 의해 이용되었다는 것을 아는 기쁨, 그 마지막 결합이나 재결합에 대한 기쁨.n 사랑의 승리가 완성되고 타인과의 모든 분리가 마침내 극복되는 경우. 나는 그러한 관점을 거부하는 사람들 중 두 가지를 묻고 싶다.[5] 첫째, 도덕화하려는 유혹에 저항하는 것, 둘째, 대안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
다른 사람들은 놀랄 것도 없이 그러한 견해를 원만하게 비판하고 조롱하기까지 했다. 예를 들어, 버틀러 대학의 철학과 명예교수인 존 베버슬루이스에 따르면, 탈보트의 견해는 "너무 터무니없다...대답으로 그것을 고상하게 하지 않겠다고...탈보트가 맞다면, 그는 논리적으로 헌신하고 도덕적으로 세계 기아 완화, 테러리즘 제거, 암 치료법 찾기에 헌신하는 모든 사람들을 반대해야 할 의무가 있다...등등."[6] 그러나 똑같이 힘겨운 대답으로 탈보트는 이 주장을 다음과 같은 형태의 보다 정확한 주장과 비교함으로써 일축한다: "탈보트가 [제안] p (p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곳)를 수용하는 것이 맞다면 탈보트는 논리적으로 q에 전념한다." 그는 현 상황에서 설득력 있는 논거라면 두 가지가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한다.베버슬루이스의 s: "첫째, 그는 p의 관련 예를 식별했고, 둘째, p로부터 q를 추론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탈보트는 "비버슬루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주장하는 명제를 식별하는 것만큼 논리적으로 그가 주장하는 도덕적 의무에 대해 나를 속이는 것이 아니다. 그가 요구하는 공제를 하는 것은 훨씬 더 적다.[7]
그러나 탤벗은 그의 낙관적인 시각이 희망적인 사고의 사례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계속해서 절망과 달리 희망은 건강한 회의론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희망과 절망의 대조를 이룬다.[8] 절망은 전형적으로 미래에 대한 독단적인 믿음들에 있는 반면, 희망은 그렇지 않다.
작동하다
- Thomas Talbott (1999). The Inescapable Love of God. Parkland, Fla: Universal Publishers. ISBN 1-58112-831-2.
메모들
- ^ Jerry L. Walls가 편집했다. 페이지 16세 + 724. 뉴욕 및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8. ISBN 978-0-19-517049-8
- ^ 탤벗, 토마스. 피할 수 없는 신의 사랑.199ISBN 1-58112-831-2.
- ^ 크리스천 스콜라 리뷰 홈 페이지
- ^ 토마스 탈보트, "존 베버슬루이스와 악의 문제" : 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사본(링크)
- ^ Talbott, Thomas (September 1987). "C.S. Lewis and the Problem of Evil". Christian Scholar's Review. 15 (1): 50.
- ^ 비버슬루이, 존 C.S. 루이스와 합리적 종교의 탐구. 암허스트: 프로메테우스 북스, 2007. 페이지 246-7
- ^ Talbott "John Beversluis and the Problem of Evil" : 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212-216페이지의 피할 수 없는 신의 사랑 참조
참조
- Partridge, Christopher H.; Robin Parry (2003). Universal Salvation?: The Current Debate.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 ISBN 0-8028-2764-0.
- Walls, Jerry G. (2007). The Oxford Handbook of Eschatology (Oxford Handbook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pp. xvii, 446–461. ISBN 978-0-19-5170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