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레이브 뢴
Thorleiv Røhn톨레이브 부게 뢴 | |
---|---|
![]() | |
태어난 | 노르웨이 크리스티아니아 | 1881년 7월 23일
죽은 | 1963년 9월 20일( 멜달, 노르웨이 | 82세)
얼리전스 | ![]() ![]() |
서비스/브런치 | ![]() 포스 퍼블리주 |
근속 연수 | 노르웨이 육군: 1903년-1940년 포스 푸블리주: 1909-1915 |
순위 | 소령(노르웨이 육군) Commandant(Force Publique) |
어워드 | 하콘 7세 대관식 메달 사자 기사단 벨기에 콩고 실버 서비스 스타 기사단 성 스타니슬라우스 기사단 |
메달 기록 | ||
---|---|---|
남자 체조 | ||
노르웨이 대표 | ||
중계 게임 | ||
![]() | 1906년 아테네 | 팀. |
톨레이브 부게 뢰른(Torleiv Bugge Röhn, 1881년 7월 23일 ~ 1963년 9월 20일)은 노르웨이의 육군 장교로 체조 선수로 1906년 아테네 올림픽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땄다.
노르웨이에서 제한된 군 경력 전망에 직면한 뢴은 해외에서 더 나은 부를 추구했다.1907-1908년 쿠바에서 실패한 사업에 관여한 그는 1909년 벨기에 식민지 군대인 푸블리주에 입대했다.그는 1915년 현역 노르웨이 육군으로 복귀할 때까지 벨기에 콩고에서 복무했다.노르웨이 파시스트 정당인 나스조날 삼링의 당원이었던 뢴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노르웨이에서 합법적 숙청으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사생활
그는 노르웨이 크리스티아니아에서 태어났다.그의 부모는 Ole Thorstensen Röhn과 Maren Elise Bugge로 둘 다 [1][2][3]교사였다.1898년부터 1900년까지 그는 Aars og Voss'[4] School에 다니며 시험 예술 [5][1]학회 자격증을 취득했다.그의 아버지는 1899년에 돌아가셨고 [6]어머니는 1944년에 돌아가셨다.1944년 [7]오슬로에 대한 영국군의 폭격으로 그의 여동생 중 두 명이 사망했다.뢰른은 은퇴 후 멜달 마을로 이사하여 1963년 사망했다.그는 [7]결혼하지 않았다.
군 경력
노르웨이, 1903-09
1903년 그는 노르웨이 육군사관학교의 상위 학과를 졸업했다.같은 해에 그는 크리스티안산드케 여단의 중위가 되었다.1905년부터 1907년까지 노르웨이 사관학교를 다녔지만 개인적인 [1]이유로 졸업 3개월 전에 학교를 떠났다.여가 시간에 그는 방어, 스포츠, [6]사격에 관한 강의를 했다.
벨기에령 콩고, 1909년
1909년 그는 벨기에와 벨기에 [4]콩고에 사는 벨기에 식민지 군대인 포스 푸블리주(Force Publique)에 입대했다.처음에는 중위로 근무했지만 1915년 [1]노르웨이 정부로부터 벨기에 군에서 퇴역하라는 명령을 받기 전까지 중위로 진급했다.노르웨이 육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더 많은 장교가 필요했기 때문에 뢴은 1915년 [8][4]7월 1일부터 5여단에서 정규 임무를 재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뢰른은 포스 푸블리주(Force Publique)에 가입한 200~300명의 노르웨이인 중 한 명이었으며 벨기에 식민지 [9]군대에서 지휘관 계급에 오른 21명의 노르웨이인 중 한 명이었다.
