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트룩스

Thomas Truax
토머스 트룩스
Truax in 2010
2010년 트루악스
배경 정보
기원미국 뉴욕시
장르스팀펑크, 아웃사이더, 독립 음악
년 활동2000-현재
레이블다양한 라벨
웹사이트www.thomastruax.com

Thomas Truax(/truːːks/TROO-aks)는 미국의 작사가, 연주자, 실험용 악기의 발명가다.[1]

전기

2007년 8월 '천진 마을 페트'에서 '호니케이터'와 함께한 토마스 트룩스

트루악스는 1990년대 맨해튼의 하부 이스트사이드에 있는 보도 카페를 중심으로 안티폴크 운동을 전개한 뮤지션과 작곡가(래치, 제프리 루이스, 커티스 엘러, 버닝헬, 딥스, 부후, 포함)의 한 그룹으로 뉴욕시에서 처음으로 단독 연주자로 두각을 나타냈다.트루악스가 솔로 연기로 등극한 것은 수년간의 전선 밴드들(가장 두드러지게는 Like Wow) 이후다.[2]그 움직임은 공연을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할 필요를 없애고 뉴욕에서 활동하는 수백 명의 밴드들과 싱어송라이터들과 그의 행동을 구별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것이었다.이 새로운 방향은 더 전통적인 싱어송라이터 스타일의 노래뿐만 아니라 독특한 악기들의 구성과 연주도 포함되었다.그의 음악적 행동의 "인벤터" 측면은 MTV의 연예인 데스 매치에서 애니메이터로서의 그의 작품과 그가 이용할 수 있는 어떤 재료로든 물건을 만드는 어린 시절부터의 매력에 끌렸다.토마스의 "원초적" 기술, 종종 그의 노래와 고딕적 오버톤에서 환상적인 요소들 (그의 웹사이트에서 그의 악기를 "팀 버튼의 마음에서 바로 뽑은 것처럼")의 사용은 그를 스팀펑크의 하위 장르와 연결되게 만들었다.

트루악스의 처음 두 악기는 캐딜락 비츠피너 휠과 호니케이터였는데, 전자는 회전하는 바퀴, 금속 스포크, 작은 심벌의 시스템으로, 다양한 콘택트 믹스의 사용을 통해, PA를 통해 토마스가 기타로 연주하는 곡에 대한 후원을 형성하는 원시적인 드럼 비트를 "배팅"한다.그것의 큰 크기는 비츠피너 휠을 여행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만들었고, 그래서 Truax는 오늘날까지 그가 사용하는 "스핀스터 자매"라는 제목의 더 작은 버전을 만들었다.Hornicator는 Truax가 일련의 현과 카즈, 마이크를 추가하기 전에 오래된 축음기 레코드 경음기로서 삶을 시작했다.여기서 토마스는 경음기의 금속 케이스에 있는 리듬을 두들겨 팼다(고리 손가락을 사용하여 '딸깍' 소리를 만들고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대조적인 '스무드'를 만들어 낸다). 이 리듬은 박자를 기록하고 PA를 넘어 루프를 하는 루퍼 페달을 사용하여 반복되어 토마스가 (현과 기타를 통해) 다른 악기 층을 더 추가할 수 있게 한다.Hornicator에 부착된 장치).마침내 토마스는 악기에 부착된 마이크를 통해 보컬을 부른다.

다른 악기들은 자동 리듬과 순환 박자의 변화로 작용한다: 스트링링링은 다양한 음악적 장치들을 당김줄로 부착한 길이의 옷 건조기 튜브의 맨 위에 모호하게 봉고처럼 생긴 드럼을 특징으로 하고, 메리 포핀스는 옆으로 날아와 회전하는 두 개의 팔을 가진 금속 기둥을 특징으로 한다.기차와 같은 리듬에 팅; 몇 개의 회전하는 스포크들로 구성된 백비터, 토마스의 등에 끈을 매고 회전하여 낮은 리듬을 만들어낸다.어떤 노래들은 그의 발명품들 중 어떤 것도 특징으로 하지 않는데, 특히 기타로만 연주되는 "Inside the Internet"과 토머스가 섬뜩한 효과를 내기 위해 현을 치던 포켓 선풍기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기타로 연주되는 "The Butterfly & The Entomistics"가 그것이다.토마스의 노래에 나오는 일반적인 주제들은 사랑, 외로움, 여행, 동물의 왕국, 자연과 기술을 포함한다.[3]

트루악스는 그가 악기를 어떻게 만드는지 보여주어야 하는 도전을 받은 적이 있다.휴지통에서 회수된 많은 물품들을 고려했을 때, 그는 15분 안에 물과 고무줄로 효과를 반복하는 리듬감 있는 발명품을 만들었다.[4]