노르웨이, 1915-40
1915년 트론젬스케 여단으로 전근하여 1916년 8월 11일 대위로 진급하였다.1916년에서 1930년 사이에, 그는 제5중총중대의 사령관이었다.1925년부터 1930년까지 그는 트론하임의 수비 중대의 지휘관이기도 했다.1930년에 그는 제12보병연대의 제12중대를 지휘하였고,[1][6][10] 같은 해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930년 그는 소령 진급과 정규군 [11]대대 지휘에 두 번 지원했으나 실패했다.예비군 대위였던 그는 1933년 [12]중령과 12 보병 연대 육전대대장에 지원했으나 낙제했다.1936년에 그는 [6]소령으로 진급했지만, 중령 진급에 두 번 더 지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더 이상 군에서 진급하지 않았다.그가 중령으로 진급하기 위한 마지막 시도는 1938년 그가 13 보병 [13]연대의 육전대대의 진급과 지휘권을 신청했을 때 일어났다.1939년 그가 중령으로 진급하고 제11보병연대 또는 제12보병연대 육상대대의 [14]지휘권을 신청했을 때 그가 제출한 최종 지원서는 노르웨이 당국에 의해 기각되었다.
스포츠 경력
1906년 뢰른은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1906년 중간 올림픽 체조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딴 20명의 노르웨이 팀의 일원이었다.그리스로 가기 [16]전 한 달 동안 함께 훈련하며 노르웨이 올림픽 [7][15]사상 첫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당시 언론은 노르웨이 팀을 "세계 최초의 체조 선수"라고 칭송하며 "날아다니는 대리석 조각상"[2]이라고 표현했다.이 대회에서는 개인상도 수여되지 않았다.금메달 1개, 은컵 1개, 야생 올리브 나무 가지 1개가 노르웨이 체조체육협회에 보내졌으며, 처음에는 베르겐의 베르겐스 쿤스 인더스트리무세움에서 보관되었다.그리스 왕 조지 1세가 선물한 은잔은 노르웨이에 도착한 후 밑바닥에 1906년 [17]팀의 체조 선수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국가 차원에서, 그는 오슬로를 연고지로 하는 오슬로 터닝의 [18]대표 선수였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이전 몇 [19]년 동안 Gauldal 지역의 라이플 클럽 연합인 Gauldal skytarsamlag를 대표했다.
쿠바의 비즈니스 벤처
1907년 뢰른은 군 [2]복무에서 휴가를 얻었다.1907년 9월 7일, 그는 크리스티아니아에서 쿠바로 여행했다.그는 다른 노르웨이인들이 이전에 사들인 바라코아 인근 4.32km2(1.67평방마일)의 '라리자' 농장에 투자했다.이 사업의 목적은 담배, 코코아, 바나나, 코코넛의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었다.농작물 외에도 노르웨이 사람들은 현지 시장에서 팔기 위해 목재를 자르고 돼지를 키울 계획을 세웠다.이 기업은 이익을 내지 못했고,[20] 1908년 말에 노르웨이로 돌아왔다.
제2차 세계 대전
뢴은 노르웨이 파시스트 정당인 나스조날 [21][Note 1]삼링의 당원이었다.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합법적인 숙청에서 [23]뢴은 노르웨이에 대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반역죄 유죄판결로 뢴은 노르웨이 콩고 재향군인회(노르웨이:Norvége des Vétérans Coloniaux(프랑스어: Norvége des Vétérans Coloniaux)와 벨기에 [24]주로부터 연금을 받을 권리를 잃었다.
영예와 상
뢴은 1906년 트론헤임에서 노르웨이의 [1]하콘 7세의 대관식에 참여한 공로로 하콘 7세 대관 메달을 은으로 받았다.
콩고에서의 공로로 벨기에 당국은 뢴에게 벨기에 콩고의 은색 서비스 별을 수여했을 뿐만 아니라 사자 기사단도 수여했습니다.그는 또한 러시아 성 스타니슬라우스 [1]기사단의 2등 훈장이었다.
레퍼런스
메모들
인용문
- ^ a b c d e f g Barth, Bjarne Keyser, ed. (1930). "Røhn, T. B.". Norges militære embedsmenn 1929 (in Norwegian). Oslo: A. M. Hanche. p. 508.
- ^ a b c 룬드 1907, 136-137페이지
- ^ "Røhn, Ole Thorstensen". Deichmanske Bibliotek register til Norges tidsskrifter: II. Norsk biografi (til 31/12 1909) (in Norwegian). Kristiania: Cammermeyers Boghandel. 1911. p. 460.
- ^ a b c "Røhn, Torleiv Bugge". Studentene fra 1900: biografiske oplysninger samlet til 25-aars-jubilæet 1925 (in Norwegian). Oslo: Grøndahl & Søn. 1925. p. 508.