트루악스는 보통 솔로 연주만 하지만 그의 음반에는 그의 발명된 악기와 함께 완전한 밴드 배열을 갖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그는 아담 클리테히로의 "One Man In The Band"(2008)와 가브리엘 샬롬의 "Instrumental"(2005)을 포함한 여러 음악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5]

트루악스는 2013/14시즌 동안 독일 도르트문트 극장에서 상연된 헨리크 입센의 연극 '페어 갠트'의 원곡을 새로 작곡했으며, 토마스가 물무대 위에 매달린 오픈 메탈 용기에 담아 라이브로 연주했다.[6]

트룩스는 구독 팬 사이트를 운영하며 [7]독점 콘텐츠, "작업 진행 중" 동영상 등을 제공한다.

싱글스

  • "The Hursted Saleft Shop," "Inside the Internet," "Sucked Inside" CD "Singles Club 9" 싱글 on Homesleep Records (이탈리아) (2004)
  • '스핀스터 수녀와 뿔피리' 5곡+와우타운 뉴스 라디오 2회 방송.한정판 투어 전용 EP, 자체 발매(2004)
  • "We We We We We Welped in Art" b/w "Lessons In Art" A2W/021 Limited Edition 7" 비닐, Akoustik Anarkhy Records, Manchester(2006)
  • "절대 꺼지지 않는 빛이 있다" b/w "떨어진 나무처럼" SL 레코드(2007)
  • "열차의 정지" (리믹스) b/w "한 번에 하나의 부품" SL 레코드(2008)
  • "Joe Meek, Buddy Holly 경고" b/w "We're So Holy" SL Records(2009)
  • "Dracula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 Brian Vigliione과 함께한 Thomas Truax (Pycho Teddy Records, 2014년 10월 31일)
컴파일 트랙
  • "치킨 쿱 쿠퍼" -야생 서부에서 가장 지명수배된 스모킹 건 레코드 편집(2004)
  • "Shooting Stars" 리믹스 버전 트럭 레코드 페스티벌 컴파일 'Truck Seven'(2004)
  • "웨이터 존" Luv-A-Lot Records (LV-12) 'A Luv-a-lot 컴파일' (2003)
  • AS Guest: The Leg (예술가) "A Music Creating to the Forest of Dean" (8곡 비닐 lp – 2006) Thomas는 Stingaling을 연주한다.
  • AS Guest: Duke Special (예술가) 앨범 'I Never Thinked This Day Would Come'(유니버설/V2 2008)에서 토마스는 "Flesh and Blood Dance"라는 곡에 게스트 보컬로 출연하며, 골격의 무도장에서 링거를 그린다.그는 또한 스트링글링도 약간 덧붙였다.
  • "오디오 중독" 로맨스 컴파일 카운트 레코드 더블린(2007년 7월)
  • "우리의 블랑더랜드 여행"(Trux/Cynics) '뉴욕 원 08' 토마스는 이 키친시닉스의 하루 노래 편찬(2008)에 피아노를 기고했다.
  • "문 카타토니아"는 파라다이스보다 이방인/기스피 광기 편찬(2008)에 실렸다.
  • AS SONGRAGER: 듀크 스페셜 'The Silent World Of Hector Mann'(릴 투 릴 레코딩, 2009) 트루악스는 Hornicator에서 "The Prop Man"이라는 곡을 작곡했으며 듀크 스페셜이 공연하고 풀 밴드가 출연했다.

앨범

  • 와우타운 상공 보름달(Pyccho Teddy Records, US/Breakin' Beats, 유럽 – 2002)
  • 오디오 중독(Psycho Teddy Records, US/Breakin' Beats, 유럽 – 2005)
  • 가 달을 보고 울부짖는 이유(SL 레코드 – 2007)
  • 데이비드 린치(Psycho Teddy Records, SL Records – 2009)의 영화에 수록된 노래
  • Sonic Dreamer (Pyco Teddy Records, SL Records – 2010)
  • 월간 저널(Blang – 2012)
  • 트롤, 소녀 & 자장가(Psycho Teddy Records – 2014)
  • Jetstream Sunset (Pyccho Teddy Records – 2015)
  • 하늘이 허락하는 모든 것 (Pyccho Teddycho Teddy Records

참고 항목

참조

  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4, 2008. Retrieved October 7, 2008.{{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2. ^ "Thomas Truax – Biography & History – AllMusic". AllMusic. Retrieved June 23, 2018.
  3.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December 4, 2008. Retrieved October 7, 2008.{{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4. ^ "SUPERSWEET : WRONG URL". Supersweet.org. Retrieved June 23, 2018.
  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4, 2016. Retrieved September 27, 2008.{{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6.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3, 2013. Retrieved November 14, 2013.{{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7. ^ "Full Moon Music Club".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