- ^ Aars og Voss' skole 1913, 페이지 121
- ^ a b c d "Røhn, Torleiv Bugge". Studentene fra 1900: biografiske opplysninger samlet til 50-års-jubileet 1950 (in Norwegian). Oslo: Det Mallingske Boktrykkeri. 1925. p. 141.
- ^ a b c 슈테너센 1999, 페이지 155
- ^ "Statsraad igaar. Mange embedsutnævelser". Trondhjems Adresseavis (in Norwegian). Trondheim. 5 June 1915. p. 6. Retrieved 14 December 2014.
- ^ Morel and Morgenstierne 2002, 페이지 202
- ^ "Statsraad igaar". Trondhjems Adresseavis (in Norwegian). Trondheim. 12 August 1916. p. 3. Retrieved 14 December 2014.
- ^ Stortinget 1931, 페이지 56, 60
- ^ Stortinget 1934, 페이지 52
- ^ Stortinget 1939, 57페이지
- ^ Stortinget 1940, 52페이지
- ^ Jorsett 1996, 29-30페이지, 201
- ^ 안데르센 1951, 페이지 47
- ^ 헤이얼달 1991, 페이지 79
- ^ "Thorleiv Røhn". Sports-Re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20. Retrieved 14 December 2014.
- ^ 비간더 1933, 264-265페이지
- ^ Stenersen 1999, 페이지 46, 48, 80, 89-90, 92, 155
- ^ "De norske kongofarerne". Kongelig slaveleir: Historien om et terrorregime (in Norwegian). Forlaget Fritt og vilt. 25 July 2002. Retrieved 14 December 2014.
- ^ Borge, Baard (1995). "NS, Nasjonal Samling". In Dahl, Hans Fredrik (ed.). Norsk krigsleksikon 1940-45 (in Norwegian). Oslo: Cappelen. pp. 304–305. ISBN 8202141389. Retrieved 15 December 2014.
- ^ Morel and Morgenstierne 2002, 페이지 194
- ^ Morel and Morgenstierne 2002, 193-194페이지
참고 문헌
- Festskrift utgit i anledning av Aars og Voss' skoles femtiaars jubilæum (in Norwegian). Kristiania: Aschehoug. 1913.
- Stortingsforhandlinger. 1931 (in Norwegian). Vol. 5. Oslo: Stortinget. 1931.
- Stortingsforhandlinger. 1934 (in Norwegian). Vol. 5. Oslo: Stortinget. 1934.
- Stortingsforhandlinger. 1939 (in Norwegian). Vol. 5. Oslo: Stortinget. 1939.
- Stortingsforhandlinger. 1940 (in Norwegian). Vol. 5. Oslo: Stortinget. 1940.
- Andersen, P. Chr. (1951). Olympiaboken: de moderne olympiske lekers historie (in Norwegian) (3rd, expanded ed.). Oslo: Dreyers Forlag.
- Heyerdahl, Thorolf (1991). OL fram til 1908: en annotert bibliografi over de første olympiske leker i moderne tid (in Norwegian). Oslo: Norges idrettshøgskole, Institutt for samfunnsfag, Seksjon for idrettshistorie. ISBN 8250202724.
- Jorsett, Per (1996). 100 år med olympiske leker: Norges olympiske komités offisielle jubileumsbok (in Norwegian). Oslo: Hjemmets bokforl. ISBN 8259016818.
- Lunde, Chr. (1907). Lundeætten fra Aadalen (in Norwegian). Kristiania: Minerva.
- Morel, E. D.; Syphilia Morgenstierne (2002). Kongelig slaveleir: Historien om et terrorregime (in Norwegian). Nesbru: Forlaget Fritt og vilt. ISBN 82-91301-05-0.
- Stenersen, Helge (1999). Det norske Cuba-eventyret: koloniserings-ideen som spilte fallitt (in Norwegian). Brandbu: H. Stenersen. ISBN 8299505607.
- Vigander, Haakon (1933). Skyttarsaka i Noreg: soga og stoda no (in Norwegian). Hvalstad: Den friviljuge norske skyttarskipnad.